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영국의 지역주의
[2] 영국의 자연⋅지리
1) 영국의 자연지리
2) 영국의 지세(地勢)
3) 영국의 기후
4) 영국의 생물상
5) 영국
6) 웨일즈
7) 스코틀랜드
8) 아일랜드
[3] 영국 4대권역의 경제
1) 경제구조의 특징과 변모 - 제 2차 세계대전 이전 개관
2) 제 2차 세계대전뒤의 영국 경제 - 인플레이션과 장기 침체
3) 경제 현황
[4] 영국의 사회
1) 산업 및 노동력
2) 교육 및 생활환경
3) 공휴일
4) 각 지역의 금연 정책
[5] 영국의 정치
1) 각 지역별 국기와 문장
2) 각 지역별 전체적 역사
3) 각 지역별 정치 제도
[6] 영국의 문화
1) 음식 문화
2) 의복 문화
3) 음주 문화
4) 여가 활동
5) 예술 활동
[7] 참고 문헌 및 사이트
[2] 영국의 자연⋅지리
1) 영국의 자연지리
2) 영국의 지세(地勢)
3) 영국의 기후
4) 영국의 생물상
5) 영국
6) 웨일즈
7) 스코틀랜드
8) 아일랜드
[3] 영국 4대권역의 경제
1) 경제구조의 특징과 변모 - 제 2차 세계대전 이전 개관
2) 제 2차 세계대전뒤의 영국 경제 - 인플레이션과 장기 침체
3) 경제 현황
[4] 영국의 사회
1) 산업 및 노동력
2) 교육 및 생활환경
3) 공휴일
4) 각 지역의 금연 정책
[5] 영국의 정치
1) 각 지역별 국기와 문장
2) 각 지역별 전체적 역사
3) 각 지역별 정치 제도
[6] 영국의 문화
1) 음식 문화
2) 의복 문화
3) 음주 문화
4) 여가 활동
5) 예술 활동
[7] 참고 문헌 및 사이트
본문내용
서 혼인·입적 등의 문제를 약식법원에서 다루고, 그 이외의 문제는 주법원(州法院)에서 취급한다. 약식법원의 재판에 관한 항소는 고등법원 가족부로 가며, 주법원 및 고등법원의 재판에 대한 항소는 항소원 민사부로 간다. 민사사건 최종심도 상원에서 한다. 상원에서는 항소관인 의원만이 판사가 된다. 재판관은 대법관의 추천에 따라 국왕이 임명한다. 또한 추밀원 사법위원회는 대법관·법관·추밀고문관으로 구성되며, 채널제도(諸島)·맨섬·해외속령(海外屬領)과 상소권을 폐지하지 않은 연방 여러 나라의 법원, 그리고 교회법원으로부터 온 상소를 최종적으로 심리한다.
(7)지방자치제도
1974년에 지방자치제도가 대규모로 재편성되었다. 이 개혁을 통하여 그레이트런던을 제외한 잉글랜드와 웨일스에서 종래의 58주, 1250개의 시·구·읍·면은 53주와 그 안에 포함되는 369지구로 통합·정비되었다. 이들은 주민들에 의해 선출된 의회를 가지는 독립된 자치체이다.
주정부는 광역에 걸쳐 교통·소방·치안·소비자보호 등의 행정을 시행하고, 지구정부는 공원·주택 등 더 지역적인 행정에 임한다. 잉글랜드의 6주는 인구밀도가 높은 대도시권에 있고, 광역행정은 시(市)를 통해서도 시행된다. 웨일스의 지방제도는 잉글랜드 비대도시권과 같다.
