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지각(知覺)
2 들판에서
보충심화
2 들판에서
보충심화
본문내용
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18~25)
(가) 형 : 그럼 내가 그 쪽으로 넘어갈까?
아우:아뇨! 넘어오지 말아요! 내 눈을 안 보이게 하고 넘어온다니 무슨 흉계죠?
형 : 난 아무 흉계도 없어. 넘어간다.
아우:넘어오면 쏩니다! (허공을 향해 위협적으로 ㉠총을 발사한다.) 이건 진짜 총이에요!
형, 요란한 총 소리에 놀라 전망대에서 황급히 내려온다. 그는 두려움에 질린 모습이 되어 움츠리고 앉는다. 측량 기사, 가죽 가방을 든 두 명의 조수와 함께 등장한다.
측량기사 : 저 쪽 동생이 미쳤군요. 형님에게 총질을 하다니!
조수들 : ( ㉡ ) 완전히 미쳤어요.
형 : 무서워요…….
측량 기사 : 이젠 동생이 아니라, 적이라고 생각하는 게 좋겠어요. 철저히 무장하고 자신을 지켜야지, 가만 있다간 죽게 됩니다. (조수들에게) 여봐, 이분에게 총을 드려.
(나) 아우 : 비가 그치고, 산들바람이 부는군.
형 : 저 벽을 자유롭게 넘어갈 수만 있다면……. 가만있어 봐. 민들레꽃은 씨를 맺으면 어떻게 되지? 바람을 타고 멀리멀리 날아가잖아?
아우 : 햇빛이 비치니까 샛노란 민들레꽃이 더 예쁘게 보여.
형:이 꽃을 꺾어서 벽 너머로 던져 주어야지. 동생이 이 민들레꽃을 보면, 진짜 내 마음을 알아 줄 거야.
아우:형님에게 이 꽃을 드리겠어. 벽 너머의 형님이 이 꽃을 받으면, 동생인 나를 생각하겠지.
형과 아우, 민들레꽃을 여러 송이 꺾는다. 그리고 벽으로 다가가서 민들레꽃을 벽 너머로 서로 던져 준다. 형은 아우가 던져 준 꽃들을 주어들고 반색하고, 아우는 형이 던진 꽃들을 주워들고 기뻐한다. 서로 벽을 두드리며 외친다.
아우 : 형님, 내 말 들려요?
형 : 들린다, 들려! 너도 내 말 들리냐?
아우 : 들려요!
형 : 우리, ㉢벽을 허물기로 하자!
아우 : 네, 그래요. 우리 함께 빨리 벽을 허물어요!
무대 조명. ㉣서서히 꺼진다. 다만, ㉤무대 뒤쪽의 들판 풍경을 그린 걸개그림만이 환하게 밝다. 막이 내린다.
[극단적 대립 관계] ★★★
위 글에서 형과 아우의 극단적 대립 관계를 가장 잘 나타낸 대사는? ⑤
①아우 : 왜 그런 불빛으로 나를 비추죠?
②아우 : 내 눈을 안 보이게 하고 넘어온다니 무슨 흉계죠?
③아우 : 넘어오지 말아요.
④측량 기사 : 저 쪽 동생이 미쳤군요.
▶
⑤측량 기사 : 적이라고 생각하는 게 좋겠어요.
측량기사가 형제 간의 대립적 위기감을 조성하고 있다.
[시나리오의 촬영 기호] ★★★
위 글을 시나리오로 고쳐 쓸 때, ㉠에 어울리는 촬영 기호는? ①
▶
①E.②F.I.③F.O.
④C.U.⑤O.L.
총소리는 무대에서 상연할 때, 음향 효과(E.)로 처리한다.
[지시문 쓰기] ★★★
㉡에 들어갈 가장 알맞은 지시문은? ①
▶
①웃으며②심각한 표정으로
③지나치게 흥분하여④몹시 걱정하는 척하며
⑤겁에 질려서 벌벌 떨며
자신들의 뜻대로 형제 간의 불신이 깊어졌음을 보고 즐거워하고 있다.
[시의 주제] ★★★
조국 분단을 극복하고 통일을 이루자.
㉢을 다음의 시와 연관지어 그 의미를 구체적으로 쓰시오.
오라, 이 강변으로
우리는 하나, 만나야 할 핏줄,
마침내 손잡을 그 날을 기다린다.
