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프랑스 : 자신의 거대성의 희생자
1. 다양성과 통일성
2. 자연적인 연결, 인공적인 연결
3. 우선은 정치적인 현상이었다
4. 공간의 과잉
5. 파리와 리옹
6. 파리가 승리하다
7. 역사에서의 미분(微分)
8. 루앙-제네바 구분선 : 찬성과 반대
9. 해상 및 대륙에서의 변경구역
10. “또다른 프랑스”의 도시들
11. 내부
12. 변방에 의해서 정복된 내부
영국의 상업적 우위
1. 영국은 어떻게 해서 섬나라가 되었는가?
2. 파운드 스털링 화
3. 런던이 창조한 전국시장, 전국시장이 창조한 런던
4. 잉글랜드가 어떻게 영국이 되었는가?
5. 영국의 위대함과 공채
6. 베르사유 조약(1783)으로부터 이든 조약(1786)까지
7. 통계는 문제를 잘 보여주지만 해결하지는 못한다
1. 다양성과 통일성
2. 자연적인 연결, 인공적인 연결
3. 우선은 정치적인 현상이었다
4. 공간의 과잉
5. 파리와 리옹
6. 파리가 승리하다
7. 역사에서의 미분(微分)
8. 루앙-제네바 구분선 : 찬성과 반대
9. 해상 및 대륙에서의 변경구역
10. “또다른 프랑스”의 도시들
11. 내부
12. 변방에 의해서 정복된 내부
영국의 상업적 우위
1. 영국은 어떻게 해서 섬나라가 되었는가?
2. 파운드 스털링 화
3. 런던이 창조한 전국시장, 전국시장이 창조한 런던
4. 잉글랜드가 어떻게 영국이 되었는가?
5. 영국의 위대함과 공채
6. 베르사유 조약(1783)으로부터 이든 조약(1786)까지
7. 통계는 문제를 잘 보여주지만 해결하지는 못한다
본문내용
물질문명과 자본주의 Ⅲ-1 (세계의 시간 上)
제4장 전국시장
프랑스 : 자신의 거대성의 희생자
1. 다양성과 통일성
2. 자연적인 연결, 인공적인 연결
3. 우선은 정치적인 현상이었다
4. 공간의 과잉
5. 파리와 리옹
6. 파리가 승리하다
7. 역사에서의 미분(微分)
8. 루앙-제네바 구분선 : 찬성과 반대
9. 해상 및 대륙에서의 변경구역
10. “또다른 프랑스”의 도시들
11. 내부
12. 변방에 의해서 정복된 내부
영국의 상업적 우위
1. 영국은 어떻게 해서 섬나라가 되었는가?
2. 파운드 스털링 화
3. 런던이 창조한 전국시장, 전국시장이 창조한 런던
4. 잉글랜드가 어떻게 영국이 되었는가?
5. 영국의 위대함과 공채
6. 베르사유 조약(1783)으로부터 이든 조약(1786)까지
7. 통계는 문제를 잘 보여주지만 해결하지는 못한다
프랑스 : 자신의 거대성의 희생자
프랑스 - 정치적 : 최초의 근대국가
- 경제적 : 18C 후반 비약적인 발전이 이루어질 때까지 전국시장과는 거리가 멀었다.
전국시장의 출현은 도처에 편재하는 타성 타성 : 경험으로 굳어진 버릇, 프랑스 타성의 원천은 국가의 크기가 엄청나게 크다는 것.
에 대한 저항이며 교환과 연결을 만드는 움직임이다.
프랑스 - 극소수 : 거대한 외부 세계와 연결
- 대다수(시골의 태반, 읍의 거의 대부분, 도시) : 자급자족
프랑스 경제 : 잘게 구획되어 있고 지방화 되어 있는 자체폐쇄적인 소규모 개별경제들의 집합.
1. 다양성과 통일성
외부의 경제생활로부터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 프랑스의 지방들은 협소한 공간 내에서 자급자족적인 방식으로 각기 제 빛깔대로 살아가며 같은 경제적 언어를 사용한다.
- 18C, 라자로 회 수도원 : 주로 자급자족, 일부 품목만 가까운 시장에서 사들였다. 가끔 파발꾼이 안시나 제네바에서 의약품, 향신료, 설탕 등의 특별한 물품을 사오곤 했다.
