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사
머리말
조선시대 여성문인
허난설헌의 문학적 배경
허난설헌의 작품
맺음말
머리말
조선시대 여성문인
허난설헌의 문학적 배경
허난설헌의 작품
맺음말
본문내용
동을 펴나갔다. 그 중에서도 규방 작가를 대표하는 허난설헌(許蘭雪軒)에 대해, 그리고 그녀의 작품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1. 조선시대 여성 문인
언어는 통치자 계급에 속하는 남성의 전용물이었다. 반대로 여성은 정규교육의 대상자가 아니었으며, 글을 배우더라도 단순히 글을 읽는 정도의 교육만 받았다. 여성은 남성의 종속적인 위치로 가문을 위해 자녀를 생산하고 남편을 섬기며, 가사노동을 수행해야하는 희생하는 존재였다.
이에 따라서 여성은 문필생활이 금기시되었다. 가사노동에 글공부는 필요 없다는 것이다. 여성들에게는 집안일에 대해서만 논의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또한 여성에게 烈(열)이라는 내부지향적인 덕목을 내세워 침묵을 강요하였다. 혼인을 함으로서 여성들의 활동범위는 집안에 한정시켰다.
소수 적으로 여성으로서 창작생활을 할 수 있는 것은 기녀였다. 기녀는 지배적 위치의 남성들과의 접촉이 자유로웠다. 그래서 그들과 정서적 교감을 위해 글을 배구고 쓰는 게 보다 자유로웠다. 서로 시를 주고받으며 남성들과 정서적 교감을 나누기도 하였다. 또한 문인들과 어울려 풍부한 로맨스를 남기기도 하였다.
2. 허난설헌의 문학적 배경
조선시대의 규방여성작가로 허난설헌을 꼽을 수 있다. 허난설헌이 창작활동을 하던 16세기 말의 조선시대는 壬辰倭亂(임진왜란)이 일어나기 전야로 여성의 억압이 강화되던 시기였다.
허난설헌은 강릉 초당리에 있는 집에서 명종 18년(1563)에 태어났다. 선조 때 유명한 석학이었던 초당 허엽의 셋째 달로 태어났다. 그녀의 큰오빠는 병조판서인 허성이며, 둘째오빠는 홍문관인 오빠 봉이다. 동생 균은 불교와 도교 및 서학에 이르기까지 박해했다. 허봉은 천재적 재능을 가진 문장가로서 난설헌에게 많은 영향을 주었다.
당시 딸들에게 글을 가르치지 않았던 시대였지만, 허난설헌은 집안 환경 덕분에 좋은 교육을 받을 수 있었다. 허봉은 동생 난설헌을 위해친구 손곡과 이달에게 시를 배우도록 해주었다고 한다. 특히 스승인 이달에게서 익힌 당나라의 시가 가장 큰 영향을 주었다. 학문적 배려와 기대는 허씨 집안의 개방적이고 선구자적인 가풍을 알 수 있다.
신선나라에서 예전에 보내 준 문방친구
가을규방에 보내 주어 경치를 그리게 하다
오동나무를 바라보며 달빛도 그려보고
등불을 따라 다니며 벌레나 물고기도 그려보렴.
- 누이에게 보내는 글(送筆妹氏)
이 시를 보면 허봉이 출가하여 외롭게 살고 있는 누이 허난설헌을 위한 세심한 배려와 사랑을 느낄 수 있다. 이렇듯 허씨 집안 형제들의 우애와 학문적 격려는 매우 높았다. 그는 또한 난설헌에게 편지를 보내며 누이의 작품 활동을 하도록 계속 격려하였다.
허난설헌이 15세에 김성립과 결혼하게 된다. 안동 金(김)씨 집안인 시댁은 유명한 문벌 집안이었다. 그러나 김성립은 난설헌과 짝이 되기에는 부족한 인물이었다. 난설헌의 문장과 학식에 열등감을 가지고 있어 결혼 초기부터 글공부를 이유로 외박이 잦았다. 부부간의 금슬도 원만하지 않았다.
남편 김성립이 유생들끼리 독서를 하러 가자 난설헌이 남편에게 글을 보냈다.
(古之接有才, 今之接無才)
\"옛날의 접(接)은 재주(才)가 있었는데 오늘의 접(接)은 재주(才)가 없다\"
즉, 파자를 사용해서 지금의 접은 接에서 才자가 빠진 妾(여자)만 남아있다고 하며 방탕하게 노는 것을 꾸짓는 글이다.
시어머니에게 며느리가 자신의 아들보다 뛰어난 것을 곱게 보지 않았다. 그렇기 때문에 시댁에서 그녀는 눈 밖에 날 수 밖에 없었다. 난설헌에게는 아들과 딸이 있었지만, 두 아이 모두 잃게 되었다. 또한 자신의 뱃속에 있는 아이까지 사산하게 된다. 또한 자신의 친정이 멸
난설헌이 27세이라는
1. 조선시대 여성 문인
언어는 통치자 계급에 속하는 남성의 전용물이었다. 반대로 여성은 정규교육의 대상자가 아니었으며, 글을 배우더라도 단순히 글을 읽는 정도의 교육만 받았다. 여성은 남성의 종속적인 위치로 가문을 위해 자녀를 생산하고 남편을 섬기며, 가사노동을 수행해야하는 희생하는 존재였다.