2000년 인구 약 710만의 그레이트런던은 그레이트런던주의회와 32개 특별시의회 및 옛 런던시의회에 의해 행정이 이루어지고 있다. 스코틀랜드는 34개 지구로 나뉘어 있으며, 각 지역에 의회가 있다. 북아일랜드에는 27개의 지구의회가 있고, 웨일스에는 22개 지구의회가 있다. 지방의원의 임기는 4년, 선거권은 해당지역에 거주하는 18세 이상의 남녀, 피선거권은 해당지역 선거권자로 되어 있다. 중앙정부는 지방자치단체의 여러 가지 사업에 보조금을 교부하고 있으며,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자립도는 해마다 떨어져서 중앙정부의 교부금이 지방자치단체 세입(歲入)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8)정당
정당은 의회와 정부, 지방자치단체의 기초로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지금의 주요정당은 대부분이 조직정당 또는 국민정당이다. 19세기 후반부터 보수당과 자유당은 노동자계급을 지지기반에 끌어들인 정당으로 변모해 있었다. 20세기에 자유당을 대신한 노동당은 중산계급까지를 기반으로 하는 정당으로 성장하였다. 보수·노동 2대정당은 제2차세계대전 뒤 20여 년에 걸쳐 안정도가 높은 정당이었다. 양당의 득표율 합계는 1951년에 96.8%를 기록하였다. 그러나 1974년에는 75% 전후로 떨어졌다가, 1979년에는 80%대를 회복하였다. 그 후 1983년에는 다시 70%로 내려갔다.
1960년대 이래 경제의 악화로 2대 정당에서 이탈자가 생겼고, 자유당이 재생할 기미가 보였으며, 민족주의정당인 스코틀랜드민족당과 공산당이 대두하였다. 1981년에는 노동당을 이탈한 의원들을 주축으로 하는 27명의 하원의원이 사회민주당을 결성하였고, 1988년 자유당과 사회민주당의 일부가 합병하여 사회민주자유당이 생겼다. 2003년 주요정당은 보수당, 노동당, 자민당, 스코틀랜드통일당, 스코틀랜드민족당, 사회민주노동당, 얼스터민족통일당, 신페인, 웨일스민족당 등이다.
(9)선거
하원의원 선거는 전국 650개의 소선거구에서 단순다수대표제로 1명씩 선출한다. 이 선거제도는 2대 정당에 유리한 결과를 가져왔다. 1969년 선거권을 가지는 나이는 20세에서 18세로 낮아졌다. 피선거권을 가지는 나이는 전과 같이 21세 이상이다. 선거권은 영국에 거주하는 아일랜드공화국 국민에게도 주어진다. 그러나 피선거권은 영국국민에게만 주어진다. 군인이나 선원 등 투표를 할 수 없는 사람들은 대리투표나 우편투표를 하며, 신체장애나 업무 때문에 당일에 투표할 수 없는 사람들도 우편투표를 할 수 있다.
투표는 의무제는 아니지만 대체로 높은 참가율을 보인다. 후보자 공탁금은 150파운드로서 유효투표수의 1/8 이상을 득표하지 못하면 국고로 들어간다. 소선거구제가 도입된 1884년 이전에 제정된 ‘부패·위법행위방지법‘에 의해 선거는 차츰 공명해져서 법정비용의 한도 내에서 선거가 치러지고 있다.
(10)압력단체
압력단체는 사회의 어느 부분의 특수한 이익을 추구하는 형과, 집단의 특정한 태도에서 발생하는 목적추구형이 있다. 압력단체들은 중앙 및 지방의 정책결정과정에서 무시할 수 없는 위치를 차지한다. 특수한 이익을 추구하는 압력단체의 대표적인 것에는 노동계의 노동조합회의(TUC;112개 노동조합, 회원 1180만 명)와 경제계의 영국산업연맹(CBI) 등이 있다.
목적추구형에는 핵군축운동연합(CND)이 있다. 경제단체 등의 압력단체는 정권을 획득할 만한 정당과 밀접한 관계가 있어서, 정당과 구별하기 어려운 면이 있다. 노동당은 그 인재·자금을 노동조합회의나 개개의 노동조합·소비조합 등에 의존하며, 보수당은 정치자금을 경제계에 의존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압력단체들은 정당과 다른 독자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다. 정부가 바뀌어도 정책을 결정할 때에는 정부하고 직접 협상을 하도록 되어있다. 1950년대 이후 해마다 500개가 넘는 정부의 자문위원회와 심의회에 압력단체 대표가 참가하고 있다. 1960년대부터 노동조합회의나 영국산업연맹은 정부의 정책결정기구에 참여하고 있으며, 국민경제발전회의(NEDC)를 비롯하여 100곳이 넘는 중요한 정부기관에 대표를 보내고 있다. 이러한 결정방식은 3분주의(三分主義;tripartism) 또는 협조조합주의라고 한다.
