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의 경찰제도(덴마크, 호주, 캐나다등등)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유럽의 경찰제도(덴마크, 호주, 캐나다등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덴마크의 경찰제도 >
1.덴마크의 국가 현황
2. 자치경찰로 출발
3.경찰에서 국가경찰로 전환이유
4.경찰조직체계
5.경찰의 종류
6.수사제도의 특징
7.덴마크의 예방경찰활동

< 그리스의 경찰제도 >
1.그리스의 국가 현황
2. 그리스의 경찰제도
1)중앙경찰조직
2)지방경찰조직

<핀란드 경찰제도>
1. 국가현황
2.시의회
3.경찰조직
(1)중앙경찰기관
(2)지방경찰기관
4.경찰의 특색

<캐나다의 경찰제도>
1. 국가현황
2. 지방자치제도
(1)연방정부
(2)주정부
(3)지방자치단체
3. 경찰제도
(1)국가경찰
(2)주경찰
(3)자치경찰
4. 수사제도
※RCMP

〈호주의 경찰제도〉
1. 국가현황
2. 경찰제도
(1)국가 경찰
(2)주 경찰
(3)수사제도

〈뉴질랜드의 경찰제도〉
1. 국가 현황
2. 뉴질랜드의 경찰제도

〈이스라엘의 경찰제도〉
1. 현황
2. 군사
3. 한국과의 관계
4. 경찰조직
5. 경찰의 특징

본문내용

이 있지만 여러주를 넘나드는 범죄, 테러방지/방첨, 마약범죄등 강력범죄들을 다루는 부서이다. 쉽게 이야기 하면 미국의 FBI와 연방 보안관 (Federal Marshall) 같은 부서이다.
〈호주의 경찰제도〉
1. 국가현황
호주의 인구는 1.831만 명이며 면적은 770만㎢에 달한다. ud국의 연방이었던 관RP로 영어를 사용하며 성공회, 천주교, 그리스 정교로 이루어져 있다. 유럽계 인종이 96%이고 아시아계는 고작 4%에 그치고 있다. 1인당 GDP는 대략 24,000 달러이다. 연방제, 양원제, 그리고 의원내각제를 취하고 있다. 6개의 주(State)와 2개의 준주(Territory)가 있는데 2개의준주는 수도자치구와 북부자치구를 말한다. 연방정부는 국가행정 전반에 대한 업무를 수행하고 항공, 국방, 외교, 우편 원거리 통신에 관한 문제를 취급한다. 주정부는 교육, 교통, 사법, 보건, 농업, 광업에 관계되는 행정을 다룬다. 그리고 지방정부는 도시계획, 도로, 교각, 상하수도, 조례제정, 공원과 휴양시설의 관리, 공공도서관, 지역사회기구 등을 다룬다.
2. 경찰제도
연방경찰과 주 경찰로 구분되는데 형법도 주에 의해 제정된다. 연방이나 주들은 각각 중앙집권적인 경찰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1) 국가 경찰
호주의 경찰조직은 법무장관을 정점으로 경찰정책을 내놓고 이것을 경찰청장이 실제상에서 운영해 나가고 있다. 한국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조직은 크게 3가지로 나뉘어지는데 수도경찰청, 지원부, 차장의 지휘를 받는 운용부가 바로 그것이다. 국가경찰은 국가의 이익을 침해하는 범죄수사를 담당하고 있고 국제경찰로서의 역할도 담당하고 있다. 수도지역 및 호주령(The External Territory)지역에 대한 지역경찰이 있다. 그리고 각주에는 연방경찰 주재관을 파견하고 있다.
(2) 주경찰
호주의 주경찰 조직을 보면 대체적으로 주정부 부처중의 하나로 주경찰이 조직되어 있다. 주경찰은 운용부(Operations)와 지원부(Resource Management)로 구성되어 있다. 주경찰은 주관할 지역내의 일반적인 범죄예방과 진압, 교통단속 등을 담당한다. 또한 주에 따라서는 일반 경찰 업무 이외의 어업, 산림, 광산의 감시 등의 의무를 수행하기도 한다. 그리고 산간벽지 등 비교적 인구가 적은 지역에서는 경찰관 1명이 주재하는 경우도 있고 경찰업무와는 달리 호적이나 출생과 같은 일반행정 사무도 취급하고 있기도 하다.
(3)수사제도
호주 검찰은 수사기관이 아니다. 즉 호주 연방경찰이나 기타의 수사기관의 수사가 종결되었을 때에만 검찰은 기소가 가능하게 수사제도가 짜여져 있다. 그러나 물론 검찰은 경찰기관의 수사단계에서 정기적으로 조언이나 도움을 줄 수 있다.
