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응급처치의 개념
2. 응급처치의 방법
(1) 지혈법
(2) 환자 운반법
3. 소생법
(1) 인공호흡법
(2) 심장마사지
4. 응급처치의 실제
(1) 외사의 처치
(2) 골절, 염좌· 탈구의 처치
(3) 뇌빈혈, 뇌진탕의 처치
2. 응급처치의 방법
(1) 지혈법
(2) 환자 운반법
3. 소생법
(1) 인공호흡법
(2) 심장마사지
4. 응급처치의 실제
(1) 외사의 처치
(2) 골절, 염좌· 탈구의 처치
(3) 뇌빈혈, 뇌진탕의 처치
본문내용
하면, 많은 사람들이 간단히 생각하여, 충분한 안정이나 고정하는 것을 귀찮아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실제로는 관절낭이나 관절 주위의 조직의 손상을 수반하고 있는 수가 있다. 그러므로 증상이 가볍더라도 부상된 관절의 운동을 제한하고, 손상 부위가 회복될 때까지 안정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적어도 7일 내지 10일간은 반창고, 철망부목 같은 것을 써서 고정시키는 것이 좋다. 동시에 붕산수· 알코올 등을 써서 냉찜질을 한다. 이러한 안정과 고정을 실시하지 않으면, 치유 후에 관절의 동요가 생기고 같은 염좌를 되풀이하기 쉬우며, 회상성인 관절염을 일으키기도 한다.
관절 탈구란 관절의 정상적인 위치 관계가 벗어나는 것을 관절탈구라 하는데, 당연히 관절 부위의 변형이나 종창을 수반하는 경우가 많다. 골절로 오인하기 쉽고, 함부로 교정을 시도하는 일을 피해야 한다.
골절을 수반하고 있을 때는 아무리 애를 써도 교정이 안 되는 것은 물론이고, 골절부의 전위를 크게 하는 결과를 초래하는 수도 있으며, 동시에 교정 동작에 의해 조직을 손상하거나 합병증을 일으킬 위험이 있다.
(3) 뇌빈혈, 뇌진탕의 처치
① 뇌빈혈
일시적으로 뇌에 흐르는 혈류가 부족하여 일어나는 증상으로 졸도· 실신· 안면· 창백· 맥박이 느리게 뛰는 현상 등이 나타나며 식은땀을 흘린다. 뇌빈혈의 응급처치는 서늘하고 환기가 잘 되는 곳에 눕히되, 다리를 높게 하고 머리를 낮게 한다. 허리띠나 옷의 단추를 풀고 머리에 온습포를 해주고, 의식이 회복되면 따끈한 차를 마시게 한다.
· 서늘하고 환기가 잘 되는 곳에 눕히고 다리를 높게 하며 머리를 낮춘다.
· 머리에 더운 수건을 얹는다.
· 의식이 회복되면 따끈한 보리차, 홍차 등을 마시게 한다.
② 뇌진탕
머리에 강한 타격을 받았을 때 뇌 조직이 충격을 받아 일어나는 증상으로 의식을 잃고 쓰러지며 토하는 수도 있다. 맥박이 약하고 빨라지며, 안면이 창백해지고 헛소리를 하며 대소변을 배설하기도 한다.
뇌진탕의 응급처치는 우서 안정을 시키되, 출혈 시에는 먼저 지혈을 한 후 안정 시킨다. 머리에 얼음찜질과 온습초를 교대로 하고 안면을 닦아주며, 맥박· 호흡 상태를 살피도록 한다. 그리고 반드시 전문의에게 보여 뇌출혈의 여부를 감별하도록 한다.
· 절대 안정이 필요하다.
· 출혈이 있으면 지혈하여야 한다.
· 머리에 더운찜질과 얼음찜질을 교대로 한다.
· 전문의에게 보여 뇌출혈의 유무를 감별하여야 한다.