[6] 영국의 문화
1) 음식문화
영국의 전통 음식은 그다지 좋은 평판을 가지고 있지 않지만 최근에는 건강, 음식, 요리에 대한 대중의 큰 관심에 식생활에 있어서도 큰 발전이 이루어졌다. 영국에는 제이미 올리버를 비롯한 다양한 수퍼 스타급 요리사가 있으며 이들은 다양한 텔레비전 요리 프로그램을 통해 요리에 대한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1) 잉글랜드
순 대와 비슷한 블랙 푸딩(black pudding), 잉글랜드 북부 요크셔의 쇠고기 요리와 함께 제공되는 페스츄리와 비슷한 요크셔 푸딩이 유명하다.
(2) 스코틀랜드
순대와 비슷한 하기스(haggis), 버터향이 그윽한 비스켓인 숏브레드(shortbread), 오트케
(7)지방자치제도
1974년에 지방자치제도가 대규모로 재편성되었다. 이 개혁을 통하여 그레이트런던을 제외한 잉글랜드와 웨일스에서 종래의 58주, 1250개의 시·구·읍·면은 53주와 그 안에 포함되는 369지구로 통합·정비되었다. 이들은 주민들에 의해 선출된 의회를 가지는 독립된 자치체이다.
주정부는 광역에 걸쳐 교통·소방·치안·소비자보호 등의 행정을 시행하고, 지구정부는 공원·주택 등 더 지역적인 행정에 임한다. 잉글랜드의 6주는 인구밀도가 높은 대도시권에 있고, 광역행정은 시(市)를 통해서도 시행된다. 웨일스의 지방제도는 잉글랜드 비대도시권과 같다.
2000년 인구 약 710만의 그레이트런던은 그레이트런던주의회와 32개 특별시의회 및 옛 런던시의회에 의해 행정이 이루어지고 있다. 스코틀랜드는 34개 지구로 나뉘어 있으며, 각 지역에 의회가 있다. 북아일랜드에는 27개의 지구의회가 있고, 웨일스에는 22개 지구의회가 있다. 지방의원의 임기는 4년, 선거권은 해당지역에 거주하는 18세 이상의 남녀, 피선거권은 해당지역 선거권자로 되어 있다. 중앙정부는 지방자치단체의 여러 가지 사업에 보조금을 교부하고 있으며,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자립도는 해마다 떨어져서 중앙정부의 교부금이 지방자치단체 세입(歲入)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8)정당
정당은 의회와 정부, 지방자치단체의 기초로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지금의 주요정당은 대부분이 조직정당 또는 국민정당이다. 19세기 후반부터 보수당과 자유당은 노동자계급을 지지기반에 끌어들인 정당으로 변모해 있었다. 20세기에 자유당을 대신한 노동당은 중산계급까지를 기반으로 하는 정당으로 성장하였다. 보수·노동 2대정당은 제2차세계대전 뒤 20여 년에 걸쳐 안정도가 높은 정당이었다. 양당의 득표율 합계는 1951년에 96.8%를 기록하였다. 그러나 1974년에는 75% 전후로 떨어졌다가, 1979년에는 80%대를 회복하였다. 그 후 1983년에는 다시 70%로 내려갔다.
1960년대 이래 경제의 악화로 2대 정당에서 이탈자가 생겼고, 자유당이 재생할 기미가 보였으며, 민족주의정당인 스코틀랜드민족당과 공산당이 대두하였다. 1981년에는 노동당을 이탈한 의원들을 주축으로 하는 27명의 하원의원이 사회민주당을 결성하였고, 1988년 자유당과 사회민주당의 일부가 합병하여 사회민주자유당이 생겼다. 2003년 주요정당은 보수당, 노동당, 자민당, 스코틀랜드통일당, 스코틀랜드민족당, 사회민주노동당, 얼스터민족통일당, 신페인, 웨일스민족당 등이다.
(9)선거
하원의원 선거는 전국 650개의 소선거구에서 단순다수대표제로 1명씩 선출한다. 이 선거제도는 2대 정당에 유리한 결과를 가져왔다. 1969년 선거권을 가지는 나이는 20세에서 18세로 낮아졌다. 피선거권을 가지는 나이는 전과 같이 21세 이상이다. 선거권은 영국에 거주하는 아일랜드공화국 국민에게도 주어진다. 그러나 피선거권은 영국국민에게만 주어진다. 군인이나 선원 등 투표를 할 수 없는 사람들은 대리투표나 우편투표를 하며, 신체장애나 업무 때문에 당일에 투표할 수 없는 사람들도 우편투표를 할 수 있다.
