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음성 언어와 문자 언어
2 문자의 역사
2 문자의 역사
본문내용
(마)에서 설명한 ‘한글’의 특징을 잘못 말한 것은? ④
① 만들어질 때부터 표음 문자였다.
② 발음 기관의 모양을 본떠 만든 과학적인 글자다.
③ 음소로 쪼갤 수 있어 컴퓨터 정보화 시대에 적합하다.
▶
④ 글자 자체가 의미를 가지고 있어 매우 효율적이다.
⑤ 자음과 모음이 질서 정연하게 배열되어 보기에 아름답다.
④ 표음 문자인 한글은 각각의 문자에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지 않다.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32~36)
(가) 언어 활동은 기본적으로 말하고 듣고 읽고 쓰는 네 가지로 분류된다. 이 중에서 말하기와 듣기는 ㉠‘음성 언어(音聲言語)’를 사용하는 언어 활동이고, 읽기와 쓰기는 ㉡‘문자 언어(文字言語)’를 사용하는 언어 활동이다. 음성 언어와 문자 언어는 모두 언어로서 일정한 기능을 담당하지만, 소리와 문자라는 특성 때문에 여러 측면에서 차이를 보인다.
(나) 형태가 분명한 대상들은 그림 문자로 표현하기가 쉬웠지만, 추상적인 대상이나 개념들은 그림 문자로 표현하기가 어려웠다. 그래서 다른 문자의 소리를 빌려서 쓰기도 하고, 이미 만들어져 있는 문자에 점 등을 첨가하여 별개의 의미나 별개의 소리를 나타내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일이 진행되면서 상대방이 그 문자의 의미를 잘못 받아들이는 경우가 생겨났다. 그래서 문자의 수를 한정하는 한편, 일부 그림 문자는 본래의 의미와 달리 발음의 전부나 일부분을 나타내는 것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이렇게 소리를 나타내는 문자가 바로 ‘표음 문자(表音文字)’이다.
(다) ‘발[足]’이라는 그림 문자는 본래 신체의 일부인 ‘발’만을 의미하였으나, 후에 ‘서다’의 의미도 함께 갖게 되었다. 하나의 그림 문자가 이처럼 연관되는 여러 의미를 나타내면서 그림 문자는 문자 하나하나가 일정한 의미를 나타내는 ‘표의 문자(表意文字)’로 발전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에서 문자의 모양도 점차 간소화되었다.
(라) 그림 문자는 어떤 대상을 관찰한 뒤에 이와 관련되는 의사를 표현한 것이다. 이런 경우, 그 대상을 있는 그대로 묘사하기보다는 약간의 추상화 과정을 거쳐 독자적인 부호를 사용한다. 그러나 이것이 문자로서의 의미를 지니기 위해서는, 대부분의 주변 사람들이 이를 하나의 약속으로 인정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문단의 이해] ★★★
(가)~(라)의 내용과 관계가 먼 것은? ③
① 음성 언어는 소리로 문자 언어는 문자로 전달된다.
② 전화 통화, 응원, 라디오 청취, 연설은 음성 언어 활동이다.
▶
③ 인간이 그린 동굴 벽화는 문자 언어에 포함된다.
④ 글자 하나하나가 일정한 뜻을 가진 한자는 표의문자이다.
⑤ 사전 찾기, 공책 필기, 전자 우편 보내기는 문자 언어 활동이다.
③ 동굴 벽화는 그림 문자에 포함된다.
