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묘청은 누구인가?
2.서경천도운동의 배경
3.서경천도운동의 전개과정
4.묘청일파가 표방한 자주성
2.서경천도운동의 배경
3.서경천도운동의 전개과정
4.묘청일파가 표방한 자주성
본문내용
1년 넘게 완강하게 항전을 계속하였으나 식량 부족으로 사기가 떨어져 1136년 2월 정부군의 총공격으로 서경성이 함락되어 서경 천도 운동은 좌절되었다.
4. 묘청일파가 표방한 자주성
묘청일파가 내세웠던 칭제건원은 그 당시 사람들에게 상당한 반향을 불러일으켰으나 국제 정세로 보아 크게 문제가 되는 것은 아니었다. 왜냐하면 그 당시 대륙에서는 금나라를 비롯한 모든 신흥 국가들이 황제를 칭하고 연호를 사용했기 때문이다. 독자적인 연호를 제정하여 쓰며 왕을 황제라고 부름으로써 고려의 위엄을 안팎에 떨쳐야 한다는 반사대주의적입장을 취한 것이다. 그리고 이미 태조와 광종 때에도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했으나 대국이 쳐들어 온 일은 없었다.
또한 단재 신채호 선생은 묘청의 난에 대해 “서경 전역은 낭불양가(郎佛兩家) 대 유가의 싸움이며 국풍파(國風派) 대 한학파(漢學派)의 싸움이며, 진취 사상 대 보수 사상의 싸움이니, 묘청은 곧 전자의 대표요 김부식은 곧 후자의 대표였던 것이다. 이 싸움에서 묘청 등이 패하고 김부식이 승리하였으므로 조선사가 사대적·보수적·속박적 사상, 즉 유교 사상에 정복되고 말았거니와 만일 이와 반대로 김부식이 패하고 묘청 등이 이겼더라면 조선사가 독립적·진취적 방면으로 진전하였을 것이니, 이 난을 어찌 1천년래 제1대 사건이라 하지 아니하랴”라고 평가하며, 실패로 돌아간 것을 애석해 하였다.
※ 참고문헌
고등학교 『국사』교과서, 교육 인적 자원부
『반역의 한국사』이현묵, 계백
『한국사, 그 변혁을 꿈꾼 사람들』신정일, 이학사
『고려사절요』김종서, 민족문화추진회
『인물로 읽는 고려사』정성희, 청아
4. 묘청일파가 표방한 자주성
묘청일파가 내세웠던 칭제건원은 그 당시 사람들에게 상당한 반향을 불러일으켰으나 국제 정세로 보아 크게 문제가 되는 것은 아니었다. 왜냐하면 그 당시 대륙에서는 금나라를 비롯한 모든 신흥 국가들이 황제를 칭하고 연호를 사용했기 때문이다. 독자적인 연호를 제정하여 쓰며 왕을 황제라고 부름으로써 고려의 위엄을 안팎에 떨쳐야 한다는 반사대주의적입장을 취한 것이다. 그리고 이미 태조와 광종 때에도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했으나 대국이 쳐들어 온 일은 없었다.
또한 단재 신채호 선생은 묘청의 난에 대해 “서경 전역은 낭불양가(郎佛兩家) 대 유가의 싸움이며 국풍파(國風派) 대 한학파(漢學派)의 싸움이며, 진취 사상 대 보수 사상의 싸움이니, 묘청은 곧 전자의 대표요 김부식은 곧 후자의 대표였던 것이다. 이 싸움에서 묘청 등이 패하고 김부식이 승리하였으므로 조선사가 사대적·보수적·속박적 사상, 즉 유교 사상에 정복되고 말았거니와 만일 이와 반대로 김부식이 패하고 묘청 등이 이겼더라면 조선사가 독립적·진취적 방면으로 진전하였을 것이니, 이 난을 어찌 1천년래 제1대 사건이라 하지 아니하랴”라고 평가하며, 실패로 돌아간 것을 애석해 하였다.
※ 참고문헌
고등학교 『국사』교과서, 교육 인적 자원부
『반역의 한국사』이현묵, 계백
『한국사, 그 변혁을 꿈꾼 사람들』신정일, 이학사
『고려사절요』김종서, 민족문화추진회
『인물로 읽는 고려사』정성희, 청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