그 날이 오면, 끊어진 허리
동강난 세월들 씻은 듯 나으리라.
너의 주름과 나의 백발도
이 땅의 아름다운 꽃이 되리라.
오늘도 여기 서서 너를 기다린다.
조국 분단의 극복을 의미하고 있다.
조국 분단을 극복하고 통일을 이루자.
[대사의 의미 파악] ★★★
다음의 설명에 해당하는 형의 대사를 쓰시오. 우리, 벽을 허물기로 하자!
이 대사는 예전의 다정하고 평화로웠던 시절로 되돌아 가려는 의지를 표현하는 한편, 독자들에게 우리 민족의 절실한 과제를 문학적으로 상기시키려 한다.
‘벽’은 대립의 상징이므로 ‘벽’을 허문다는 것은 대립의 종결을 의미한다.
우리, 벽을 허물기로 하자!
[한자 성어] ★★★
(나)에 나타난 형과 아우의 대사의 내용과 관계 깊은 한자 성어는? ①
▶
①이심전심(以心傳心)②자업자득(自業自得)
③사필귀정(事必歸正)④정문일침(頂門一鍼)
⑤타산지석(他山之石)
서로의 마음이 통하고 있으므로, 이심전심(以心傳心)이 해당된다.
[시나리오의 촬영 기호]
㉣에 알맞은 시나리오 용어는? ②
▶
①F.I.②F.O.③O.L.
④S#⑤INS.
점점 어두워지(F.O.(Fade Out))는 무대상황을 나타낸다.
[작가의 이해] ★★★
㉤을 통해 작가가 나타내고자 한 것과 거리가 먼 것은? ②
①감동의 여운을 이어간다.
▶
②독자(관객)의 호기심을 유발한다.
③평화와 아름다움의 회복을 상징한다.
④지향해야 하는 우리 민족의 모습을 제시한다.
⑤작품에 나타난 결말 이후의 상황을 암시한다.
㉤은 대립의 해소와 행복한 미래를 암시한다.
3 문학의 표현
지각(知覺)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1~7)
(가) 내게 행복이 온다면
나는 그에게 감사하고,
내게 불행이 와도
㉠나는 또 그에게 감사한다.
(나) 한 번은 밖에서 오고
한 번은 안에서 오는 행복이다.
(다) 우리는 행복의 문은
밖에서도 열리지만
안에서도 열리게 되어 있다.
(라) 내가 행복할 때
나는 오늘의 햇빛을 따스히 사랑하고
내가 불행할 때
나는 내일의 별들을 사랑한다.
(마) 이와 같이 내 생명의 숨결은
밖에서도 들이쉬고
안에서도 내어쉬게 되어 있다.
(바) 이와 같이 내 생명의 바다는
밀물이 되기도 하고
썰물이 되기도 하면서
끊임없이 끊임없이 출렁거린다!
[시어의 특징] ★★
위 시에 쓰인 시어의 특징으로 적당한 것은?
④
①거칠고 투박한 언어②아름답고 세련된 언어
▶
③단정하고 우아한 언어④평범하고 일상적인 언어
⑤참신하고 독창적인 언어
이 시는 평범하고 이해하기 쉬운 언어를 통해 행복의 본질을 노래하고 있다.
[시구의 의미 파악] ★★★
㉠의 이유로 알맞은 것은? ②
①삶의 기쁨과 고통에 초연해졌기 때문에
▶
②불행을 행복으로 뒤바꿀 수 있기 때문에
③세상사에 대한 모든 관심을 버렸기 때문에
④인격의 수양에 남달리 힘쓰고 있기 때문에
⑤불행이 인간의 근본적 운명임을 깨달았기 때문에
시적 화자는 행복과 불행을 모두 감사하며 받아들이고 불행도 안에서 행복으로 만들 수 있다는 가치관을 가지고 있다.
(가) 형 : 그럼 내가 그 쪽으로 넘어갈까?
아우:아뇨! 넘어오지 말아요! 내 눈을 안 보이게 하고 넘어온다니 무슨 흉계죠?
형 : 난 아무 흉계도 없어. 넘어간다.
아우:넘어오면 쏩니다! (허공을 향해 위협적으로 ㉠총을 발사한다.) 이건 진짜 총이에요!