〈뉴질랜드의 경찰제도〉
1. 국가 현황
뉴질랜드는 2002년을 기준으로 인구수가 389만 명에 그치고 있다. 면적은 27만㎢에 이르고 있으며 기독교가 70%이고 천주교는 16%정도다. 국민은 원어민인 마리오족이 9%이고 유럽계가 87%를 차지하고 있다. 1인당 GDP는 14.000달러 정도이다. 영연방 입헌군주제로 의원내각제를 취하고 있다. 12개의 광역의회가 기능하고 있고 74개의 지방자치단체로 이루어져 있다. Territorial Authority와 4개의 기초의회는 광역의회의 기능을 겸하고 있다. 기초의회는 15개의 시의회와 59개의 자치구의회(District Council/시골지역)로 구성되며 시장과 의원은 주민선거로 선출된다. 한편 광역의회는 자원관리, 생명자원 보호, 저수지 관리, 항만관리, 지역 민방위 대책, 수송관리를 담당하고 지방자치단체는 지역발전, 환경, 도로 쓰레기, 수도, 문화, 도시계획 등의 업무를 취급한다.
2. 뉴질랜드의 경찰제도
뉴질랜드에 경찰이 창설된 것은 1867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각 주의 의회는 1853년 오클랜드, 뉴 폴리머드, 웰링턴, 넬슨, 켄터베리, 오카고에 최초로 주경찰을 창설하여 1877년 주경찰이 폐지되고, 국가경찰인 뉴질랜드 경찰의 지역조직으로 흡수 될 때까지 각 주의 치안을 유지해 나갔다. 현재 국가경찰을 유지하고 있다. 경찰장관은 일반적인 경찰업무의 행정에 대한 책임을 지고 있다. 역시 경찰청장의 경우 정부로부터 독립하여 경찰력을 통솔하고 있다. 경찰 지휘부는 경찰청장과 운영을 담당하는 1명의 차장과 지원을 담당하는 1명의 차장등 2명의 경찰차장으로 구성되는 관리위원회와 동의원회의 지역팀과 국장급인 경찰청장 보좌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뉴질랜드의 지방경찰조직은 총경(Superintendent)의 지휘를 받는 12개의 경찰서로 구성된다. 이 12개 경찰서는 2개에서 7개의 지역본부로 나누어 운영된다. 그리고 경찰서들은 중앙정부의 치안정책에 따라서 국가경찰의 지휘를 받는다. 그러나 지역의 법과 질서유지의 책임에 대한 많은 재량권을 가지고 있다. 뉴질랜드 경찰은 경찰청장, 차장, 국장, 총경, 경감, 경위, 경사, 경장, 순경으로 구성되는 경찰체제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경찰청장과 차장은 영국 여와의 대리인인 총독이 임명하고 있다. 경찰관의 승진은 자격시험을 통과한 다음에 또다시 심사를 거쳐서 최종적으로 결정하고 있다. 참고로 뉴질랜드 경찰의 계급구성을 보면 순경과 경장급이 75%를 차지하고, 경사급이 15%, 경위급이 5%, 그리고 경감이상은 5%를 차지하고 있다.
〈이스라엘의 경찰제도〉
1. 현황
이스라엘 면적은 2만 1000㎢이며 인구는 약617만 2,000명이다. 수도는 예루살렘이며 주요언어는 헤브라이어아라비아어이다. 종교는 유대교이슬람교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2000년의 국민총소득은 1명당 약1만 6710달러였다.
2. 군사
이스라엘은 아랍 여러 나라에 대항하기 위해 군비를 중강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스라엘군은 약 2만 명의 직업군인과 병역기관 중의 병사, 그리고 예비역 등으로 편성되어 있다. 국민개병제로 18세가 되면 남자는 3년, 여자는 1년 9개월의 병역의무를 지는데, 병역기관이 끝나면 예비역으로 편입되고 남자는 54세까지, 여자는 24세까지 해마다 1개월씩 훈련을 받고 있다. 정규군은 1997년 기준으로 17만 5000명 정도이다. 그러나 예비역을 소집하면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6.11.09
  • 저작시기2006.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709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