목차
Ⅰ. 서론
1. 선정사유
2. 제품개요
Ⅱ. 본론
- 목표집단과 그들의 라이프스타일
- 시장상황
- 소비자 need/problems
- 차별점
- 두 제품/서비스의 마케팅 전략 비교평가
- 향후 개선 방안
- SWOT
- STP
- 4P
- 박카스와 비타500 마케팅 믹스 비교분석
- 박카스와 비타500 경영전략 비교분석
Ⅲ. 결론
1. 선정사유
2. 제품개요
Ⅱ. 본론
- 목표집단과 그들의 라이프스타일
- 시장상황
- 소비자 need/problems
- 차별점
- 두 제품/서비스의 마케팅 전략 비교평가
- 향후 개선 방안
- SWOT
- STP
- 4P
- 박카스와 비타500 마케팅 믹스 비교분석
- 박카스와 비타500 경영전략 비교분석
Ⅲ. 결론
본문내용
라고 생각해 우리조는 비타500을 팀프로젝트의 주제로 선정하였다.
2. 팀프로젝트 활동의 과정
주제 선정
제품 조사
수반되는 설문조사 및 방문조사
결론 도출
→ → →
Ⅱ. 본론
1. 제품기획 및 관리 & 가격결정
(1)제품 기획, 개발 이유?
제품 개발 당시에는 회사자금 사정이 상당히 어려웠고, 제품 개발자인 광동제약 김현식 상무이사가 담당하고 있던 유통사업부를 폐지해야 한다는 얘기도 흘러 나왔다. 유통사업부는 드링크류를 담당하고 있었는데 부서를 살릴 생각을 하다 보니까 비타민도 드링크로 만들어 보자는 생각이 떠올랐다고 한다. 그래서 비타민C를 물에 녹일 생각을 했다고 한다.
(2)상품명의 결정
유사상품 중에는 비타1000, 비타2000까지 나왔다. 처음부터 비타 오천(5000) 정도로 이름을 정하는 것이 좋지 않았나?” 하는 질문에 개발자는 “성인 기준으로 비타민C 하루 필요량은 70㎎이다. 너무 과도하게 섭취할 이유가 없다. 하지만 담배 피우면 비타민C가 파괴된다. 비타500에 들어가는 비타민C 함유량은 700㎎인데 이런 상황을 모두 감안해 결정한 것이다.라고 대답했다.
(3)제품 관리
‘벌써 유사상품이 수십 종이 나왔다. 다른 음료처럼 유행성으로 사라지는 것 아닌가....’ 하는 우려도 일부에서 나오고 있다. 하지만 다른 유사 상품과 비슷한 성분을 지녔어도 사람들은 선발주자인 비타500에 대한 확신이나 믿음이 더 있어 유사상품과 비타500이 있을 때 비타500으로 먼저 손이 가게 되는데 이는 수십 종의 유사상품이 나왔지만 비타민 음료 중 비타500의 시장점유율이 70% 이상인 것을 통해 알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광동제약이 비타500에 대한 광고 및 PR에 들인 정성과 노력이 나타난 것이라 할 수 있겠다.
또 광동제약측은 “다른 회사의 베끼기 수준은 심각하다. 이 때문에 한국에서 코카콜라 같은 세계적인 히트상품이 나오지 않는 것이다. 선발주자에 대한 제도적 보장만 이루어진다면 우리도 세계적인 음료를 만들 수 있다.라고 말하고 있다.
2. 비타500의 SWOT 분석
강점
- 기존의 정제나 분제 비타민에 비해 먹기 쉽고, 간편함
- 비타민C의 이미지상 구매자들 복용의 당위성을 줌
약점
-음료회사가 아니기 때문에 유통상의 취약점
기회
- 업계 최초로 마시는 비타민 출시
위협
-우후죽순적인 후발 경쟁 업체의 추종
-기존 드링크시장에서의 박카스의 강한 브랜드력
(1)강점
-제품의 차별화-
국내 최초의 마시는 비타민C라는 컨셉트로 마케팅에 성공하였다. 쉽게 섭취할 수 있는 비타민C로 소비자들에게 많은 호응을 얻었다. 비타500은 소비자들의 호응과 광고 판촉 강화로 승승장구하고 있다.