- 스뮈르 : 교통의 요지가 아니고 운항이 가능한 강과도 멀리 떨어져 있었기 때문에 자체 내에 한정되어 살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이웃 지역(오세르, 아발롱)과 약간의 연결은 유지하고 있는 편이었다.
- 브르타뉴 내부, 마시프 상트랄 : 거의 자급자족 상태
- 바루아 : 상파뉴, 로렌 지역과 관계를 맺고, 뫼즈 강을 통해 포도주를 네덜란드로 수출하였지만 크게 다를 바 없었다.
교통의 요지에 자리잡고 있는 지역이나 도시에서는 수송로가 사방으로 퍼져나가고 있다.
- 베르
제4장 전국시장
프랑스 : 자신의 거대성의 희생자
1. 다양성과 통일성
2. 자연적인 연결, 인공적인 연결
3. 우선은 정치적인 현상이었다
4. 공간의 과잉
5. 파리와 리옹
6. 파리가 승리하다
7. 역사에서의 미분(微分)
8. 루앙-제네바 구분선 : 찬성과 반대
9. 해상 및 대륙에서의 변경구역
10. “또다른 프랑스”의 도시들
11. 내부
12. 변방에 의해서 정복된 내부
영국의 상업적 우위
1. 영국은 어떻게 해서 섬나라가 되었는가?
2. 파운드 스털링 화
3. 런던이 창조한 전국시장, 전국시장이 창조한 런던
4. 잉글랜드가 어떻게 영국이 되었는가?
5. 영국의 위대함과 공채
6. 베르사유 조약(1783)으로부터 이든 조약(1786)까지
7. 통계는 문제를 잘 보여주지만 해결하지는 못한다
프랑스 : 자신의 거대성의 희생자
프랑스 - 정치적 : 최초의 근대국가
- 경제적 : 18C 후반 비약적인 발전이 이루어질 때까지 전국시장과는 거리가 멀었다.
전국시장의 출현은 도처에 편재하는 타성 타성 : 경험으로 굳어진 버릇, 프랑스 타성의 원천은 국가의 크기가 엄청나게 크다는 것.
에 대한 저항이며 교환과 연결을 만드는 움직임이다.
프랑스 - 극소수 : 거대한 외부 세계와 연결
- 대다수(시골의 태반, 읍의 거의 대부분, 도시) : 자급자족
프랑스 경제 : 잘게 구획되어 있고 지방화 되어 있는 자체폐쇄적인 소규모 개별경제들의 집합.
1. 다양성과 통일성
외부의 경제생활로부터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 프랑스의 지방들은 협소한 공간 내에서 자급자족적인 방식으로 각기 제 빛깔대로 살아가며 같은 경제적 언어를 사용한다.
- 18C, 라자로 회 수도원 : 주로 자급자족, 일부 품목만 가까운 시장에서 사들였다. 가끔 파발꾼이 안시나 제네바에서 의약품, 향신료, 설탕 등의 특별한 물품을 사오곤 했다.
- 스뮈르 : 교통의 요지가 아니고 운항이 가능한 강과도 멀리 떨어져 있었기 때문에 자체 내에 한정되어 살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이웃 지역(오세르, 아발롱)과 약간의 연결은 유지하고 있는 편이었다.
- 브르타뉴 내부, 마시프 상트랄 : 거의 자급자족 상태
- 바루아 : 상파뉴, 로렌 지역과 관계를 맺고, 뫼즈 강을 통해 포도주를 네덜란드로 수출하였지만 크게 다를 바 없었다.
교통의 요지에 자리잡고 있는 지역이나 도시에서는 수송로가 사방으로 퍼져나가고 있다.
- 베르
추천자료
신자유주의 시대에 따른 우리의 세계화(중국의 wto)
한국 경제에 대한 분석 - 한국사회 재구조화와 글로벌 자본주의-민영화,자본주의 등에 관한 고찰
동아세계체제형성의 정치경제학 -중국의 역할과 한계
프랑스 해부 - 정치,경제를 중심으로
종속이론과 세계체제론
유럽통합(EU)과 세계화에 대하여
WTO 세계무역기구
신자유주의(세계화에 대한 비판)
제 2 차 세계대전
세계화와 국민국가에 대한 모든것
지구화(세계화)의 의미와 특성, 지구화(세계화)의 배경, 지구화(세계화)와 한반도, 지구화(세...
『멋진 신세계』속의 미래 사회의 모습
최근 신자유주의 및 세계화의 경향은 우리나라 사회복지와 어떻게 연관되고 있는지 논의하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