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문제1~33번
정답
정답
본문내용
이 살랑살랑 춤을 춘다.
31. 다음 밑줄 친 말 중 조사가 아닌 것은?
[동생과 나는 거의 동시에 소리를 지르고 말았다]
① ② ③ ④ ⑤
32. 다음 밑줄 친 것 중 문장에서 독립적으로 쓰이는 단어는?
①나른한 오후, 점심 시간 직후의 수업은 정말 졸린다.
②철수야, 이게 뭐지?
③이 시원한 바람, 맑은 하늘!
④오, 감미로워라.
⑤어머나, 깜짝이야.
33. 다음 보기의 단어들에 대한 설명으로 바른 것은?
- 보 기 -
빨리, 동생, 헌, 너희, 옛, 셋, 하나,
뛰다, 슬프다, 움직이다, 어머, 앗
①‘동생, 너희, 하나‘는 형태가 변하지 않는 단어들이다.
②‘뛰다, 슬프다, 움직이다‘는 사람, 사물의 움직임을 나타낸다.
③‘헌, 빨리‘는 주로 용언을 꾸며준다.
④‘옛, 셋‘은 주로 체언을 꾸며준다.
⑤‘어머, 앗‘은 반드시 체언 뒤에 붙어 쓰인다.
<정답안>
1
⑤
11
③
21
④
31
⑤
2
①
12
④
22
②
32
⑤
3
③
13
②
23
③, ⑤
33
①
4
①
14
④
24
②
5
④
15
②
25
③, ④
6
③
16
⑤
26
③
7
⑤
17
①
27
④
8
②
18
③
28
①
9
⑤
19
⑤
29
⑤
10
②
20
⑤
30
①
31. 다음 밑줄 친 말 중 조사가 아닌 것은?
[동생과 나는 거의 동시에 소리를 지르고 말았다]
① ② ③ ④ ⑤
32. 다음 밑줄 친 것 중 문장에서 독립적으로 쓰이는 단어는?
①나른한 오후, 점심 시간 직후의 수업은 정말 졸린다.
②철수야, 이게 뭐지?
③이 시원한 바람, 맑은 하늘!
④오, 감미로워라.
⑤어머나, 깜짝이야.
33. 다음 보기의 단어들에 대한 설명으로 바른 것은?
- 보 기 -
빨리, 동생, 헌, 너희, 옛, 셋, 하나,
뛰다, 슬프다, 움직이다, 어머, 앗
①‘동생, 너희, 하나‘는 형태가 변하지 않는 단어들이다.
②‘뛰다, 슬프다, 움직이다‘는 사람, 사물의 움직임을 나타낸다.
③‘헌, 빨리‘는 주로 용언을 꾸며준다.
④‘옛, 셋‘은 주로 체언을 꾸며준다.
⑤‘어머, 앗‘은 반드시 체언 뒤에 붙어 쓰인다.
<정답안>
1
⑤
11
③
21
④
31
⑤
2
①
12
④
22
②
32
⑤
3
③
13
②
23
③, ⑤
33
①
4
①
14
④
24
②
5
④
15
②
25
③, ④
6
③
16
⑤
26
③
7
⑤
17
①
27
④
8
②
18
③
28
①
9
⑤
19
⑤
29
⑤
10
②
20
⑤
30
①
추천자료
한국문학 - 고대.삼국·남북국 .고려 문학 .조선 전기 시대 문학
고려 조선시대의 문학에 대해서
고려 조선 문학 개관
고전시가론 < 가 사 >
[과외]중학 국어 중3-2학기 05 단원 기말 모의고사 02
한국문학통사
중세후기문학 제2기 조선전기
고산 윤선도
무신 집권기의 문학적 전환
문학의 시대별 특징
훈민정음(한글)의 특징, 훈민정음(한글)의 목적, 훈민정음(한글)의 원리, 훈민정음(한글)의 ...
한국 중세문학 고려시대문학 특성,배경, 한국 중세문학 고려시대문학 가전체문학, 한국 중세...
[구비문학][구비문학 정의][구비문학 의의][구비문학 기능][구비문학 역사][구비문학 경향][...
[한국고전소설론] 몽유록의 장르 귀속 문제 교술과 서사의 경계 [교술 몽유록 서사 몽유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