[말하기와 쓰기의 차이] ★★★
‘말하기’와 ‘쓰기’가 여러 측면에서 차이를 보이는 이유를 (가)에서 찾아 2어절로 쓰시오. 소리와 문자
말하기는 ‘소리’, 쓰기는 ‘문자’ 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소리와 문자
[문자의 발달 순서] ★★
(나)~(라)를 문자의 발달 순서에 따라 알맞게 배열한 것은? ①
▶
① (라)→(다)→(나)② (라)→(나)→(다)
③ (나)→(다)→(라)④ (다)→(나)→(라)
⑤ (다)→(라)→(나)
(라) 그림 문자→(다) 표의 문자→(나) 표음 문자
[메모하기] ★★★
(나)~(라)의 문자를 다음 표와 같이 정리할 때 ㉡, ㉢에 들어갈 것으로 각각 알맞은 것은? ①
구분
(나)
(다)
(라)
발생
배경
문자 하나하나가
하나의 (㉠)를 나타내는 음절 문자와 음운 문자
문자 하나하나가
일정한 (㉡)를 나타내는 단어 문자
어떤 대상을 분석 한 뒤 추상화하여 독자적인 부호로 사용한 것
대표
적인
예
(㉢), 영어, 일본의 가나 문자
(㉣)
고대 이집트 문자, 중국의 갑골문자, 메소포타미아의 쐐기 문자의 원형
▶
① ㉡ 의미, ㉢ 한글② ㉡ 의미, ㉢ 한자
③ ㉡ 소리, ㉢ 한글④ ㉡ 소리, ㉢ 한자
⑤ ㉡ 부호, ㉢ 한글
(나) 표음 문자 (다) 표의 문자 (라) 그림 문자
㉠ 소리 ㉡ 의미 ㉢ 한글 ㉣ 한자
[언어의 특성] ★★★
다음 설명을 읽고 (라)에 나타난 언어의 특성을 쓰시오. 사회성
언어는 그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 사이의 약속이다. 언어는 사회적 약속이기 때문에 개인이 마음대로 바꿀 수 없다. ‘남을 가르치는 분’은 우리 나라에서 ‘선생님’으로, 영어로 ‘teacher’로 불리는 것은 그 사회의 약속이기 때문이다.
(라)에는 언어의 ‘사회성’이 나타나 있다.
사회성
① 만들어질 때부터 표음 문자였다.
② 발음 기관의 모양을 본떠 만든 과학적인 글자다.
③ 음소로 쪼갤 수 있어 컴퓨터 정보화 시대에 적합하다.
▶
④ 글자 자체가 의미를 가지고 있어 매우 효율적이다.
⑤ 자음과 모음이 질서 정연하게 배열되어 보기에 아름답다.
④ 표음 문자인 한글은 각각의 문자에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지 않다.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32~36)
(가) 언어 활동은 기본적으로 말하고 듣고 읽고 쓰는 네 가지로 분류된다. 이 중에서 말하기와 듣기는 ㉠‘음성 언어(音聲言語)’를 사용하는 언어 활동이고, 읽기와 쓰기는 ㉡‘문자 언어(文字言語)’를 사용하는 언어 활동이다. 음성 언어와 문자 언어는 모두 언어로서 일정한 기능을 담당하지만, 소리와 문자라는 특성 때문에 여러 측면에서 차이를 보인다.
(나) 형태가 분명한 대상들은 그림 문자로 표현하기가 쉬웠지만, 추상적인 대상이나 개념들은 그림 문자로 표현하기가 어려웠다. 그래서 다른 문자의 소리를 빌려서 쓰기도 하고, 이미 만들어져 있는 문자에 점 등을 첨가하여 별개의 의미나 별개의 소리를 나타내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일이 진행되면서 상대방이 그 문자의 의미를 잘못 받아들이는 경우가 생겨났다. 그래서 문자의 수를 한정하는 한편, 일부 그림 문자는 본래의 의미와 달리 발음의 전부나 일부분을 나타내는 것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이렇게 소리를 나타내는 문자가 바로 ‘표음 문자(表音文字)’이다.
(다) ‘발[足]’이라는 그림 문자는 본래 신체의 일부인 ‘발’만을 의미하였으나, 후에 ‘서다’의 의미도 함께 갖게 되었다. 하나의 그림 문자가 이처럼 연관되는 여러 의미를 나타내면서 그림 문자는 문자 하나하나가 일정한 의미를 나타내는 ‘표의 문자(表意文字)’로 발전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에서 문자의 모양도 점차 간소화되었다.
(라) 그림 문자는 어떤 대상을 관찰한 뒤에 이와 관련되는 의사를 표현한 것이다. 이런 경우, 그 대상을 있는 그대로 묘사하기보다는 약간의 추상화 과정을 거쳐 독자적인 부호를 사용한다. 그러나 이것이 문자로서의 의미를 지니기 위해서는, 대부분의 주변 사람들이 이를 하나의 약속으로 인정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문단의 이해] ★★★
(가)~(라)의 내용과 관계가 먼 것은? ③
① 음성 언어는 소리로 문자 언어는 문자로 전달된다.
② 전화 통화, 응원, 라디오 청취, 연설은 음성 언어 활동이다.
▶
③ 인간이 그린 동굴 벽화는 문자 언어에 포함된다.