투표는 의무제는 아니지만 대체로 높은 참가율을 보인다. 후보자 공탁금은 150파운드로서 유효투표수의 1/8 이상을 득표하지 못하면 국고로 들어간다. 소선거구제가 도입된 1884년 이전에 제정된 ‘부패·위법행위방지법‘에 의해 선거는 차츰 공명해져서 법정비용의 한도 내에서 선거가 치러지고 있다.
(10)압력단체
압력단체는 사회의 어느 부분의 특수한 이익을 추구하는 형과, 집단의 특정한 태도에서 발생하는 목적추구형이 있다. 압력단체들은 중앙 및 지방의 정책결정과정에서 무시할 수 없는 위치를 차지한다. 특수한 이익을 추구하는 압력단체의 대표적인 것에는 노동계의 노동조합회의(TUC;112개 노동조합, 회원 1180만 명)와 경제계의 영국산업연맹(CBI) 등이 있다.
목적추구형에는 핵군축운동연합(CND)이 있다. 경제단체 등의 압력단체는 정권을 획득할 만한 정당과 밀접한 관계가 있어서, 정당과 구별하기 어려운 면이 있다. 노동당은 그 인재·자금을 노동조합회의나 개개의 노동조합·소비조합 등에 의존하며, 보수당은 정치자금을 경제계에 의존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압력단체들은 정당과 다른 독자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다. 정부가 바뀌어도 정책을 결정할 때에는 정부하고 직접 협상을 하도록 되어있다. 1950년대 이후 해마다 500개가 넘는 정부의 자문위원회와 심의회에 압력단체 대표가 참가하고 있다. 1960년대부터 노동조합회의나 영국산업연맹은 정부의 정책결정기구에 참여하고 있으며, 국민경제발전회의(NEDC)를 비롯하여 100곳이 넘는 중요한 정부기관에 대표를 보내고 있다. 이러한 결정방식은 3분주의(三分主義;tripartism) 또는 협조조합주의라고 한다.
[6] 영국의 문화
1) 음식문화
영국의 전통 음식은 그다지 좋은 평판을 가지고 있지 않지만 최근에는 건강, 음식, 요리에 대한 대중의 큰 관심에 식생활에 있어서도 큰 발전이 이루어졌다. 영국에는 제이미 올리버를 비롯한 다양한 수퍼 스타급 요리사가 있으며 이들은 다양한 텔레비전 요리 프로그램을 통해 요리에 대한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1) 잉글랜드
순 대와 비슷한 블랙 푸딩(black pudding), 잉글랜드 북부 요크셔의 쇠고기 요리와 함께 제공되는 페스츄리와 비슷한 요크셔 푸딩이 유명하다.
(2) 스코틀랜드
순대와 비슷한 하기스(haggis), 버터향이 그윽한 비스켓인 숏브레드(shortbread), 오트케
추천자료
[파워 포인트] 영국 문화 소개
[미국의 도서관사][영국의 도서관사][중국의 도서관사][한국의 도서관사][도서관사][미국][영...
물질문명과 자본주의 Ⅲ-1 (세계의 시간 上) 프랑스와 영국
조선대 영국생활문화 퀴즈 총모음(최근)
유럽문화와사회 - 유럽(영국)의 주요도시
각국의 형사사법체계 (영국, 미국, 독일, 프랑스, 프랑스, 일본, 중국)
97,대도시권관리,신도시,시가지개발,영국사례,런던 대도시권,신도시,시가지재개발,런던대도시...
가고싶은 여행지 소개하기 - 영국(United Kingdom)
외국의 장애인 복지정책 (미국, 영국, 호주, 일본, 독일의 의료 및 소득보장정책, 교육정책, ...
자치경찰제 도입을 위한 과제와 전망 - 자치경찰의 의의 & 영국과 미국, 일본의 자치경찰...
대륙법계 경찰제도와 영미법계 경찰제도의 고찰 - 영국과 미국의 경찰역사와 체제 & 독일...
[방통대 3학년 1학기 영어권 국가의 이해 C형]- 중간과제물 (과제명 : 영국사와 관련된 다음...
실제 만점 과제물 - 2018 영어영문학과 3학년 영어권국가의 이해 중간과제 B형 Henry VIII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