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대영양소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5대영양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5대 영양소
1.탄수화물
(1)탄수화물의 정의
(2)탄수화물의 종류
(3)탄수화물의 물리적 성질
(4)탄수화물의 기능
(5)탄수화물의 소화와 흡수

2.단백질
(1)단백질의 정의
(2)단백질의 분류
(3)단백질의 기능
(4)단백질의 소화와 흡수 및 대사
(5)단백질의 영양평가
(6)단백질 결핍증

3.지방
(1)지방의 정의
(2)지방의 분류
(3)지방의 기능
(4)지방의 소화와 흡수
(5)지방과 건강문제

4.비타민
위와 같음

5.무기질
위와 같음

본문내용

중에서 약 1/3은 뼈에 존재하며, 2/3은 세포외액, 특히 대부분 혈장에 있으며, 그 외 신경조직과 근육에 존재한다.
② 기능
나트륨의 농도의 변화는 삼투현상에 의해서 물을 신테의 한 부분으로부터 다른 부분으로 순환시키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또한 염소와 더불어 체내에서 산, 염기의 균형을 조절하며 정상적인 근육의 흥분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나트륨과 칼륨은 신경을 자극하고 신경의 충격을 근육에 전달하여 근육섬유의 축을 일으키게 한다.
③ 필요량 및 급원
성인에게 하루에 적절한 나트륨의 양은 1.1~1.3g , 나트륨의 필요량은 육체적 활동이나 기온에 의해서좌우되는데 높은 기온에서는 상당량이 땀으로 손실된다. 나트륨은 식품, 특히 동물성 식품에 다양하게 존재한다. 육류, 생선, 닭고기, 유제품, 달걀에 비교적 많은 양이 들어 있으며, 곡류, 콩류, 견과류, 과일, 야채에는 적게 존재한다.
ː칼륨(Potassium, K)
① 체내 분포
칼륨은 체내에 나트륨의 2배 가량이 존재한다. 혈청 내의 정상적인 수준은 14~20mg/dl이다.
② 기능
칼륨은 세포내액의 양이온으로서 세포 외의 나트륨과의 정상적인 삼투압과 물의 균형을 유지하고 세포액의보전을 유지하기 위한 기능을 한다. 또한 산, 염기 균형에 영향을 주며 신경의 흥분성과 자극, 전기 화학적 충격의 전달, 근육섬유의 수축 등을 조절한다.
③ 결핍증
혈청 내 칼륨의 감소는 조직의 분해, 혹은 설사, 구토, 위의 절제 등 위장관의 손실, 영양 실조와 더불어 지속되는 소모성 질환에 의해서 일어난다. 계속적인 이뇨제의 복용 역시 칼륨의 배설을 증가시킨다.
④ 급원
칼륨은 자연식품에 널리 포함되어 있다, 콩류, 곡류, 오렌지, 바나나등의 과일과 녹색야채, 감자, 육포에 상당량이 들어 있다.
ː염소(Chloride, Cl)
① 체내 분포
염소는 신체 내 총 무기질량의 3%이며 세포외액의 중요한 음이온이다. 정상적인 혈청에는 340~370mg/dl가 들어 있으며, 뇌척수액에는 많아서 440mg/dl가 들어있다. 비교적 많은 양이 위장의 분비물 중에 있으며, 특히 위내의 염산의 구성 성분으로 존재한다.
② 기능
나트륨과 함께 세포외액에서 물의 균형과 삼투압의 조절을 도우며 pH를 일정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③ 흡수 및 대사
염소는 작은창자에서 거의 모두 흡수되며 배설은 주로 신장을 통해서 일어납니다. 염소 역시 오랜 설사, 구토에 의해서 비교적 많은 양이 손실된다.
ː황(Sulfur, S)
① 체내 분포
황은 모든 세포 내에 존재하며 일반적으로 세포단백질의 구성성분이다. 황은 체내에서 설프히드릴기(-SH)의 형태나 이 두 기가 결합해 이황화 결합(-S-S-)을 한 형태로 여러 물질을 구성하고 있다. 아미노산인 메티오닌과 시스테인, 헤파린, 인슐린,티아민, 리포산, 비오틴, 조효소A의 성분이고 머리카락이나 피부를 이루는 케라틴 단백질의 성분 이다.
