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훼손, 맞춤법, 전자언어, 통신언어, 인터넷언어, 문학작품]언어훼손과 맞춤법, 언어훼손과 전자언어, 언어훼손과 통신언어, 언어훼손과 인터넷언어, 언어훼손과 문학작품, 언어훼손의 대응과 대처방법 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언어훼손, 맞춤법, 전자언어, 통신언어, 인터넷언어, 문학작품]언어훼손과 맞춤법, 언어훼손과 전자언어, 언어훼손과 통신언어, 언어훼손과 인터넷언어, 언어훼손과 문학작품, 언어훼손의 대응과 대처방법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언어훼손과 맞춤법
1. 한글 맞춤법의 제정
2. 표준어 규정
3. 표기와 발음의 원리

Ⅲ. 언어훼손과 전자언어
1. 여성적인 표현이나 구어체의 발달
2. 의성어나 의태어의 발달
3. 축약과 삭제를 통한 간략한 표현

Ⅳ. 언어훼손과 통신언어
1. 어휘의 변이
1) 탈락
2) 축약과 생략
3) 첨가
2. 발음대로 적기
1) 대치
2) 아라비아 숫자와 로마자의 도입

Ⅴ. 언어훼손과 인터넷언어
1. 인터넷 언어 훼손은 우리말 전체에 위기를 가져올 수 있다
2. 청소년들의 언어 정체성에 위기를 가져올 수 있다

Ⅵ. 언어훼손과 문학작품

Ⅶ. 언어훼손의 대응과 대처방법
1. 기술적 대응
2. 법적/제도적 대응
3. 학교에서의 대처 방법

참고문헌

본문내용

용에서도 볼 수 있다. 아동이 어떤 언어를 말할 수 있다는 것은 자기가 들었던 문장을 앵무새처럼 반복하여 산출해내는 것이 아니라 주어진 언어 환경에서의 언어 자극들 속에서 어떤 규칙을 찾아내어 그것을 토대로 새로운 문장을 산출해 내는 보다 적극적인 인지 과정이다. Berko (1958)는 일연의 실험을 통해 아동이 산출해내는 문장이 부모 말을 단순히 모방한 것이 아니라 자기가 찾아낸 언어 규칙을 이용하여 생성해내는 매우 창조적 산물이라는 것을 보여 주었다. 4세에서 7세 사이의 아동에게 한 마리 가상의 새가 그려진 그림을 보여 주고 ‘wug’이라고 말해 준다. ‘wug’이란 단어는 기존의 영어에는 없는 단어로 실험자가 만든 신조어이다. 그리고 난 후에 먼저 그림에 있던 새가 두 마리 있는 그림을 보여 주며 “여기에는 두 마리가 있다”라고 얘기해 준다. 그리고 난 후에 “There are two _______.”와 같은 문장 완성 과제를 준다. 대부분의 아이들은 이전에 “wugs”란 단어를 듣거나 말해 본 적이 없었지만 “wugs”라는 복수형 단어로 정확하게 빈칸을 채워넣었다. 이러한 결과는 아이들이 복수를 만들기 위해 ‘s’를 덧붙인다는 규칙을 알아 이 규칙을 자기들이 들어본 적이 없는 새로운 단어에 생산적으로 productively 적용하고 있음을 보여 주는 것이다.
Ⅱ. 언어훼손과 맞춤법
1. 한글 맞춤법의 제정
우리는 어떤 어려운 단어를 정확하게 쓰려고 할 때, 이것이 옳은 표기인지 아닌지 망설일 때가 가끔 있다. 이것은 우리가 맞춤법이라는 틀에 얽매여 있기 때문이다. 틀리는 것을 두려워하지 말고, 소리나는 대로 써 보고 난 뒤 옳고 그름을 파악한 후 그것을 익혀 사용한다면 보다 바른 표기를 할 수 있겠다.
우리가 사용하는 국어는 訓民正音 창제 이전까지는 한자를 빌려 우리말을 적는 借字 표기에 의지하여 문자 생활을 하였다. 15 세기에 훈민정음이 창제된 이후 우리는 비로소 음운 문자에 의한 문자 생활을 할 수 있게 되었다.
한글은 음운 문자이면서도 음절 단위로 적는 방법을 택했기 때문에 특수한 ‘맞춤법’ 문제가 발생한다. 맞춤법 문제는 주로 받침을 표기하는 방법과 관련된다. 받침 표기 방식에는 두 가지가 있을 수 있다. 하나는 이어적기이고 다른 하나는 끊어적기이다.
훈민정음 창제 직후에는 이 두 가지 방법이 다 쓰이기는 하였으나, 대체로 이어적기가 많이 사용되었다. 이 이어적기의 방법은 개화기 무렵까지 약 450 년 이상 지속되었다. 이 기간 동안에는 국가에서 정한 규정이 없었으므로 뜻만 통하면 되었을 뿐, 표기의 옳고 그름은 문제가 되지 않았다.