형, 요란한 총 소리에 놀라 전망대에서 황급히 내려온다. 그는 두려움에 질린 모습이 되어 움츠리고 앉는다. 측량 기사, 가죽 가방을 든 두 명의 조수와 함께 등장한다.
측량기사 : 저 쪽 동생이 미쳤군요. 형님에게 총질을 하다니!
조수들 : ( ㉡ ) 완전히 미쳤어요.
형 : 무서워요…….
측량 기사 : 이젠 동생이 아니라, 적이라고 생각하는 게 좋겠어요. 철저히 무장하고 자신을 지켜야지, 가만 있다간 죽게 됩니다. (조수들에게) 여봐, 이분에게 총을 드려.
(나) 아우 : 비가 그치고, 산들바람이 부는군.
형 : 저 벽을 자유롭게 넘어갈 수만 있다면……. 가만있어 봐. 민들레꽃은 씨를 맺으면 어떻게 되지? 바람을 타고 멀리멀리 날아가잖아?
아우 : 햇빛이 비치니까 샛노란 민들레꽃이 더 예쁘게 보여.
형:이 꽃을 꺾어서 벽 너머로 던져 주어야지. 동생이 이 민들레꽃을 보면, 진짜 내 마음을 알아 줄 거야.
아우:형님에게 이 꽃을 드리겠어. 벽 너머의 형님이 이 꽃을 받으면, 동생인 나를 생각하겠지.
형과 아우, 민들레꽃을 여러 송이 꺾는다. 그리고 벽으로 다가가서 민들레꽃을 벽 너머로 서로 던져 준다. 형은 아우가 던져 준 꽃들을 주어들고 반색하고, 아우는 형이 던진 꽃들을 주워들고 기뻐한다. 서로 벽을 두드리며 외친다.
아우 : 형님, 내 말 들려요?
형 : 들린다, 들려! 너도 내 말 들리냐?
아우 : 들려요!
형 : 우리, ㉢벽을 허물기로 하자!
아우 : 네, 그래요. 우리 함께 빨리 벽을 허물어요!
무대 조명. ㉣서서히 꺼진다. 다만, ㉤무대 뒤쪽의 들판 풍경을 그린 걸개그림만이 환하게 밝다. 막이 내린다.
[극단적 대립 관계] ★★★
위 글에서 형과 아우의 극단적 대립 관계를 가장 잘 나타낸 대사는? ⑤
①아우 : 왜 그런 불빛으로 나를 비추죠?
②아우 : 내 눈을 안 보이게 하고 넘어온다니 무슨 흉계죠?
③아우 : 넘어오지 말아요.
④측량 기사 : 저 쪽 동생이 미쳤군요.
▶
⑤측량 기사 : 적이라고 생각하는 게 좋겠어요.
측량기사가 형제 간의 대립적 위기감을 조성하고 있다.
[시나리오의 촬영 기호] ★★★
위 글을 시나리오로 고쳐 쓸 때, ㉠에 어울리는 촬영 기호는? ①
▶
①E.②F.I.③F.O.
④C.U.⑤O.L.
총소리는 무대에서 상연할 때, 음향 효과(E.)로 처리한다.
[지시문 쓰기] ★★★
㉡에 들어갈 가장 알맞은 지시문은? ①
▶
①웃으며②심각한 표정으로
③지나치게 흥분하여④몹시 걱정하는 척하며
⑤겁에 질려서 벌벌 떨며
자신들의 뜻대로 형제 간의 불신이 깊어졌음을 보고 즐거워하고 있다.
[시의 주제] ★★★
조국 분단을 극복하고 통일을 이루자.
㉢을 다음의 시와 연관지어 그 의미를 구체적으로 쓰시오.
오라, 이 강변으로
우리는 하나, 만나야 할 핏줄,
마침내 손잡을 그 날을 기다린다.
그 날이 오면, 끊어진 허리
동강난 세월들 씻은 듯 나으리라.
너의 주름과 나의 백발도
이 땅의 아름다운 꽃이 되리라.
오늘도 여기 서서 너를 기다린다.
조국 분단의 극복을 의미하고 있다.
조국 분단을 극복하고 통일을 이루자.
[대사의 의미 파악] ★★★
다음의 설명에 해당하는 형의 대사를 쓰시오. 우리, 벽을 허물기로 하자!