비타500 1병에는 레몬20개, 오렌지15개, 사과 60개, 귤 15개를 먹어야 얻을 수 있는 비타민C가 700㎎ 들어있다. 현재 출시된 마시는 비타민C 제품 중 시장점유율이 70%에 달할 정도로 인기를 얻고 있다. 단순한 식사로만 채울 수 없는 영양소가 바로 비타민이지만 일부러 비타민을 섭취하기는 쉽지 않기 때문에 소비자들이 이 제품을 즐겨 찾는 것 같다는 게 관계자들의 분석이다.
비타500은 쉽게 마실 수 있다는 드링크류의 장점과 기존의 드링크류와는 달리 카페인을 빼고 필수영양소인 비타민을 강조하였다는 점을 부각시킨 점이 강점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오랜 연구 끝에 소비자의 취향에 맞는 맛과 향을 가졌으며, 알약과 과립으로 된 기존의 비타민제와는 달리 액체로 돼 있어 체내 흡수가 빠르다는 점도 강점으로 꼽을 수 있다.
-선점 효과-
먹는 비타민는 이미 시중에 많이 나와있었지만 그보다 편리한 마시는 비타민은 없었다. 하지만 광동제약에서는 최초로 마시는 비타민을 개발하여 큰 성공을 거두었다. 이전의 어느 곳에서도 생각하지 못했던 마시는 비타민C의 최초 개발은 ‘웰빙’ 이라는 시대 흐름을 잘 파악한 광동제약의 성공요인이 되고 있다. 광동제약의 비타 500출시 이후 다른 제약회사나 음료회사에서도 이를 모방하여 유사 제품들을 내놓아 시중에 비타500의 유사상품 20여가지가 나와있지만 소비자들은 최초의 제품인 비타500을 선호하여 동입 제품군에서 비타500의 시장 점유율은 70%에 달하고 있다. 제약사의 음료제품은 음료 전 시장서 점유율이 3%대에 불과할 정도로 선점 효과가 떨어졌으나 드링크류로 약국유통망을 겨냥함으로써 점차 대중화 길에 들어서고 있다. 2001년 출시된 비타500은 첫해 매출 53억원을 기록한 이후 2002년에는 280억원을 기록했다. 올해에는 상반기에만 지난해 1년 매출을 넘어섰고 올해는 출시 4년 만에 월 4,000만병 판매라는 기록으로 약 800억원 이상의 매출을 달성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해마다 100% 이상 성장하고 있는셈이다. 물론 다른 후발주자들은 이에 전혀 미치지 못하는 저조한 매출을 올리고 있는데 이를 통해 시장의 선점 효과가 얼마나 큰 감점으로 작용하는지 알 수 있다.
(2) 약점
-유통상의 취약점-
비타500은 광동제약의 사업다각화를 위해 내놓은 제품으로 음료회사가 아닌 까닭에 유통상의 취약점을 약점으로 꼽을 수 있다. 비타500은 기존의 드링크 시장에 진입하였지만 카페인이 없는 음료수로서의 차별화를 강화한 제품으로 약국 뿐만 아니라 슈퍼마켓, 편의점 등에서의 유통을 시도하고 있지만 다소 어려움이 있다.
(3) 기회
-업계 최초로 마시는 비타민을 출시-
드링크 시장에서 비타민 음료시장은 지난해에는 전년 보다 1백%이상 급팽창하여, 7백 30억원대로 성장하였다. 국내 비타민 음료시장을 개척한 데는 비타500의 힘이 컸다고 자타가 공인하고 있다.
-해외시장-
광동제약이 만든 드링크제 `비타500` 500만병이 해외로 수출된다. 미국 서부와 동부지역에 `비타500` 100만 달러어치를 수출키로 하고 지난 3월 25일 1차분 20만 달러 어치를 처음으로 선적했다. 이날 선적분 20만 달러 어치는 50만4000병에 해당되는 규모로 이 회사 올 수출목표인 200만불 중 10%에 해당한다. 광동제약은 현재 미국인도네시아홍콩동남아일본 등에 수출계약을 체결했으며, 점차 시장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4) 위협
-드링크 시장에서의 경쟁업체-
짭은 시간에 폭
2. 팀프로젝트 활동의 과정
주제 선정
제품 조사
수반되는 설문조사 및 방문조사
결론 도출
→ → →
Ⅱ. 본론
1. 제품기획 및 관리 & 가격결정
(1)제품 기획, 개발 이유?
