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복실천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복실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 진우는 11세 남자 아동인데, 어머니의 말을 무시하고 듣지 않는다고 호소해 왔다. 가장 보편적인 예로는 어머니가 불러서 심부름을 시키면 대답을 하지 않거나 싫다고 하면서들은 척도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어머니는 화가 나서 고함을 지르게 되고 때로는 가서 손찌검을 하게도 되는데, 그러면 진우는 어머니에게 대들고, 어머니는 진우의 아버지를 불러오게 된다고 한다. 아버지가 와서 진우를 야단치고 혼을 내어야만 진우는 울면서 어머니 심부름이나 부탁을 들어준다는 것이다. 이런 일이 반복되면서 모자간의 관계가 악화되고, 집안에는 늘 큰소리가 끊이지 않는다고 한다. 이 경우 행동수정 모델을 이용한다면 어떻게 접근하면 좋을지, 문제를 규정하고 목적을 정한 다음, 적합한 개입의 기법들에 관해 토의해 보자.
1) 문제의 규정
: 어머니의 말을 무시하고 듣지 않는다.
2) 목표 설정
: 진우가 어머니의 말을 무시하지 않고 어머니를 잘 도와 주는 것
3) 개입단계
① 언어적 지시: 우선 어머니는 언어 사용의 변화가 필요하다. 진우에게 지시형 말보단 협조적 말을 하며, 어른처럼 대우를 해주는 것도 진우의 행동에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방법이다.
② 긍정적 강화: 어머니가 진우에게 도움을 청할 때 진우의 기분 상태나 현재 어떤 일을 하는지 보고 기분 좋게 심부름이나 도와 줄 수 있을 때 시킨다. 그러면 자신도 모르게 도와 주게 되는데 이 때 긍정적 강화를 줄 수 있게 칭찬이나 고맙다는 등 언어적 보상을 꼭 한다.
③ 소거: 진우가 어머니의 말을 무시하더라도 고함을 치거나 때리거나 하면, 진우의 행동은 오히려 부정적 강화를 가져 올 수 있다. 특히 아버지에게 일러바치는 행동은 어머니를 더욱 무시하는 행동을 가져오게 된다. 그래서 차라리 어머니가 아무런 반응을 보이지 않음으로 진우와 어머니의 관계가 더 호전적이게에 될 수 있다.
제 12장 환경중심 모델
1. 본 장에서 고찰한 급진사회복지실천 모델과 페미니스트 사회복지실천 모델을 10장과 11장의 개인중심 모델들과 비교하여 그 차이점을 논하여 보자.
: 모두 개인과 환경을 모두 초점을 두고 있고 그양자 간의 상호작용을 중요하게 생각하지만 어디에 더 많은 비중을 두느냐에 따라 다르게 분류하고 있다
① 개인 중심 모델( 클라이언트 중심모델. 인지행동모델. 심리사회모델) : 문제를 비교적 개인을 중점 적으로 원인을 찾고자 하고 치료 또한 개인 중심으로 다루었다.
② 개인. 환경모델(과제중심모델. 행동수정 모델 ): 개인과 환경을 모두 중요하게 다루고 있다.
③ 환경중심 모델( 급진사회복지실천 모델. 페미니스트 사회복지실천 모델): 문제의 원인을 개인보다 클아리언트의 환경에서 찾고자 한다( 사회의제도적 구조, 정책 . 경제적 불평등과 억압과 차별 등)
2. 다음의 사례를 읽고 이를 급진사회복지실천 모델에 입각하여 문제의 원인을 사정하고 그 대책을 모색하시오.
“ 정신지체아 성아(여)는 생활보호대상자 가정의 아동으로 아버지가 막일로 돈을 번다. 그것도 경제가 어려울 때 벌이가 거의 없다. 어머니가 공공근로와 파출부로 겨우 생활을 꾸려 나간다. 성아는 학교를 다니고 있지만 방과후에는 동네를 떠도는 신세였다. 마땅히 갈곳도 없고 방과 후에 돌보아 주는 사람이 없었기 때문이다. 성아는 자신을 깨끗이 관리할 수 없어서 자연히 동네 아이들의 놀림을 받았다. 짖궂은 학교 아이나 동네 아이들은 사회적 기술이 부족한 성아를 놀리거나 때렸고, 성아는 속수무책으로 당하고 있었다. 성아의 눈빛에는 늘 두려움과 공포가 가득 서려 있었다. 어머니는 자신의 딸의 처지가 너무 안되어서 복지관의 아동복지 담당 사회복지사에게 도움을 요청하였다.”
1)문제의 원인
① 정책: 우리나라에서 장애인에 대한 보호 정책이 별로 없어 가난한 가정에서는 아동을 방치하는 경우 가 많다.
② 사회의 구조 및 인식: 우리나라의 사람들의 장애인에 대한 의식이 아주 부정적이다. 장애인을 보면 못 볼 것을 본 듯이 피하거나 인상을 찌뿌리고 심지어 위의 예와 같이 괴롭히기도 한다. 하루 바삐 장애인도 한 사람의 인격체임을 인식하는 의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2) 대책
① 밀양에서는 ‘장애인 도우미’센터가 있다. 그리고 장애인 아동을 위해 장애인을 위한 방과후 모 여서 공부를 도와주거나 활동을 같이 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져 있다. 이와 같아 각 지역에 서도 이런 복지 시설들을 자치 단체에서 하루 빨리 만들어 모든 장애 아동이 혜택을 받을 수 있게 해야 할 것이다.
3. 사회복지 역사에서 (사회진단)의 저자 리치몬드와 인보관 운동의 선구자 제인 애덤스의 업적을 비교하고 이들이 사회복지실천에 미친 영향을 논의 해 보자
4. 자신의 주변에 있는 장애인의 어려움을 톰슨의 PCS분석틀에 입각하여 분석해 보자.
① P: 친구도 없고 계속 어머니의 보살핌을 받으며 생활하고있다
② C:그 아이가 지나가면 모두 사람들은 모두 이상한 눈초리로 보거나 가까이 오길 꺼려하며 어머니는 아이를 장애인에 등록 하지 않으려고 한다 장애인이라는 낙인이 찍힌다고 싫어하신다.
③ S: 전문교육기관의 부재:장애인을 위한 전문적 교육기관이 집 가까이 없어 창원으로 이사를 했으나 남편의 직장 때문에 다시 밀양으로 이사를 와 일반 초등학교 특수반에서 수업을 하고 있다.
( 톰슨의 Pcs 분석틀 )
5. 반차별과 반억압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한국의 장애인 운동과 여성운동의 사례를 수집하고 그 실천방법의 유형과 효과성을 알아보자.
6. ‘섹스’와 ‘젠더’ 개념의 의미 차이를 토의해 보자.
. 섹스: 생물학적인 의미의 성
. 젠더: 사회적인 의미의 성
젠더는 성에 대한 영문표기 섹스(Sex) 대신 새로 쓰기로 한 용어이다.
1995년 9월 5일 북경 제4차 여성대회 GO(정부기구)회의에서 결정했다. 젠더와 섹스는 우리말로 성이라는 같은 뜻이지만 원어인 영어로는 미묘한 어감차이가 있다. 젠더는 사회적인 의미의 성이고, 섹스는 생물학적인 의미의 성을 뜻한다. 유럽연합(EU)과 미국 등 다수 국가가 주장하는 젠더는 남녀차별적인 섹스보다 대등한 남녀간의 관계를 내포하며 평등에 있어서도 모든 사회적인 동등함을 실현시켜야 한다는 의미가 함축돼 있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06.12.07
  • 저작시기2006.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08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