적어도 7일 내지 10일간은 반창고, 철망부목 같은 것을 써서 고정시키는 것이 좋다. 동시에 붕산수· 알코올 등을 써서 냉찜질을 한다. 이러한 안정과 고정을 실시하지 않으면, 치유 후에 관절의 동요가 생기고 같은 염좌를 되풀이하기 쉬우며, 회상성인 관절염을 일으키기도 한다.
관절 탈구란 관절의 정상적인 위치 관계가 벗어나는 것을 관절탈구라 하는데, 당연히 관절 부위의 변형이나 종창을 수반하는 경우가 많다. 골절로 오인하기 쉽고, 함부로 교정을 시도하는 일을 피해야 한다.
골절을 수반하고 있을 때는 아무리 애를 써도 교정이 안 되는 것은 물론이고, 골절부의 전위를 크게 하는 결과를 초래하는 수도 있으며, 동시에 교정 동작에 의해 조직을 손상하거나 합병증을 일으킬 위험이 있다.
(3) 뇌빈혈, 뇌진탕의 처치
① 뇌빈혈
일시적으로 뇌에 흐르는 혈류가 부족하여 일어나는 증상으로 졸도· 실신· 안면· 창백· 맥박이 느리게 뛰는 현상 등이 나타나며 식은땀을 흘린다. 뇌빈혈의 응급처치는 서늘하고 환기가 잘 되는 곳에 눕히되, 다리를 높게 하고 머리를 낮게 한다. 허리띠나 옷의 단추를 풀고 머리에 온습포를 해주고, 의식이 회복되면 따끈한 차를 마시게 한다.
· 서늘하고 환기가 잘 되는 곳에 눕히고 다리를 높게 하며 머리를 낮춘다.
· 머리에 더운 수건을 얹는다.
· 의식이 회복되면 따끈한 보리차, 홍차 등을 마시게 한다.
② 뇌진탕
머리에 강한 타격을 받았을 때 뇌 조직이 충격을 받아 일어나는 증상으로 의식을 잃고 쓰러지며 토하는 수도 있다. 맥박이 약하고 빨라지며, 안면이 창백해지고 헛소리를 하며 대소변을 배설하기도 한다.
뇌진탕의 응급처치는 우서 안정을 시키되, 출혈 시에는 먼저 지혈을 한 후 안정 시킨다. 머리에 얼음찜질과 온습초를 교대로 하고 안면을 닦아주며, 맥박· 호흡 상태를 살피도록 한다. 그리고 반드시 전문의에게 보여 뇌출혈의 여부를 감별하도록 한다.
· 절대 안정이 필요하다.
· 출혈이 있으면 지혈하여야 한다.
· 머리에 더운찜질과 얼음찜질을 교대로 한다.
· 전문의에게 보여 뇌출혈의 유무를 감별하여야 한다.
추천자료
인명구조법과 심폐소생술
[심폐소생술][CPR]심폐소생술(CPR)의 원리, 목적, 종류, 소아심폐소생술(CPR)고찰과 심폐소생...
[심폐소생술][CPR][심폐소생술(CPR) 방법][신생아 심폐소생술(CPR)]심폐소생술(CPR)의 개념, ...
[심폐소생술][CPR][심폐소생술(CPR) 목적][심폐소생술(CPR) 종류][심폐소생술(CPR) 방법]심폐...
응급소생술 CPR 심폐소생술에 관한 이론과 실습.
심폐소생술의 목적과 방법
[학생안전사고]어린이안전사고(학생안전사고)의 발생원인과 어린이안전사고(학생안전사고)의 ...
비만측정법과 판정기준 & 올바른 처치방법
상해의 종류와 처치법
응급상황 24시 심폐소생술
[응급간호 요약] 03.기도폐쇄환자 처치 & 04.기도관리
[공수병, 광견병, 공수병 정의, 공수병특징]공수병(광견병)의 정의, 공수병(광견병)의 특징, ...
응급구조사 1급 시험 대비 ACLS 요약 (심정지, 심폐소생술, 심근경색, 뇌졸중, CPR, 부정맥, ...
아동간호학 - 호흡기계 응급상황 (호흡부전, 심폐소생, 기도폐쇄, 비감염성 물질에 의한 폐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