제품 개발 당시에는 회사자금 사정이 상당히 어려웠고, 제품 개발자인 광동제약 김현식 상무이사가 담당하고 있던 유통사업부를 폐지해야 한다는 얘기도 흘러 나왔다. 유통사업부는 드링크류를 담당하고 있었는데 부서를 살릴 생각을 하다 보니까 비타민도 드링크로 만들어 보자는 생각이 떠올랐다고 한다. 그래서 비타민C를 물에 녹일 생각을 했다고 한다.
(2)상품명의 결정
유사상품 중에는 비타1000, 비타2000까지 나왔다. 처음부터 비타 오천(5000) 정도로 이름을 정하는 것이 좋지 않았나?” 하는 질문에 개발자는 “성인 기준으로 비타민C 하루 필요량은 70㎎이다. 너무 과도하게 섭취할 이유가 없다. 하지만 담배 피우면 비타민C가 파괴된다. 비타500에 들어가는 비타민C 함유량은 700㎎인데 이런 상황을 모두 감안해 결정한 것이다.라고 대답했다.
(3)제품 관리
‘벌써 유사상품이 수십 종이 나왔다. 다른 음료처럼 유행성으로 사라지는 것 아닌가....’ 하는 우려도 일부에서 나오고 있다. 하지만 다른 유사 상품과 비슷한 성분을 지녔어도 사람들은 선발주자인 비타500에 대한 확신이나 믿음이 더 있어 유사상품과 비타500이 있을 때 비타500으로 먼저 손이 가게 되는데 이는 수십 종의 유사상품이 나왔지만 비타민 음료 중 비타500의 시장점유율이 70% 이상인 것을 통해 알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광동제약이 비타500에 대한 광고 및 PR에 들인 정성과 노력이 나타난 것이라 할 수 있겠다.
또 광동제약측은 “다른 회사의 베끼기 수준은 심각하다. 이 때문에 한국에서 코카콜라 같은 세계적인 히트상품이 나오지 않는 것이다. 선발주자에 대한 제도적 보장만 이루어진다면 우리도 세계적인 음료를 만들 수 있다.라고 말하고 있다.
2. 비타500의 SWOT 분석
강점
- 기존의 정제나 분제 비타민에 비해 먹기 쉽고, 간편함
- 비타민C의 이미지상 구매자들 복용의 당위성을 줌
약점
-음료회사가 아니기 때문에 유통상의 취약점
기회
- 업계 최초로 마시는 비타민 출시
위협
-우후죽순적인 후발 경쟁 업체의 추종
-기존 드링크시장에서의 박카스의 강한 브랜드력
(1)강점
-제품의 차별화-
국내 최초의 마시는 비타민C라는 컨셉트로 마케팅에 성공하였다. 쉽게 섭취할 수 있는 비타민C로 소비자들에게 많은 호응을 얻었다. 비타500은 소비자들의 호응과 광고 판촉 강화로 승승장구하고 있다.
비타500 1병에는 레몬20개, 오렌지15개, 사과 60개, 귤 15개를 먹어야 얻을 수 있는 비타민C가 700㎎ 들어있다. 현재 출시된 마시는 비타민C 제품 중 시장점유율이 70%에 달할 정도로 인기를 얻고 있다. 단순한 식사로만 채울 수 없는 영양소가 바로 비타민이지만 일부러 비타민을 섭취하기는 쉽지 않기 때문에 소비자들이 이 제품을 즐겨 찾는 것 같다는 게 관계자들의 분석이다.
비타500은 쉽게 마실 수 있다는 드링크류의 장점과 기존의 드링크류와는 달리 카페인을 빼고 필수영양소인 비타민을 강조하였다는 점을 부각시킨 점이 강점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오랜 연구 끝에 소비자의 취향에 맞는 맛과 향을 가졌으며, 알약과 과립으로 된 기존의 비타민제와는 달리 액체로 돼 있어 체내 흡수가 빠르다는 점도 강점으로 꼽을 수 있다.
