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본론
1. 작자 김시습
(1)김시습의 생애
(2)김시습의 사상
2. 작품 <금오신화>
(1)자료의 전래
(2)창작시기
(3)각 작품의 내용
◎줄거리 및 주제
①만복사저포기
②이생규장전
③취유부벽정기
④남염부주지
⑤용궁부연록
◎각 작품의 공통적인 성격
3.비교문학적인 고찰
4. 문학사적 의의
(1)문학사적 위치
(2)후대작품에 끼친 영향
5. <금오신화>교육
결론
본론
1. 작자 김시습
(1)김시습의 생애
(2)김시습의 사상
2. 작품 <금오신화>
(1)자료의 전래
(2)창작시기
(3)각 작품의 내용
◎줄거리 및 주제
①만복사저포기
②이생규장전
③취유부벽정기
④남염부주지
⑤용궁부연록
◎각 작품의 공통적인 성격
3.비교문학적인 고찰
4. 문학사적 의의
(1)문학사적 위치
(2)후대작품에 끼친 영향
5. <금오신화>교육
결론
본문내용
-비현실>이 양면구조를 취하고 있다. 여기서 비현실은 ‘있었으면 하는 이상의 세계’이기도 하다. 무릇 모든 소설에 있어 작자가 ‘있는 세계’와 ‘있어야 할 세계’를 추구하는 본질상, 소설은 현실과 이상의 세계를 동시에 그리고 있기 때문이다. 잘 알려진 ‘춘향전’만 하더라도 현실인 기생 춘향과 이상인 양반 춘향의 양면이 동시에 드러나는 것이다.
④제재면: 인귀교환설화신선설화지옥설화용궁설화 등이 후대의 작품에서도 근원설화로 수용된다. ‘양산백전’, ‘숙영낭자전’ 등에는 인귀교환설화가 , ‘삼자원종기’, ‘김신선전’ 등에는 신선설화가, 그리고 ‘심청전’, ‘토끼전’에는 용궁설화가 수용되어 있음은 너무나 잘 알려진 사실이다.
이로 볼 때, 전기소설인 “금오신화”는 후대의 작품에 그 문체, 형식, 구조, 근원설화 등에서 많은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우리 고소설이 모두 전기소설은 아닐지라도 ‘전기적’이라는 성격을 감출 수 없는 것이다.
5. <금오신화>교육
전기(傳奇)소설의 효시인 이 작품은 문학교과서에 실려있으며, 다섯 작품 중에서 ‘만복사저포기’나 ‘이생규장전’ 중 한 편이 실려있다. 교과서는 이 작품을 통해 학생들에게 작가인 김시습의 사상과 전기소설의 효시로 전기성을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교과서에 실린 작품만으로는 이 작품에 대한 목표를 다 수행할 수 없다. 그러므로 교사는 학생들에게 작자의 사상이나 작품의 전기성을 알려주기 위해서는 다섯 작품을 먼저 접해보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할 것이다. “금오신화”의 다섯 편을 모두 읽고, 학생들에게 이를 통해 이 작품을 통해 김시습의 사상을 생각해보게 하며, 이 작품의 가치에 대해 일깨워 주어야 할 것이다.
결론
이상으로 김시습의 <금오신화>에 대해 살펴보았다. 김시습은 자신과 세계와의 갈등 또는 이상과 현실의 갈등 속에서 스스로 ‘신세모순’ ‘심여사상반(心與事相反)’, ‘지어시사괴’ 등의 말로 집약해 표현하기도 하였다. 즉, 그는 현실에 대한 집요한 관심에도 불구하고 끝내 세상에서 밀려난 채 고독한 방외인으로서의 일생을 보냈던 것이다. 여기서 <금오신화>는 생성되었다. 이 <금오신화>는 작자가 당시 바로 세상에 발표하지 않고 석실에 감춘 것으로 그런한 작자의 방외적인 모습이 잘 담긴 것으로 볼 수 있다. <금오신화>의 다섯 작품에 대한 개별적 연구를 다루지 못하는 아쉬움과 함께 이번 발제를 마친다.
♠참고한 문헌♠
박태상, 조선조애정소설연구, 태학사, 1996
김동욱, 이재선, 한국소설사, (주)현대문학사, 1990
김광순, 한국고전 소설사와 론, 새문사, 1990
설중환, 금오신화연구,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83
심경호, 매월당 김시습. 금오신화, 홍익출판사, 2000
한국문학개론편찬위원회, 한국문학개론, 혜진서관, 1991
김광순, 한국고소설사, 국학자료원, 2001
주종연, 한국고전문학 장르연구, 한신문화사, 1993
장덕순, 한국문학사의 쟁점, 집문당, 1986
소재영, 고소설통론, 반도출판사, 1983
김일렬, 고전소설신론, 새문사 1991
④제재면: 인귀교환설화신선설화지옥설화용궁설화 등이 후대의 작품에서도 근원설화로 수용된다. ‘양산백전’, ‘숙영낭자전’ 등에는 인귀교환설화가 , ‘삼자원종기’, ‘김신선전’ 등에는 신선설화가, 그리고 ‘심청전’, ‘토끼전’에는 용궁설화가 수용되어 있음은 너무나 잘 알려진 사실이다.
