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본론 1. Arther Miller 와 그의 극작관
2. The crucible : 낙관적 비극성
3. The crucible 을 통해 본 마녀 사녕의 집단적 광기
4. John proctor 의 죽음을 통해 나타내려는 비극적 승리
결론
참고문헌
본론 1. Arther Miller 와 그의 극작관
2. The crucible : 낙관적 비극성
3. The crucible 을 통해 본 마녀 사녕의 집단적 광기
4. John proctor 의 죽음을 통해 나타내려는 비극적 승리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I. 서 론
현대 사회에서 과연 비극이 존재할 수 있느냐는 문제에 대하여 소수의 비평가들이 회의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는데 그 중에서 Joseph Wood Krutch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비극이론을 원용하여 “Tragedies cannot be written in modern era because we have ceased to believe that any human action is serious or noble” 라고 주장함으로써 현대 비극의 가능성을 부정하고 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비극이론은 오랜 세월을 두고 비극의 발전에 기여하고 영향을 끼쳐 왔음은 사실이나 현대에서는 시대적인 한계점을 보인다. 그러나 Tennessee Williams, Arthur Miller와 같은 미국의 극작가들은 현대적인 비극을 창작하기 위하여 부단히 노력하여왔으며 많은 비평가들에 의해 이들의 노력이 성공적인 것으로 인정되고 있다. Miller는 비극에 대한 논의에서 주인공의 파멸요인을 전통적인 개념인 주인공의 비극적인 결함과 Ibsen이 강조한 사회적인 요인으로 보고 거기에 초점을 두고 있는데 사회적인 요인이란 사회를 지배하는 보이지 않는 어떤 힘의 존재를 말한다. 또 Miller가 생각하는 비극적 결함이란 주인공이 자신의 존엄성이나 정당한 신분에 대한 도전에 직면했을 때 수동적으로 그냥 남아있기를 거부하는 의지의 작용을 의미한다. Miller가 주장하거나 Miller에 과한 연구논문에 밝혀진 Miller의 현대적 비극개념을 현대 비극의 특성과 의미가 구체적으로 나타나도록 정리하면 다음 네 가지로 요약될 수 있겠는데 첫째, Miller의 희곡이론 중에서 가장 중요하고도 핵심적인 것은 “The serious playwright writes social drama.” 라는 주장으로 압축되는 바, 여기에서 사회극이란 인류전체사회를 일컫는다. Miller극의 사회성은 선악의 추상적인 도덕성을 논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집단의 생존을 위한 투쟁에서 생기는 인간관계와 개인과 사회와의 관계를 다룸으로써 삶의 적나라한 모습을 조명하는데 있다. Miller는 인간과 사회와의 관계를 물고기와 바다의 상호 유기적인 관계로 파악하여 사회란 인간들이 희망을 가지고 살아가는 터전이 되는 동시에 한편으로는 인간파멸의 장이 될 수도 있다고 하면서 주인공들이 존엄성을 획득하고 유지하기 힘든 이유가 자신의 결함에도 있지만 사회의 일부 그릇된 가치관에서 더 많이 비롯된다고 Miller는 생각한다. 따라서 Miller는 사회적 요소를 배제한 체 인간의 내적 세계에서만 비극의 원인을 찾는 일부 비평에 반대하고 있다. 비극이 자기 자신을 총체적으로 인식하려는 인간의 욕구에서 시작되므로 인간을 제한하고 그 발전을 저해하는 모든 것들, 대로는 기존의 사회제도 자체까지도 검토와 비난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는 현대비극의 가능성을 소시민 주인공을 통해서 보여둔다. 비극의 주인공이 될 수 있는 인물에 대해서 아리스토텔레스는 몰락이 부덕과 천박한 욕망에서 기인되거나 그 인물이 평범한 인간이면 카타르시스를 일으키기가 어렵기 때문에 비극의 주인공은 숙명적으로 지니고 있는 성격적 결함과 판단의 오류에 의해서 비극적 종말로 떨어져야 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현대사회에서는 아무리 왜소한 소시민이라고 인간들이 스스로 짜놓은 거미줄 같은 복잡한 관계 속에서 정당한 위치를 확보하기 위해 목숨을 걸고 능동적으로 투쟁함으로써 현대의 소시민도 과거의 왕후장상 못 지 않은 비극적 능력을 가지고 있다며 Miller는 주장한다. 현대의 소시민들은 자신의 정당한 지위로부터 밀려나고 있다는 잠재된 공포를 절실하게 느끼고 있기 때문에 고전 비극의 주인공들보다도 더 강렬하게 자신의 개인적인 존엄성의 준수를 위해 투쟁한다. 