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외](고2) 06 모의고사 정답 해설지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달 표면이 흡수하는 복사 에너지량과 방출하는 복사 에너지량은 두 경우 모두 같다.
[오답풀이] ㄱ. 온실을 설치하기 전에 달 표면이 흡수하고 방출하는 복사 에너지량은 각각 100, 100이었다. 온실을 설치한 후, 온실로부터의 재복사에 의해 100만큼의 에너지를 더 흡수하게 되고, 또 그만큼 더 방출하게 된다. 따라서, 온실을 설치한 후에 달 표면이 흡수하고 방출하는 복사 에너지량은 각각 200, 200이 된다.
33. [출제의도] 판의 경계 중 발산 경계의 특징을 이해하고 있는지를 묻는 문제이다.
해령은 맨틀대류의 상승부에 해당하며, 새로운 해양 지각이 만들어지는 곳이다. 맨틀 대류로 인해 해령에는 양쪽으로 잡아당겨지는 장력이 작용하며, 이에 따라 장력에 의한 정단층이 발달하게 된다.
[오답풀이] 해령에서는 맨틀 물질의 상승에 따른 분출로 해저 화산 활동이 일어나며, 주로 천발 지진이 발생한다. 해양 지각은 해령에서 만들어진 후 양쪽으로 확장되므로, 해령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지각의 연령은 증가한다.
34. [출제의도] 태양계 행성들의 표면 온도와 공전 주기와의 관계를 이해하고 있는지를 묻는 문제이다.
ㄱ. 목성형 행성에 속하는 행성으로는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이 있고, 지구형 행성에 속하는 행성으로는 수성, 금성, 지구, 화성이 있다. 목성형 행성의 평균 표면 온도는 지구형 행성보다 낮다.
ㄴ. 그림 (나)에서 태양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공전 주기가 길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오답풀이] ㄷ. 그림 (가)와 (나)를 통해 태양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행성일수록 공전 주기가 길어지고, 평균 표면 온도가 낮아짐을 알 수 있다. 행성의 평균 표면 온도는 행성이 흡수하는 태양 복사 에너지량에 따라 달라지며, 태양으로부터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흡수하는 태양 복사 에너지량이 감소하여 평균 표면 온도는 낮아진다. 금성은 짙은 이산화탄소 대기의 온실 효과로 인해 수성보다 표면 온도가 높다.
35. [출제의도] 우리나라 주변 바다의 계절에 따른 수온 분포의 특징을 이해하고 있는지를 묻는 문제이다.
남해는 1년 내내 난류의 영향을 받으므로, 동해, 황해보다 수온이 높다.
[오답풀이] 겨울에 동해는 북서풍에 의한 푄 현상과 난류의 영향을 받으므로, 같은 위도의 황해보다 수온이 높다. 여름에는 많은 강수량으로 인해 강물의 유입이 많아져, 황해의 수온은 해안에서 멀어질수록 높아지며, 등수온선은 해안선에 나란한 형태를 하게 된다. 동해의 등수온선은 해안 쪽에서는 한류, 먼 바다 쪽에서는 난류의 영향을 받아 위도에 대해 약간 기울어진 형태를 한다.
36. [출제의도] 판의 수렴 경계 중 충돌 경계의 특징을 이해하고 있는지를 묻는 문제이다.
카슈미르 지역은 유라시아 판과 인도-오스트레일리아 판의 경계부에 해당한다. 이곳은 두 대륙 지각이 충돌하는 곳이며, 두 판의 충돌에 의한 횡압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이곳에서는 횡압력에 의한 지진이 발생한다.
[오답풀이] ㄴ. 판의 충돌 경계에서는 두 대륙 지각의 충돌에 의한 강한 압력으로 변성 작용 및 화성 작용(마그마의 관입)은 일어나지만, 화산 활동은 일어나지 않는다.