이로 볼 때, 전기소설인 “금오신화”는 후대의 작품에 그 문체, 형식, 구조, 근원설화 등에서 많은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우리 고소설이 모두 전기소설은 아닐지라도 ‘전기적’이라는 성격을 감출 수 없는 것이다.
5. <금오신화>교육
전기(傳奇)소설의 효시인 이 작품은 문학교과서에 실려있으며, 다섯 작품 중에서 ‘만복사저포기’나 ‘이생규장전’ 중 한 편이 실려있다. 교과서는 이 작품을 통해 학생들에게 작가인 김시습의 사상과 전기소설의 효시로 전기성을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교과서에 실린 작품만으로는 이 작품에 대한 목표를 다 수행할 수 없다. 그러므로 교사는 학생들에게 작자의 사상이나 작품의 전기성을 알려주기 위해서는 다섯 작품을 먼저 접해보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할 것이다. “금오신화”의 다섯 편을 모두 읽고, 학생들에게 이를 통해 이 작품을 통해 김시습의 사상을 생각해보게 하며, 이 작품의 가치에 대해 일깨워 주어야 할 것이다.
결론
이상으로 김시습의 <금오신화>에 대해 살펴보았다. 김시습은 자신과 세계와의 갈등 또는 이상과 현실의 갈등 속에서 스스로 ‘신세모순’ ‘심여사상반(心與事相反)’, ‘지어시사괴’ 등의 말로 집약해 표현하기도 하였다. 즉, 그는 현실에 대한 집요한 관심에도 불구하고 끝내 세상에서 밀려난 채 고독한 방외인으로서의 일생을 보냈던 것이다. 여기서 <금오신화>는 생성되었다. 이 <금오신화>는 작자가 당시 바로 세상에 발표하지 않고 석실에 감춘 것으로 그런한 작자의 방외적인 모습이 잘 담긴 것으로 볼 수 있다. <금오신화>의 다섯 작품에 대한 개별적 연구를 다루지 못하는 아쉬움과 함께 이번 발제를 마친다.
♠참고한 문헌♠
박태상, 조선조애정소설연구, 태학사, 1996
김동욱, 이재선, 한국소설사, (주)현대문학사, 1990
김광순, 한국고전 소설사와 론, 새문사, 1990
설중환, 금오신화연구,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83
심경호, 매월당 김시습. 금오신화, 홍익출판사, 2000
한국문학개론편찬위원회, 한국문학개론, 혜진서관, 1991
김광순, 한국고소설사, 국학자료원, 2001
주종연, 한국고전문학 장르연구, 한신문화사, 1993
장덕순, 한국문학사의 쟁점, 집문당, 1986
소재영, 고소설통론, 반도출판사, 1983
김일렬, 고전소설신론, 새문사 1991
추천자료
광고언어에서 의미전이 분석
새만금지구의 공간적 의미 분석
거리 별 분석으로 알아 본 신촌 공간의 문화적 의미
문화콘텐츠 개발을 위한 분석 도구(거시,미시콘텐츠)와 의미 생성 모델
고양이를 부탁해 의미 분석
교육의 의미와 분석
2. 성과분석 모형 CIPP 의 각각의 의미는 무엇이며 하위에는 어떤 내용이 있는지 기술하시오
고려속요 <쌍화점>의 역사적 기록에 따른 의미 분석
일본 고대 천황제의 성립과 유래 및 역사분석, 시초, 역사적 의의, 중세 정권과 천황, 근대 ...
고골의 『초상화』 작품분석 - 악마성을 중심으로 - [악마성의 의미][『초상화』에서 나타나...
[노화][노화 의미][노화 가설][호르몬][항산화제][피부노화][피부][운동]노화의 의미, 노화의...
[상징, 상징형법, 상징주의, 상징적 의미, 상징적 상호작용]상징과 상징형법, 상징과 상징주...
인터넷 상의 유행어 및 신조어의 분석과 표준어와의 비교를 통해 본 그 의미
한국사회에서의 여성의 몸의 의미와 이데올로기- ‘이영자 사건’에 대한 담론구조 분석을 중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