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개요
(2) 조직구조, 직급체계, 보상관련
(3) 취급제품
(4) 산업의 경쟁환경
(5) 성과
(6) 주요전략
(7) 사회공헌
(8) 원하는 인재상
(2) 조직구조, 직급체계, 보상관련
(3) 취급제품
(4) 산업의 경쟁환경
(5) 성과
(6) 주요전략
(7) 사회공헌
(8) 원하는 인재상
본문내용
사: 동북아 환경정책연구 등
동북아 산림포럼: 한국, 중국, 몽골 등 동북아 지역의 산림생태 복원, 사막화를 방지하기 위한 동북아 협력 민간단체.현재 한국,중국,몽골,일본의 산림생태학자들이 참여하고 있으며, 2000년 몽골 지부에 이어 중국 지부가 설립되어 동북아의 산림 생태계 보호를 위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북한 산림황폐지 복구활동
1999~
북한의 산림복구 활동을 통한 북측의 산림환경, 생태보전 및 식량난 극복지원
나무종자, 묘목, 장비 등의 지원
대국민 참여 캠페인 전개
북한 현지조사 활동
북한내 양묘장 건설
평화의 숲 : 북한의 산림복구를 통해 근본적으로 북측의 산량, 식수, 에너지난 극복을 돕고, 이를 통해 한반도 환경보전에 기여하자는 목적하에 추진되는 국민운동으로 , 1999년 창립이후 북한의 산림복구 및 보호에 필효한 나무종자, 묘목, 장비 등 지원.
숲이 있는 학교 ㆍ만들기
1998~
친자연적 청소년 교육환경 조성을 통한 청소년의 정서 함양, 생명존중사상 고취, 과학적 사고능력 배양, 도시림 확보 및 지역유대 강화
주대상: 전국 초ㆍ중ㆍ고등학교
내용: 교육활동, 교육자료 개발 및 보급, 수목지원, 전문가 자문활동, 시범학교 운영(전국 69개교), 학교 숲 위원회 운영, 총1500개 학교에 학교 숲 매뉴얼 책자 및 CD 무상 보급
학교 숲 기금 조성 (유한킴벌리, 산림청)
협력활동
1998~
사회의 건전한 구성원으로서의 역할
수행
주요 프로그램:
숲 보호활동, 연구/조사, 환경교육자료 보급, 북한 산림복구 활동, 동북아 사막화 방지 등 국제협력 활동
주요 파트너:
ㆍ환경단체- 생명의 숲 국민운동, 평화의 숲, 동북아 산림포럼, 환경련 등
ㆍ정부기관- 환경부, 산림청 등
ㆍ학교 및 전문가: 대학, 연구소, 외국의 시민단체 등
공익 숲 포탈 사이트 운영
(www.forestkorea.org)
2000~
숲에 관한 자료, 정보, 커뮤니티 공가의 제공, 청소년 교육
숲의 기능과 혜택, 수목도감, 수목사전, 숲 보호 시민단체, 국내외 사이트 소개 및 링크
회원수 7,600여명
숲 웹진 서비스 제공
어린이 사이트 운영
학교 숲 기금 조성
사회복지활동
보건과 성에 관한 현장교육
1972~
모자보건, 국민위생, 노인복지 프로그램 개발ㆍ운영으로 국민의 삶의 질 향상
대상: 전국의 초ㆍ중ㆍ고등학생, 일반인
청소년 및 일반의 건강과 성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위한 교육활동
노인복지 활동
1994~
노인복지를 위한 조사 및 정책연구 활동
정책세미나 개최
‘건강을 만드는 작은 책’ 시리즈 발행ㆍ보급
‘노인의 날’ 법정기념일로 제정
사단법인 한국노년자원봉사회 창립
노인복지법 및 시행령 개정 통해 1998년 7월부터 경로연금 지급실시
보건복지부 ‘노인장기요양보호 정책 기획단’ 발족 등
사회복지 활동
1996~
사이버 복지관 운영에 참여
저소득층 쌀 지원 활동
재해지역 지원 활동
<늘푸른복지관>의 설립과 운영을 위한 산학협동 체계를 구축
<늘푸른복지관>
(evergreen.skhu.ac.kr) 설립 및 운영
화장실문화 개선을 위한 국민 캠페인
1998~
위생적인 화장실 문화를 만들어가기 위한 활동
화장실 개ㆍ보수 지원
우수화장실에 화장실용품 지원
자원봉사
자육적인 임직원 봉사활동
1980~
자원봉사를 통해 사회에 대한 책임감을 갖고 자신이 맡은 분야에서 좋은 제품과 서비스를 공급하는 일에 최선을 다하며, 더 나아가서는 윤리경영, 환경경영, 신뢰경영의 기틀을 마련
조직: 동아리, 사업장, 팀별 자율 구성
복지시설 및 소년소녀 가장과의 자매 결연, 후원활동, 방문 봉사활동(김장 담그기, 세탁봉사, 친교활동, 바자회 공동개최 등)