② 기능
황은 조직의 호흡작용, 생물적 산화과정에 관여한다. 또한 설프히드릴기는 고에너지황 결합을 형성하고, 독성물질이 활성화된 황산염과 결합하여 독성이 없는 물질로 전환되어 소변으로 배설시키므로 황은 해독작용에도 관여한다.
③급원
식사 내에서의 황의 부족 현상이 사람에게서는 나타나지 않고 있으므로 황의 필요량은 아직 설정되어 있지 않다. 황은 단백질 영양과 관계가 있으므로 여러 종류의 단백질을 많이 섭취하는 사람에게는 결핍증이 문제가 되지 않고, 주로 배아, 콩, 치즈, 살코기, 강남콩, 땅콩, 조개 등에 상당량이 있다.
2) 미량무기질
미량무기질은 신체 내에 체중 kg당 50mg이하로 존재하며 식사 속에 하루 100mg이하의 매우 적은 양이 필요하다. 여러 종류의 미량무기질 주엥서 철, 요오드, 아연, 구리, 망간, 크롬, 셀레늄, 코발트, 몰리브덴과 불소 등 10가지가 일반적으로 인체에 필수적이라고 알려져 있다.
(3)무기질의 기능
1) 산, 염기의 균형
무기질은 식품으로부터 흡수되어 신체 내에 분포한다. 조직이나 체액 속에 들어 있는 무기질은 많은 대사반응에 필요한 산도 혹은 염기도를 정상으로 유지하도록 조절한다. 혈액, 조직, 세포들의 적절한 산도 혹은 염기도는 비록 다르지만 무기질은 체내에서 적절한 ph를 유지하도록 조절한다.
2) 신체의 필수성분
무기질은 신체의 각 부분을 형성한다. 신체를 구성하는 많은 무기질 중에서 칼슘과 인은 뼈와 치아 같은경조직(硬組織)을 구성하는데 중요하다. 뼈와 치아의 칼슘, 인, 불소 등의 농도는 경조직의 발달에 많은영향을 준다. 아연, 구리, 망간 등은 연결조직의 형성에 필수적 이다. 또한 신체 내에서 많은 중요한 기능을 하는 호르몬, 효소, 비타민 등은 무기질을 구성성분으로서 함유한다. 시토크롬계는 철을 함유하는 효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것은 구리에 의해서 활성화된다. 탄산 탈수효소나 카르복시 말단분해효소는 아연을 함유하며, 크산틴 산화효소는 몰리브덴을 함유 한다. 철은 헤모글로빈의 성분으로서 혈중 헤모글로빈의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염소는 위내 염산의 성분으로서 위에서 일어나는 소화 작용에 중요하다.
3) 물의 균형 조절
혈관이나 세포에 들어있는 물이 한 곳으로부터 다른 곳으로 옮겨지려면 삼투현상에 의해서 반투과성 세포막을 통과해야 한다. 세포막을 투과하여 세포 내외로 이동하는 물의 방향과 양은 무기질의 농도에 의해서 결정된다. 무기질의 균형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체액의 축적 또는 탈수를 일으키기도 한다.
4) 촉매작용
무기질은 신체 내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반응에서 촉매의 기능을 한다. 마그네슘은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의 분해, 합성과정에 필요하며, 그 외 구리, 칼슘, 칼륨, 망간, 아연 등 많은 종류의 무기원소들은 체내의 이화작용(catabolism)및 동화작용(anabolism)에서 촉매로서 또는 효소의 구성성분으로 필요하다. 또한 몇몇 영양소의 흡수는 무기질에 의해서 더 증가되기도 한다 분자가 대단히 큰 비타민 B12가 창자벽을 통과해 가는데 칼슘의 도움이 필요하며, 분자가 아주 작은 단당류가 흡수되는 데 나트륨과 마그네슘의 도움을 받는다.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6.12.22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42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