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속요 <쌍화점>의 역사적 기록에 따른 의미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려속요 <쌍화점>의 역사적 기록에 따른 의미 분석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쌍화점>의 표면적 구조와 의미
Ⅲ. <쌍화점>의 역사적 기록에 따른 의미
1. 고려후기 사회의 만연한 현상을 반영
2. 충렬왕의 취향을 반영해 개작된 악장가사
3. 조선전기 《고려사》 편찬자들의 의도
Ⅳ. 결론

본문내용

제3연과 비슷한 내용이 <사룡(蛇龍)>이라는 제목으로 기록되어 전한다. 그리고 《시용향악보》에는 한시로 개작한 <쌍화곡>이 전한다. 여러 속요들 중에서 이 작품을 연구 과제로 선택하게 된 이유는 고려 후기 당시에 이 작품이 창작된 연원이 정확히 무엇인지 알고 싶었기 때문이다. 본론에서 자세히 이야기하겠지만 이 작품이 조선시대부터 이른바 남녀상열지사(男女相悅之詞)의 대표적인 노래로 지목되면서 사회적으로 금기시되기도 하였다. 최근 2008년 《쌍화점》이라는 제목의 외설적인 영화가 개봉한 것으로 미루어 보았을 때 아직도 사회 전반적으로 이 노래가 충렬왕의 향락적인 측면과 연관되어 있다고 생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오늘날의 연구자들 역시 이러한 음란성과 오락성의 측면에 바탕을 두고 작품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 작품이 충렬왕만을 위한 노래였는지 혹은 당시 고려사회의 분위기가 전반적으로 개방적이었는지에 대해 재고해 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고는 <쌍화점>의 내용이 성적 욕망을 드러내고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하면서, 고려와 조선 전기의 역사적 기록을 분석하여 작품이 창작된 연원과 배경을 알아보기로 하겠다. 더불어 《고려사》에 실린 작품 관련 내용을 부정하는 경우 본론에서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고려사》가 충렬왕을 편향적으로 평가하고 있다는 것에 초점을 두었을 때 그들이 의도하고자 했던 고려속요 <쌍화점>의 의미를 해석하고자 함이다. 이 경우 《고려사》에 기록되어 있는 <삼장>과 <사룡>은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 논의해볼 수 있음에 주목했다.
<쌍화점>과 더불어 <삼장>과 <사룡>은 어떻게 해석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도 논의할 것이다.
Ⅱ. <쌍화점>의 표면적 구조와 의미
《고려사악지》에 따르면 이 작품은 총 4연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1연의 구조가 동일하게 반복되기 때문에 전체 원문은 싣지 않기로 하겠다. 그 중에서 1연의 전문은 다음과 같다.
(1행) 雙花店에 雙花사라 가고신
(2행) 回回아비 내 손모글 주여이다
(3행) 이 말미 이店밧긔 나명들명
(4행) 다로러거디러
(5행) 죠고맛감 삿기광대 네 마리라 호리라
(6행) 더러둥셩 다리러디러 다리러디러 다로러거디러 다로러
(7행) 긔자리예 나도 자라 가리라
(8행) 위 위 다로러거디러 다로러
(9행) 긔잔티 거츠니 업다
1연의 전문을 보았을 때, 반복되는 후렴부분을 제외하면 의미를 담고 있는 부분은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이 중에서도 변형 없이 4연 전체에서 반복되는 부분은 7행과 9행이므로 연에 따라 변화하는 장소, 행위, 주체, 목격자를 다음과 같이 도표화할 수 있다.
(1행) A에 B하라 가고신 (2행) C가 내 손모글 주여이다 (3행) 이 말미 A밧긔 나명들명 (5행) 죠고맛간 D 네 마리라 호리라 (7행) 긔 자리예 나도 자라가리라 (9행) 긔잔티 거츠니 업다
A: 장소
B: 행위
C: 주체자
D: 목격자
1연
雙花店
雙花구매
回回아비
삿기광대
2연
三藏寺
불 켜기
社主
삿기上座
3연
드레우물
물 긷기
우믓龍
드레박
4연
술집
술 구매
짓아비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2.02.07
  • 저작시기2011.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272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