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문법범주
-2. 의향법 변화
-3. 높임법 변화
-4. 시제법 변화
-5. 사동법 변화
-6. 피동법 변화
-7. 부정법
-8. 인칭법 변화
-9. 강조법
- 참고문헌
-2. 의향법 변화
-3. 높임법 변화
-4. 시제법 변화
-5. 사동법 변화
-6. 피동법 변화
-7. 부정법
-8. 인칭법 변화
-9. 강조법
- 참고문헌
본문내용
문법 범주 실현의 통시적 변화
언어란 하나의 법칙이며 그 법칙을 일컫는 말이 바로 문법이다. 언어는 인간과 같아서 변화하는 속성을 가지며 이와 마찬가지로 문법도 변한다. 우리는 우리말의 변화를 공부하고 앞으로의 변화 방향을 알아가기 위하여 문법 범주 실현의 통사적인 변화 모습을 알 필요가 있다. 문법 범주가 통사적으로 변하는 부분에는 특정하게 분류 해 둘 수가 있다. 아래의 목차가 바로 그것이다. 이제부터 문법 범주 실현의 통시적인 변화에 대해서 알아보자.
1. 문법 범주
(1) 문법 범주의 정의 :
문법적으로 구분되는 현상을 하나로 묶은 묶음. 문법단위들이 어떤 문법적 직능을 나타낸다고 할 때, 그 직능들을 몇 가지 묶음으로 범주화할 수 있다. 가령 명사·동사·부사 등은 품사라는 범주로 묶을 수 있고, \'-었-\'이 나타내는 과거라는 문법적 직능은 현재나 미래 등과 묶어 시제라는 범주로 묶을 수 있다.
어떤 언어에 단수와 복수가 언어적으로 구별되어 나타난다면 그 언어에는 수(數)라는 문법범주가 있는 것이다. 영어는 book과 books, child와 children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단수·복수가 언어적으로 구별되어 나타나므로 수라는 문법범주를 가진다. 이와는 달리 국어는 \'사과를 맛있게 먹었다\'라고 할 때 그 \'사과\'가 하나일 수도 있고 여러 개일 수도 있는데 이는 국어에 수라는 문법범주가 없음을 말해준다.
문법범주는 어느 언어에서나 대체로 굴절에 의해 실현된다.
2. 의향법 변화
(1) 의향법의 개념
* 언어내용 전달과정에서 청자에 대하여 화자가 가지는 태도를 실현하는 문법범주
* 의향법: ㉠ 국어 통사론 서법, 문체법, 마침법(문장종결법) 등으로 기술됨
㉡ 청자높임의 태도도 나타낸다. 청자높임법과 함께 실현.
철수는 책을 읽고 있-/다/있습니다.
<의향법의 하위범주체계>
[기준] 1. 청자에 대하여 요구함이 있음/없음
2. 행동수행이 있음/없음
+- 요구함(-) ------------------------------- 서술법
[체계]| (평서법/감탄법/약법)
+- 요구함(+)
+- 행동수행성(-) ----------------- 의문법
+- 행동수행성(+) [청자] -------- 명령법
[청자 + 화자] -- 청유법
* 의향법과 그 하위 범주의 개념
<언어내용 전달에서 청자에 대하여 화자가 가지는 태도를 실현하는 문법범주>
① 서술법: 청자에게 자기의 말을 해 버리거나, 느낌을 나타내거나, 어떤 행동 을 해 주기 를 약속함 서술문(웃었다)
② 의문법: 청자에 대한 요구 (말) 의문문(웃었니?)
③ 명령법: 청자에 대한 요구(행동) 명령문(웃어라)
④ 청유법: 청자에 대한 요구. 함께 행동하기를 요구. 청유문(웃자)
(2) 15세기 국어의 의향법
1) 서술법
청자에 대하여 특별한 요구를 하는 일 없이 청자에게 자기 말을 해 버리거나 느낌을 나타내거나, 청자에게 어떤 행동을 해 주기를 약속하면서 화자가 청자에게 언어내용을 전달하는 문법적인 방법이다.
-다/라 : ‘-다’는 가장 전형적인 서술 어미이다. 청자높임 어미와 결합하여 청자의 높임의 등급을 실현한다.
‘-다’는 여러 선어말어미와 결합할 수 는데 ‘오/우-, ’다/더-‘ 등과 결합할 때는 그 형태가 ’-라‘로 바뀐다.
예 > 삼세옛 이실ㅣ 부톄시다 닝-다 (석보상절 6:18)
스춈 아뇨미 아니-라(월인석보 1:36)
-마 : 약속을 표현하는 서술어미이다. 현대 국어와는 달리 반드시 ‘-오/우’를 앞세운다.
예 > 화 주마 (주-우-마) (두시언해)
-은뎌 : 감탄을 표현하는 서술어미이다. 여러 선어말어미가 결합할 수 있다.