과거 일제 강점기 하에서도 맞춤법을 통일할 필요성이 대두된 것은 학교 교육 때문이었다. 1907년에는 국가에서 學府 안에 국문 연구소를 설치하고 이 연구소에서 국어 정서법을 체계화하는 일을 연구하도록 하였다. 1909년 이 연구소에서는 ‘國文硏究議定案’을 만들었지만, 이 의정안은 공포 시행되지 못하였다. 최초로 공포된 맞춤법은 일제 강점기 때인 1912년에 발표된 ‘보통 학교용 언문 철자법’이었다. 이 철자법은 국문 연구 의정안을 발전시킨 것으로, 소리나는 대로 쓰는 表音主義를 택하였기 때문에 받침에 ‘ㅋ, ㅌ, ㅍ’ 등이 쓰이지 않았다.
오늘날, 우리의 맞춤법은 조선어 학회에서 1933년에 제정한 ‘한글 맞춤법 통일안’에 근거하고 있다. 이 통일안은 ‘보통 학교용 언문 철자법’을 더 한층 발전시킨 것이었다. 그리고 1988년에 공포된 한글 맞춤법 규정은 1933년에 발표된 것 중에서 국어가 변한 사항을 중심으로 고친 것일 뿐, 그 근간은 그대로 유지되어 있다.
현행 맞춤법의 원리는 총칙 제1항에 제시되어 있다. “한글 맞춤법은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 가 그것이다. 여기서 ‘소리대로 적되’는 표음주의 표기법에 해당되고.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는 것은 표의주의 표기법에 해당된다. 우리 한글은 음운 문자이지만 그것을 운용하는 맞춤법으로는 표음주의와 표의주의를 함께 채택하고 있는 것이다.
2. 표준어 규정
우리 나라에서 표준어에 대한 관심이 나타난 것은 일제 강점기 때이다. 1912년 발표된 ‘보통 학교용 철자법’ 에 “경성어를 표준어로함,”이라는 규정이 있다. 이것이 우리말의 표준어를 명시적으로 나타낸 최초의 규정이다. 표준어를 우리의 힘으로 제정하자는 목적으로 학자들이 결성한 다체가 ‘朝鮮語學會’였다. 이 단체의 목적은 우리 겨레의 얼을 빛내기 위하여 우리의 말과 글을 연구하며, 이를 통하여 문화적 독립과 민족적 독립을 쟁취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조선어 학회는 이를 위해서 辭典을 편찬하기로 하였는데, 사전 편찬을 위한 준비 단계로 맞춤법과 표준어의 제정이 필요하였다. 그 결과, 1933년에 완성, 발표된 표준말 규정의 강령은 “표준말은 대체로 현재 중류 사회에서 쓰는 서울말로 한다.”였다.
현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표준어는 1988년 문교부에서 고시한 ‘표준어 규정’을 따르고 있다. 이 규정은 1년간의 홍보. 준비 단계를 거쳐 1989년 3월 1일부터 사용해 오고 있다 이 표준어 규정을 위한 준비 작업은 1970년대부터 이루어졌다. 1970년 국어 조사 연구 위원회를 설치한 후, 표준말 사용 실태 조사, 된소리 및 긴소리 연구, 지방 출신 작가들의 작품에서 통용어 찾기, 문헌에 의한 표준말 자료집 만들기 등을 거쳐 1977년 표준말 연구 보고서를 작성하였다. 이 연구 보고서를 기초로 하여 여러 단체의 심의를 거쳐 1988년 완성된 것이 현재의 표준어 규정이다.
현재의 표준어 사정 원칙은 “표준어는 교양 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 현대 서울말로 정함을 원칙으로 한다.” 이 원칙에서 찾아볼 수 있는 표준어 사정의 기준은 시대, 지역, 계층의 세 가지로 구분된다.
3. 표기와 발음의 원리
현행 한글 맞춤법 제1항은 “한글 맞춤법을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 고 규정되어 있다.
이는 모든 말은 음운 환경에 따라 발음하기 쉽게 변하는 습성이 있는데 다음과 같은 예를 들 수 있다.
꽃이 [꼬치] 꽃을 [꼬츨] 꽃에 [꼬체] 꽃나무 [꼰나무] 꽃밭 [
  • 가격6,5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3.07.15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121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