④ 글자 하나하나가 일정한 뜻을 가진 한자는 표의문자이다.
⑤ 사전 찾기, 공책 필기, 전자 우편 보내기는 문자 언어 활동이다.
③ 동굴 벽화는 그림 문자에 포함된다.
[말하기와 쓰기의 차이] ★★★
‘말하기’와 ‘쓰기’가 여러 측면에서 차이를 보이는 이유를 (가)에서 찾아 2어절로 쓰시오. 소리와 문자
말하기는 ‘소리’, 쓰기는 ‘문자’ 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소리와 문자
[문자의 발달 순서] ★★
(나)~(라)를 문자의 발달 순서에 따라 알맞게 배열한 것은? ①
▶
① (라)→(다)→(나)② (라)→(나)→(다)
③ (나)→(다)→(라)④ (다)→(나)→(라)
⑤ (다)→(라)→(나)
(라) 그림 문자→(다) 표의 문자→(나) 표음 문자
[메모하기] ★★★
(나)~(라)의 문자를 다음 표와 같이 정리할 때 ㉡, ㉢에 들어갈 것으로 각각 알맞은 것은? ①
구분
(나)
(다)
(라)
발생
배경
문자 하나하나가
하나의 (㉠)를 나타내는 음절 문자와 음운 문자
문자 하나하나가
일정한 (㉡)를 나타내는 단어 문자
어떤 대상을 분석 한 뒤 추상화하여 독자적인 부호로 사용한 것
대표
적인
예
(㉢), 영어, 일본의 가나 문자
(㉣)
고대 이집트 문자, 중국의 갑골문자, 메소포타미아의 쐐기 문자의 원형
▶
① ㉡ 의미, ㉢ 한글② ㉡ 의미, ㉢ 한자
③ ㉡ 소리, ㉢ 한글④ ㉡ 소리, ㉢ 한자
⑤ ㉡ 부호, ㉢ 한글
(나) 표음 문자 (다) 표의 문자 (라) 그림 문자
㉠ 소리 ㉡ 의미 ㉢ 한글 ㉣ 한자
[언어의 특성] ★★★
다음 설명을 읽고 (라)에 나타난 언어의 특성을 쓰시오. 사회성
언어는 그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 사이의 약속이다. 언어는 사회적 약속이기 때문에 개인이 마음대로 바꿀 수 없다. ‘남을 가르치는 분’은 우리 나라에서 ‘선생님’으로, 영어로 ‘teacher’로 불리는 것은 그 사회의 약속이기 때문이다.
(라)에는 언어의 ‘사회성’이 나타나 있다.
사회성
추천자료
[언어치료] 언어장애에 대한 이해와 언어장애 치료방법 등 언어치료의 모든 것
[청각장애][청각장애아동언어발달][청각장애아동언어지도]청각장애의 개념, 청각장애의 원인,...
[남북 언어정책][남북 어휘][남북 규범문법][남북 언어통일]남북한 언어정책의 비교, 남북한 ...
[방송언어][방송언어오용][방송][언어][언어파괴][방송용어]방송언어의 개념, 방송언어의 특...
[언어][남성언어][여성언어]언어의 정의, 언어의 종류, 언어의 갈래, 언어의 특성, 언어의 기...
[유아기 언어발달] 유아기 언어발달의 특성과 이론 - 언어 교육의 중요성, 언어발달에 영향을...
[언어훼손, 맞춤법, 전자언어, 통신언어, 인터넷언어, 문학작품]언어훼손과 맞춤법, 언어훼손...
[표현, 연속성, 언어표현, 색상어휘, 표현언어, 얼굴표정, 연극]표현과 연속성, 표현과 언어...
[언어표현]언어표현향상(언어표현력향상)의 의의, 언어표현향상(언어표현력향상)의 목적, 언...
[언어지도] 언어의 형태와 뇌의 발달과 언어 및 언어와 사고와의 관계
[언어지도] <언어> 언어의 개념 과 언어의 특성 및 언어의 유형, 말
‘언어학이 어떤 학문인지를 설명하시오’ (언어학의 개념, 언어와 언어 연구, 내적 언어학과 ...
[신지체아 언어치료][정신지체 치료][정신지체아 언어치료] 정신지체 - 정신지체 특징, 정신...
[매체언어와 국어교육] 언어란 무엇인가 - 언어에 대한 일반적 고찰, 새로운 시대와 새로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