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브리 시가 문학 - 시편 8편 발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히브리 시가 문학 - 시편 8편 발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는 말

2. 본문

3.표제.

4. 양식비평

5.문학비평

6.구조비평

7.내용연구

8.나오는 말.

본문내용

소와 양과 들짐승이며
8.공중의 새와 바다의 물고기와 바닷길에 다니는 것이니이다
9.여호와 우리 주여 주의 이름이 온 땅에 어찌 그리 아름다운지요
3.표제.
시편 8편의 표제는 다윗의 시, 영장으로 깃딧에 맞춘 노래라 부여되어 있다. 다윗의 시라 함은 이시의 저자를 나타내는 것이고, 영장으로 깃딧에 맞춘 노래라는 것은 연주방식을 규정하는 내용이라 볼 수 있다. 본 시는 저술 배경에 대한 언급이 없어, 앞서 시편 3편에서 논의 했던 것과 같이 ‘미즈모르 레 다위드’에서 ‘레’의 다양한 의미에 대해 논할 여지는 없는 듯하다. 따라서 다윗이 지은 시라고 보는 것이 무방하다. 이런 관점에서 본시 가운데 하늘의 달과 별, 그리고 땅의 우양과 들짐승과 공중의 새와 바다의 어족 등 하나님의 다양한 창조물들이 등장하는 것으로 보아 다윗이 목동으로 생활하던 젊은 시절에 지었거나, 그 이후 그 시절을 회상하며 지었을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면 과연 ‘깃딧’이란 무엇인가? 깃딧의 의미는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지만 문맥상 연결되어 있는 영장의 의미가 성가대에서 지휘자라는 점을 가만할 때, 지휘자에게 일러주기 위한 연주방식을 규정하는 내용이라 할 수 있다. 이는 다시 악기의 일종인 ‘기티트 수금’을 가르키거나, 악조 혹은 악곡을 가르키거나, 아니면 일종의 축제 혹은 의식을 가르키는 것일지도 모른다. 이런 관점에서 본 시가 연주 지휘자의 인도를 받아 연주된 제의 음악 이
었음을 역시 알 수 있다.
4. 양식비평
시편 8편은 일반적인 관점에서 볼 때 “찬양의 노래”다. 그러나 좀더 정확하게는 ‘창조의 시’로 분류될 수도 있다. 또 이시는 하나님의 은총에 대한 감사를 노래한다는 점에서 감사 예배시로 분류되며 성전예배나 장막절과 같은 절기에 하나님께 감사를 표하는 찬양으로 사용되었다고 본다. 또 이 시에서 복수형의 말 ‘우리’와 단수형의 말 ‘저’가 번갈아가면서 사용된 데에서 예배라는 맹락에 아주 잘 어울렸을 듯 하다. 또한 신약에서 히브리어 기자가 본시의 내용을 메시야 사역과 연관시킨다는 점에서 (히2:6-9)메시야 예언시로서의 성격도 지닌다. 이는 천지를 창조하신 하나님께서는 인간에게 찬송 받으시기에 합당하시며, 태초에 이루신 하나님의 창조의 역사는 메시야를 통한 인간 구원과 그로인한 재창조의 역사와 긴밀한 관련을 지닌다는 점에 기인한 것이다.
5.문학비평
이시에서 운율을 느낄 수 있게 하는 요소는 수미상관과 압운이 있다. 먼저 이시는 1절과 9절을 모두 ‘여호와 우리 주여 주의 이름이 온 땅에 어찌 그리 아름다운지요’라는 구절을 사용하면서 시의 시작과 끝은 동일하게 하는 수미상관의 모습을 취하고 있다. 이는 시편을 비롯한 많은 고대시가에서 나타나는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이 수사법을 통해 본시는 안정성을 획득하고 반복을 통한 운율을 형성한다.
압운이란 둘 혹은 그 이상의 시행의 끝부분이 똑같은 소리를 가질 때를 일컫는 말으로 4절의 ‘티즈케렌누()’와 ‘티프케덴누()’에서의 앤누, 5,6절의 ‘왓테핫쎄레후’,‘테앗테레후’,‘타무쉴레후’에 나타나는 각

키워드

  • 가격1,1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6.11.13
  • 저작시기200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712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