37. [출제의도] 우리나라 주변 바다의 해저 지형의 특징을 이해하고 있는지를 묻는 문제이다.
ㄱ. 대륙붕은 수심 200m 이내의 해저 지형을 말하므로, 수심이 200m 이내인 황해와 남해는 모두 대륙붕으로 이루어져 있다.
[오답풀이] ㄴ. 등수심선의 분포로 볼 때, 해저 지형의 경사는 황해(A-B)보다 동해(C-D)가 더 급하다.
ㄷ. 동해에는 대륙붕, 대륙 사면, 심해저 평원 등 다양한 해저 지형이 나타나지만, 해구는 나타나지 않는다.
38. [출제의도] 별을 관측하여 얻은 자료로부터 다른 물리량이나 특징을 알아낼 수 있는지를 묻는 문제이다.
별의 등급이 낮을수록 밝은 별이다. 가장 밝게 보이는 별은 우리 눈에 보이는 밝기인 겉보기 등급이 가장 작은 A이다.
[오답풀이] 실제 별의 밝기는 모든 별을 같은 거리(10pc)에 놓았다고 가정했을 때의 밝기인 절대 등급을 이용하여 비교하므로, 실제로 가장 밝은 별은 절대 등급이 가장 작은 B이다. 별의 색깔은 표면 온도에 따라 달라지며, 온도가 높을수록 푸른색, 낮을수록 붉은색을 띠므로, 표면 온도가 가장 높은 별은 B이다. 별 B는 절대 등급보다 겉보기 등급이 크므로, 실제의 밝기보다 어둡게 보이는 별이다. 별까지의 거리는 겉보기 등급과 절대 등급을 이용하여 판단할 수 있는데, (겉보기 등급-절대 등급) 값이 0보다 작으면 10pc보다 가까이 있는 별, 0보다 크면 10pc보다 멀리 있는 별, 0이면 10pc에 있는 별이다. 따라서 겉보기 등급과 절대 등급이 같은 별 A와 D는 10pc에 있는 별이고, 별 B는 10pc보다 멀리 있는 별, 별 C는 10pc보다 가까이 있는 별이다.
39. [출제의도] 온대 저기압 주변에서의 일기 현상을 이해하고 있는지를 묻는 문제이다.
ㄴ. 저기압의 중심에서는 주위로부터 공기가 모여들어 상승한다. 저기압 중심 부근에서는 공기의 상승에 따라 흐린 날씨가 나타난다.
[오답풀이] ㄱ. A는 주변보다 기압이 높은 고기압의 중심이고, B는 주변보다 기압이 낮은 저기압이다. 고기압의 중심에서는 하강 기류가 발달하고, 이로 인해 맑은 날씨가 나타난다.
ㄷ. C는 온난 전선의 앞부분이며, 등압선의 분포로 볼 때 남풍~남동풍이 분다.
40. [출제의도] 판의 경계에서의 지각변동의 특징을 이해하고 있는지를 묻는 문제이다.
북아메리카 대륙의 서해안은 판의 경계부에 해당하므로, 그렇지 않은 동해안보다 지각이 불안정하고, 지각 변동이 더 심하게 일어난다.
[오답풀이] 판의 이동 속도는 모든 판이 같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수렴 경계를 가지고 있는 판의 이동 속도가 더 빠르다. 판의 발산 경계에는 맨틀 대류의 상승으로 인해 장력이 작용하여 해령과 열곡이 발달하고, 수렴 경계에는 두 판의 수렴에 따른 횡압력으로 인해 해구나 호상 열도, 대규모 습곡 산맥이 발달한다. 태평양 주변은 대부분 판의 수렴 경계로 이루어져 있으며, 환태평양 지역은 세계에서 지각 변동이 가장 활발하게 일어나는 지역이다.

키워드

언어,   수리,   과학,   사회,   외국어,   국사
  • 가격3,3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06.12.11
  • 저작시기2006.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19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