-을
언어란 하나의 법칙이며 그 법칙을 일컫는 말이 바로 문법이다. 언어는 인간과 같아서 변화하는 속성을 가지며 이와 마찬가지로 문법도 변한다. 우리는 우리말의 변화를 공부하고 앞으로의 변화 방향을 알아가기 위하여 문법 범주 실현의 통사적인 변화 모습을 알 필요가 있다. 문법 범주가 통사적으로 변하는 부분에는 특정하게 분류 해 둘 수가 있다. 아래의 목차가 바로 그것이다. 이제부터 문법 범주 실현의 통시적인 변화에 대해서 알아보자.
1. 문법 범주
(1) 문법 범주의 정의 :
문법적으로 구분되는 현상을 하나로 묶은 묶음. 문법단위들이 어떤 문법적 직능을 나타낸다고 할 때, 그 직능들을 몇 가지 묶음으로 범주화할 수 있다. 가령 명사·동사·부사 등은 품사라는 범주로 묶을 수 있고, \'-었-\'이 나타내는 과거라는 문법적 직능은 현재나 미래 등과 묶어 시제라는 범주로 묶을 수 있다.
어떤 언어에 단수와 복수가 언어적으로 구별되어 나타난다면 그 언어에는 수(數)라는 문법범주가 있는 것이다. 영어는 book과 books, child와 children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단수·복수가 언어적으로 구별되어 나타나므로 수라는 문법범주를 가진다. 이와는 달리 국어는 \'사과를 맛있게 먹었다\'라고 할 때 그 \'사과\'가 하나일 수도 있고 여러 개일 수도 있는데 이는 국어에 수라는 문법범주가 없음을 말해준다.
문법범주는 어느 언어에서나 대체로 굴절에 의해 실현된다.
2. 의향법 변화
(1) 의향법의 개념
* 언어내용 전달과정에서 청자에 대하여 화자가 가지는 태도를 실현하는 문법범주
* 의향법: ㉠ 국어 통사론 서법, 문체법, 마침법(문장종결법) 등으로 기술됨
㉡ 청자높임의 태도도 나타낸다. 청자높임법과 함께 실현.
철수는 책을 읽고 있-/다/있습니다.
<의향법의 하위범주체계>
[기준] 1. 청자에 대하여 요구함이 있음/없음
2. 행동수행이 있음/없음
+- 요구함(-) ------------------------------- 서술법
[체계]| (평서법/감탄법/약법)
+- 요구함(+)
+- 행동수행성(-) ----------------- 의문법
+- 행동수행성(+) [청자] -------- 명령법
[청자 + 화자] -- 청유법
* 의향법과 그 하위 범주의 개념
<언어내용 전달에서 청자에 대하여 화자가 가지는 태도를 실현하는 문법범주>
① 서술법: 청자에게 자기의 말을 해 버리거나, 느낌을 나타내거나, 어떤 행동 을 해 주기 를 약속함 서술문(웃었다)
② 의문법: 청자에 대한 요구 (말) 의문문(웃었니?)
③ 명령법: 청자에 대한 요구(행동) 명령문(웃어라)
④ 청유법: 청자에 대한 요구. 함께 행동하기를 요구. 청유문(웃자)
(2) 15세기 국어의 의향법
1) 서술법
청자에 대하여 특별한 요구를 하는 일 없이 청자에게 자기 말을 해 버리거나 느낌을 나타내거나, 청자에게 어떤 행동을 해 주기를 약속하면서 화자가 청자에게 언어내용을 전달하는 문법적인 방법이다.
-다/라 : ‘-다’는 가장 전형적인 서술 어미이다. 청자높임 어미와 결합하여 청자의 높임의 등급을 실현한다.
‘-다’는 여러 선어말어미와 결합할 수 는데 ‘오/우-, ’다/더-‘ 등과 결합할 때는 그 형태가 ’-라‘로 바뀐다.
예 > 삼세옛 이실ㅣ 부톄시다 닝-다 (석보상절 6:18)
스춈 아뇨미 아니-라(월인석보 1:36)
-마 : 약속을 표현하는 서술어미이다. 현대 국어와는 달리 반드시 ‘-오/우’를 앞세운다.
예 > 화 주마 (주-우-마) (두시언해)
-은뎌 : 감탄을 표현하는 서술어미이다. 여러 선어말어미가 결합할 수 있다.
-을
추천자료
국어 정보 처리를 위한 품사 태그의 몇 문제
논설문의 단락 지도의 원리
국어지식 영역 - 높임말 교육의 필요성과 교재 분석 및 재구성
국어하.고등국어.학습지도안(3.함께 하는 언어 생활)
국어의 통사론
[인문과학] 한국어의 구절 구조와 엑스-바 이론
젠더연구(성, 이론, 남성연구, 정신분석학, 매체학)
[국어교육] 국어지식영역 교육내용 분석
말과 행위와 법과 언어를 읽고
단어의 규정 요약
국어사 교육은 필요한가 - 국어사 지식이 고전 작품의 이해에 도움을 주는가
방송언어의 오용과 그 실태
[형용사][품사][국어][중국어][파생형용사][단음절형용사]국어 품사 형용사의 특징, 국어 품...
[국문학개론] - 한국어 말하기 평가에서 전략적 능력과 어휘 구사력의 평가,숙달도 평가,성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