그러므로 왜소한 소시민이 무대 위에서 정당한 지위와 존엄성을 위해 자신을 타락시키려는 사회체제에 대항하여 용감하게 투쟁할 때 현대인들이 깊은 감동을 받고 연민과 공포를 더욱 절실하게 느끼므로 현대 비극에 적합한 소시민 주인공이 새롭게 탄생되게 마련인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 과연 비극이 존재할 수 있느냐는 문제에 대하여 소수의 비평가들이 회의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는데 그 중에서 Joseph Wood Krutch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비극이론을 원용하여 “Tragedies cannot be written in modern era because we have ceased to believe that any human action is serious or noble” 라고 주장함으로써 현대 비극의 가능성을 부정하고 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비극이론은 오랜 세월을 두고 비극의 발전에 기여하고 영향을 끼쳐 왔음은 사실이나 현대에서는 시대적인 한계점을 보인다. 그러나 Tennessee Williams, Arthur Miller와 같은 미국의 극작가들은 현대적인 비극을 창작하기 위하여 부단히 노력하여왔으며 많은 비평가들에 의해 이들의 노력이 성공적인 것으로 인정되고 있다. Miller는 비극에 대한 논의에서 주인공의 파멸요인을 전통적인 개념인 주인공의 비극적인 결함과 Ibsen이 강조한 사회적인 요인으로 보고 거기에 초점을 두고 있는데 사회적인 요인이란 사회를 지배하는 보이지 않는 어떤 힘의 존재를 말한다. 또 Miller가 생각하는 비극적 결함이란 주인공이 자신의 존엄성이나 정당한 신분에 대한 도전에 직면했을 때 수동적으로 그냥 남아있기를 거부하는 의지의 작용을 의미한다. Miller가 주장하거나 Miller에 과한 연구논문에 밝혀진 Miller의 현대적 비극개념을 현대 비극의 특성과 의미가 구체적으로 나타나도록 정리하면 다음 네 가지로 요약될 수 있겠는데 첫째, Miller의 희곡이론 중에서 가장 중요하고도 핵심적인 것은 “The serious playwright writes social drama.” 라는 주장으로 압축되는 바, 여기에서 사회극이란 인류전체사회를 일컫는다. Miller극의 사회성은 선악의 추상적인 도덕성을 논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집단의 생존을 위한 투쟁에서 생기는 인간관계와 개인과 사회와의 관계를 다룸으로써 삶의 적나라한 모습을 조명하는데 있다. Miller는 인간과 사회와의 관계를 물고기와 바다의 상호 유기적인 관계로 파악하여 사회란 인간들이 희망을 가지고 살아가는 터전이 되는 동시에 한편으로는 인간파멸의 장이 될 수도 있다고 하면서 주인공들이 존엄성을 획득하고 유지하기 힘든 이유가 자신의 결함에도 있지만 사회의 일부 그릇된 가치관에서 더 많이 비롯된다고 Miller는 생각한다. 따라서 Miller는 사회적 요소를 배제한 체 인간의 내적 세계에서만 비극의 원인을 찾는 일부 비평에 반대하고 있다. 비극이 자기 자신을 총체적으로 인식하려는 인간의 욕구에서 시작되므로 인간을 제한하고 그 발전을 저해하는 모든 것들, 대로는 기존의 사회제도 자체까지도 검토와 비난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는 현대비극의 가능성을 소시민 주인공을 통해서 보여둔다. 비극의 주인공이 될 수 있는 인물에 대해서 아리스토텔레스는 몰락이 부덕과 천박한 욕망에서 기인되거나 그 인물이 평범한 인간이면 카타르시스를 일으키기가 어렵기 때문에 비극의 주인공은 숙명적으로 지니고 있는 성격적 결함과 판단의 오류에 의해서 비극적 종말로 떨어져야 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현대사회에서는 아무리 왜소한 소시민이라고 인간들이 스스로 짜놓은 거미줄 같은 복잡한 관계 속에서 정당한 위치를 확보하기 위해 목숨을 걸고 능동적으로 투쟁함으로써 현대의 소시민도 과거의 왕후장상 못 지 않은 비극적 능력을 가지고 있다며 Miller는 주장한다. 현대의 소시민들은 자신의 정당한 지위로부터 밀려나고 있다는 잠재된 공포를 절실하게 느끼고 있기 때문에 고전 비극의 주인공들보다도 더 강렬하게 자신의 개인적인 존엄성의 준수를 위해 투쟁한다. 그러므로 왜소한 소시민이 무대 위에서 정당한 지위와 존엄성을 위해 자신을 타락시키려는 사회체제에 대항하여 용감하게 투쟁할 때 현대인들이 깊은 감동을 받고 연민과 공포를 더욱 절실하게 느끼므로 현대 비극에 적합한 소시민 주인공이 새롭게 탄생되게 마련인 것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서비스 질의 측정 개선을 위한 연구
부호화분석을 이용한 실시간 경기분석시스템
멀티미디어시대 교회교육의 전망
토플 Toefl S/W 문법 고급자용
[과외]중학 영어 2-1중간 출판사공통 예상문제 20
은유로서의 ‘하나님 아버지’
재건축 개발이익 환수제도가 주택가격 및 시장에 미치는 영향
논문작성법에서 과제로 내준 논문 제안서입니다.
정부관료제에 대한 경제학적 이론의 전개
Grolsch: Growing Globally (맥주의 종류, SABmiller, Grolsch, Grolsch의 Globalization, 4P...
가족형성의 첫 단추인 결혼 그리고 부부관계는 인간 본인에게 많은 변화를 부여, 부부갈등과 ...
[국문학개론] - 인터뷰 시험 담화 분석을 통한 한국어 구어 능력 평가의 구인 연구, 담화 분...
(취미와 예술 D형) 먹방 분석-진짜 사나이_개요,어떻게 먹고 마시기를 취급하는가, 어떤 영향...
자유선택활동]자유놀이 활동의 중요성과 교사의 역할에 대해 논하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