-선점 효과-
먹는 비타민는 이미 시중에 많이 나와있었지만 그보다 편리한 마시는 비타민은 없었다. 하지만 광동제약에서는 최초로 마시는 비타민을 개발하여 큰 성공을 거두었다. 이전의 어느 곳에서도 생각하지 못했던 마시는 비타민C의 최초 개발은 ‘웰빙’ 이라는 시대 흐름을 잘 파악한 광동제약의 성공요인이 되고 있다. 광동제약의 비타 500출시 이후 다른 제약회사나 음료회사에서도 이를 모방하여 유사 제품들을 내놓아 시중에 비타500의 유사상품 20여가지가 나와있지만 소비자들은 최초의 제품인 비타500을 선호하여 동입 제품군에서 비타500의 시장 점유율은 70%에 달하고 있다. 제약사의 음료제품은 음료 전 시장서 점유율이 3%대에 불과할 정도로 선점 효과가 떨어졌으나 드링크류로 약국유통망을 겨냥함으로써 점차 대중화 길에 들어서고 있다. 2001년 출시된 비타500은 첫해 매출 53억원을 기록한 이후 2002년에는 280억원을 기록했다. 올해에는 상반기에만 지난해 1년 매출을 넘어섰고 올해는 출시 4년 만에 월 4,000만병 판매라는 기록으로 약 800억원 이상의 매출을 달성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해마다 100% 이상 성장하고 있는셈이다. 물론 다른 후발주자들은 이에 전혀 미치지 못하는 저조한 매출을 올리고 있는데 이를 통해 시장의 선점 효과가 얼마나 큰 감점으로 작용하는지 알 수 있다.
(2) 약점
-유통상의 취약점-
비타500은 광동제약의 사업다각화를 위해 내놓은 제품으로 음료회사가 아닌 까닭에 유통상의 취약점을 약점으로 꼽을 수 있다. 비타500은 기존의 드링크 시장에 진입하였지만 카페인이 없는 음료수로서의 차별화를 강화한 제품으로 약국 뿐만 아니라 슈퍼마켓, 편의점 등에서의 유통을 시도하고 있지만 다소 어려움이 있다.
(3) 기회
-업계 최초로 마시는 비타민을 출시-
드링크 시장에서 비타민 음료시장은 지난해에는 전년 보다 1백%이상 급팽창하여, 7백 30억원대로 성장하였다. 국내 비타민 음료시장을 개척한 데는 비타500의 힘이 컸다고 자타가 공인하고 있다.
-해외시장-
광동제약이 만든 드링크제 `비타500` 500만병이 해외로 수출된다. 미국 서부와 동부지역에 `비타500` 100만 달러어치를 수출키로 하고 지난 3월 25일 1차분 20만 달러 어치를 처음으로 선적했다. 이날 선적분 20만 달러 어치는 50만4000병에 해당되는 규모로 이 회사 올 수출목표인 200만불 중 10%에 해당한다. 광동제약은 현재 미국인도네시아홍콩동남아일본 등에 수출계약을 체결했으며, 점차 시장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4) 위협
-드링크 시장에서의 경쟁업체-
짭은 시간에 폭
추천자료
웅진 쿠첸의 밥솥 시장 1위를 위한 마케팅전략 제안 (쿠쿠홈시스와와 쿠첸의 비교분석)
[경영과의사결정]3세대 이동통신시장에서의 SKT와 KTF 마케팅전략 비교분석
비타500 vs 박카스 마케팅전략 비교분석
맥도날드(McDonald) vs 크라제버거(Kraze Burger) 마케팅전략 비교분석보고서
콜드스톤(Cold Stone) VS 베스킨라빈스(Baskin Robbins) 기업분석과 마케팅전략 비교분석 및 ...
국내 국외 자동차 비교분석 ,마케팅, 성공사례, 마케팅전략, 성공전략, 경영전략분석, 경영전...
HIS코리아와 체스투어즈 비교분석 및 마케팅, 성공사례, 마케팅전략, 성공전략, 경영전략분석...
맥심(MAXIM) VS 프렌치카페 카페믹스 마케팅전략 비교분석 및 나의견해
빈폴아웃도어 VS K2 마케팅전략 비교분석 (.ppt)
빕스 vs 에슐리 (VIPS vs Ashley) 서비스 마케팅전략 비교분석
이디야 커피(Ediya Coffee) vs 카페베네(Café bene) vs 스타벅스(Starbucks) 서비...
[대한항공 서비스마케팅전략연구] 대한항공(Korean Air) 기업분석과 대한항공 마케팅 7P,SWOT...
CGV 마케팅전략 - CJ CGV 기업분석과 CGV 마케팅 4P,SWOT,STP전략분석및 CGV 경쟁사전략(롯데...
Playstation2 와 X-BOX 마케팅전략 비교분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