이에 따라서 여성은 문필생활이 금기시되었다. 가사노동에 글공부는 필요 없다는 것이다. 여성들에게는 집안일에 대해서만 논의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또한 여성에게 烈(열)이라는 내부지향적인 덕목을 내세워 침묵을 강요하였다. 혼인을 함으로서 여성들의 활동범위는 집안에 한정시켰다.
소수 적으로 여성으로서 창작생활을 할 수 있는 것은 기녀였다. 기녀는 지배적 위치의 남성들과의 접촉이 자유로웠다. 그래서 그들과 정서적 교감을 위해 글을 배구고 쓰는 게 보다 자유로웠다. 서로 시를 주고받으며 남성들과 정서적 교감을 나누기도 하였다. 또한 문인들과 어울려 풍부한 로맨스를 남기기도 하였다.
2. 허난설헌의 문학적 배경
조선시대의 규방여성작가로 허난설헌을 꼽을 수 있다. 허난설헌이 창작활동을 하던 16세기 말의 조선시대는 壬辰倭亂(임진왜란)이 일어나기 전야로 여성의 억압이 강화되던 시기였다.
허난설헌은 강릉 초당리에 있는 집에서 명종 18년(1563)에 태어났다. 선조 때 유명한 석학이었던 초당 허엽의 셋째 달로 태어났다. 그녀의 큰오빠는 병조판서인 허성이며, 둘째오빠는 홍문관인 오빠 봉이다. 동생 균은 불교와 도교 및 서학에 이르기까지 박해했다. 허봉은 천재적 재능을 가진 문장가로서 난설헌에게 많은 영향을 주었다.
당시 딸들에게 글을 가르치지 않았던 시대였지만, 허난설헌은 집안 환경 덕분에 좋은 교육을 받을 수 있었다. 허봉은 동생 난설헌을 위해친구 손곡과 이달에게 시를 배우도록 해주었다고 한다. 특히 스승인 이달에게서 익힌 당나라의 시가 가장 큰 영향을 주었다. 학문적 배려와 기대는 허씨 집안의 개방적이고 선구자적인 가풍을 알 수 있다.
신선나라에서 예전에 보내 준 문방친구
가을규방에 보내 주어 경치를 그리게 하다
오동나무를 바라보며 달빛도 그려보고
등불을 따라 다니며 벌레나 물고기도 그려보렴.
- 누이에게 보내는 글(送筆妹氏)
이 시를 보면 허봉이 출가하여 외롭게 살고 있는 누이 허난설헌을 위한 세심한 배려와 사랑을 느낄 수 있다. 이렇듯 허씨 집안 형제들의 우애와 학문적 격려는 매우 높았다. 그는 또한 난설헌에게 편지를 보내며 누이의 작품 활동을 하도록 계속 격려하였다.
허난설헌이 15세에 김성립과 결혼하게 된다. 안동 金(김)씨 집안인 시댁은 유명한 문벌 집안이었다. 그러나 김성립은 난설헌과 짝이 되기에는 부족한 인물이었다. 난설헌의 문장과 학식에 열등감을 가지고 있어 결혼 초기부터 글공부를 이유로 외박이 잦았다. 부부간의 금슬도 원만하지 않았다.
남편 김성립이 유생들끼리 독서를 하러 가자 난설헌이 남편에게 글을 보냈다.
(古之接有才, 今之接無才)
\"옛날의 접(接)은 재주(才)가 있었는데 오늘의 접(接)은 재주(才)가 없다\"
즉, 파자를 사용해서 지금의 접은 接에서 才자가 빠진 妾(여자)만 남아있다고 하며 방탕하게 노는 것을 꾸짓는 글이다.
시어머니에게 며느리가 자신의 아들보다 뛰어난 것을 곱게 보지 않았다. 그렇기 때문에 시댁에서 그녀는 눈 밖에 날 수 밖에 없었다. 난설헌에게는 아들과 딸이 있었지만, 두 아이 모두 잃게 되었다. 또한 자신의 뱃속에 있는 아이까지 사산하게 된다. 또한 자신의 친정이 멸
난설헌이 27세이라는
추천자료
삼국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한국화
[과학사상][중국 과학사상][한국 과학사상][조선시대 과학사상][서재필][소태산 대종사]과학...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식생활 비교 고려시대 생활상 외래문화영향 고기음식 김치 술 양주업 ...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농민항쟁, 조선사림정치
한국 조선시대 조경 - 특징과 궁궐 (조선시대 정원의 특징 및 사상적 배경 & 궁궐 정원 (...
현대의 새로운 미(美)의 해석과 조선시대의 미(美) - 기호소비 (영화 ‘미녀는 괴로워’의 줄거...
[의복의 역사] 조선시대 의복(조선시대 복식의 특징, 개짐, 서민들의 의복, 기녀들의 의복, ...
[미용예술사] 화장의 기원, 시대별화장_단군신화부터 조선시대까지, 개화기부터 일제시대 이...
[건축역사] 조선시대 집(주택) 역사 - 조선시대 주택의 정의 및 배경, 양반주택(상류주택)과 ...
[한국문학개론]조선시대 전기 악장, 시조 - 조선 전기 시대의 배경과 시조 및 악장의 이해
[조선시대 재정] 조선시대의 재무행정 - 세제, 재무기관, 재정의 문란
조선시대 인사행정 - 조선시대의 인사행정제도 {인사기관, 과거제도, 품계 및 임용제도, 보수...
[조선시대행정조직체계] 조선시대의 행정조직(行政組織) (중앙행정조직과 지방행정조직)
한국역사에서의 교육철학 {삼국시대·고려시대·조선시대의 교육과 철학, 개화기 민족수난기의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