이 대사는 예전의 다정하고 평화로웠던 시절로 되돌아 가려는 의지를 표현하는 한편, 독자들에게 우리 민족의 절실한 과제를 문학적으로 상기시키려 한다.
‘벽’은 대립의 상징이므로 ‘벽’을 허문다는 것은 대립의 종결을 의미한다.
우리, 벽을 허물기로 하자!
[한자 성어] ★★★
(나)에 나타난 형과 아우의 대사의 내용과 관계 깊은 한자 성어는? ①
▶
①이심전심(以心傳心)②자업자득(自業自得)
③사필귀정(事必歸正)④정문일침(頂門一鍼)
⑤타산지석(他山之石)
서로의 마음이 통하고 있으므로, 이심전심(以心傳心)이 해당된다.
[시나리오의 촬영 기호]
㉣에 알맞은 시나리오 용어는? ②
▶
①F.I.②F.O.③O.L.
④S#⑤INS.
점점 어두워지(F.O.(Fade Out))는 무대상황을 나타낸다.
[작가의 이해] ★★★
㉤을 통해 작가가 나타내고자 한 것과 거리가 먼 것은? ②
①감동의 여운을 이어간다.
▶
②독자(관객)의 호기심을 유발한다.
③평화와 아름다움의 회복을 상징한다.
④지향해야 하는 우리 민족의 모습을 제시한다.
⑤작품에 나타난 결말 이후의 상황을 암시한다.
㉤은 대립의 해소와 행복한 미래를 암시한다.
3 문학의 표현
지각(知覺)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1~7)
(가) 내게 행복이 온다면
나는 그에게 감사하고,
내게 불행이 와도
㉠나는 또 그에게 감사한다.
(나) 한 번은 밖에서 오고
한 번은 안에서 오는 행복이다.
(다) 우리는 행복의 문은
밖에서도 열리지만
안에서도 열리게 되어 있다.
(라) 내가 행복할 때
나는 오늘의 햇빛을 따스히 사랑하고
내가 불행할 때
나는 내일의 별들을 사랑한다.
(마) 이와 같이 내 생명의 숨결은
밖에서도 들이쉬고
안에서도 내어쉬게 되어 있다.
(바) 이와 같이 내 생명의 바다는
밀물이 되기도 하고
썰물이 되기도 하면서
끊임없이 끊임없이 출렁거린다!
[시어의 특징] ★★
위 시에 쓰인 시어의 특징으로 적당한 것은?
④
①거칠고 투박한 언어②아름답고 세련된 언어
▶
③단정하고 우아한 언어④평범하고 일상적인 언어
⑤참신하고 독창적인 언어
이 시는 평범하고 이해하기 쉬운 언어를 통해 행복의 본질을 노래하고 있다.
[시구의 의미 파악] ★★★
㉠의 이유로 알맞은 것은? ②
①삶의 기쁨과 고통에 초연해졌기 때문에
▶
②불행을 행복으로 뒤바꿀 수 있기 때문에
③세상사에 대한 모든 관심을 버렸기 때문에
④인격의 수양에 남달리 힘쓰고 있기 때문에
⑤불행이 인간의 근본적 운명임을 깨달았기 때문에
시적 화자는 행복과 불행을 모두 감사하며 받아들이고 불행도 안에서 행복으로 만들 수 있다는 가치관을 가지고 있다.
추천자료
지역사회간호과정
ssat 시험
마케팅 성공사례와 실패사례 11가지
우리나라 유통업계의 현황과 문제점
[경영전략]미샤의 기업경영전략과 환경분석 및 문제점 해결방안과 향후 전략분석
집단상담의 응용 - 게슈탈트상담 기법으로 초등학교 아동들을 대상
환경오염의 피해와 발생배경
쓰나미(해일) 발생 원인에 대한 대비
자기성장 프로그램을 통하여 살펴본 집단상담의 이론과 실제
TAT [주제통각검사]
[러시아][러시아 정치제도][러시아 산업재산권제도][러시아 교육제도][러시아 상표제도][정치...
[에너지] 삶, 그리고 에너지 Renewable Energy - 신재생 에너지에 관해서.pptx
성인간호학 ESRD (End Stage Renal Disease 말기 신장질환) 간호과정 케이스스터디 CaseStudy
칼 로저스(Carl R. Rogers)의 현상학적 성격이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