사랑의 헌혈운동
8. 원하는 인재상
유한킴벌리는 경영 이념속에 원하는 인재상이 그대로 담겨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인간존중”, “고객만족”, “사회공헌”, “가치창조”, “혁신주도”에 부합되는 인재를 선발하는 과정이 채용전형이라고 할수 있다. 건전한 사고에 원칙을 중시하며 창의적이고 리더쉽이 있는 사람, 혁신을 지향하면서도 홀로 선 한 그루의 나무보다는 숲을 이룰수 있는 사람, 끊임없이 자기개발을 하는 사람, 같이 일하고 싶은 사람, 이런것들이 유한킴벌리에 최종합격한 지원자들의 공통점이자 선발의 기준이다. 이처럼 추상적으로 들리는 선발의 기준을 서류전형, 면접때 얼마나 구체화시킬수 있느냐가 관건이라고 할수 있다. 한마디로 유한킴벌리의 경영이념에 “나도 그렇다”는 점을 강조하는 것이 중요할 것 같다. 유한킴벌리의 전형절차는 공개전형으로 진행된다. 서류, 직업성격, 직무적성검사, 면접, 신체검사를 거쳐 합격자를 채용한다. 서류전형은 전공, 학점, 외국어성적, 봉사활동 경력, 자격면허, 자기소개소등 지원자가 인터넷으로 입력한 거의 모든 자료를 종합적으로 평가해 합격자를 결정한다. 이때 지원부문별로 자격요건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탈락하게 된다. 서류전형합격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직업성격, 직무적성검사에도서 일정기준에 미달하게 되면 탈락하게 된다. 면접에 남다른 공을 들이는 것은 유한킴벌리의 남다른 채용방식중 하나이다. 면접은 기본적으로 2차례 진행되는데, 1차에서는 인사팀장, 채용부서팀장등 34인의 면접위원이 지원자와 일대일 대화방식으로 지원자의 과거경험을 중심으로 직무수행능력, 잠재능력, 외국어능력, 전문지식등을 평가한다. 면접위원이 3명인 경우 지원자 1인당 무려 1시간 반정의 장시간 면접이 진행된다. 2차에서는 해당부문 임원등의 면접위원이 지원자의 태도 및 자질, 품성, 리더쉽등을 평가한다. 일부 부문은 프리젠테이션을 실시하기도 하고, 실기평가를 하기도 한다. 근무할 부서로 초청해 식사를 하거나, 회사소개를 하면서 면접을 진해하기도 한다. 유한킴벌리 인사인력부 조성호 팀장은 “ 지원 단계에서부터 직무를 명확히 구분해 지원서를 접수하고, 회사 및 직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등 채용전용에 많은 시간을 들인다”며 이는 “인재확보 및 육성이 우리 회사의 미래이며, 우리 회사가 참여하고 있는 모든 분야에서 선도적이고, 사회에 공헌하는 미래 지향적인 기업문화를 추구해 나갈 수 있음을 믿기 때문이다”라고 말한다.
동북아 산림포럼: 한국, 중국, 몽골 등 동북아 지역의 산림생태 복원, 사막화를 방지하기 위한 동북아 협력 민간단체.현재 한국,중국,몽골,일본의 산림생태학자들이 참여하고 있으며, 2000년 몽골 지부에 이어 중국 지부가 설립되어 동북아의 산림 생태계 보호를 위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북한 산림황폐지 복구활동
1999~
북한의 산림복구 활동을 통한 북측의 산림환경, 생태보전 및 식량난 극복지원
나무종자, 묘목, 장비 등의 지원
대국민 참여 캠페인 전개
북한 현지조사 활동
북한내 양묘장 건설
평화의 숲 : 북한의 산림복구를 통해 근본적으로 북측의 산량, 식수, 에너지난 극복을 돕고, 이를 통해 한반도 환경보전에 기여하자는 목적하에 추진되는 국민운동으로 , 1999년 창립이후 북한의 산림복구 및 보호에 필효한 나무종자, 묘목, 장비 등 지원.
숲이 있는 학교 ㆍ만들기
1998~
친자연적 청소년 교육환경 조성을 통한 청소년의 정서 함양, 생명존중사상 고취, 과학적 사고능력 배양, 도시림 확보 및 지역유대 강화
주대상: 전국 초ㆍ중ㆍ고등학교
내용: 교육활동, 교육자료 개발 및 보급, 수목지원, 전문가 자문활동, 시범학교 운영(전국 69개교), 학교 숲 위원회 운영, 총1500개 학교에 학교 숲 매뉴얼 책자 및 CD 무상 보급
학교 숲 기금 조성 (유한킴벌리, 산림청)
협력활동
1998~
사회의 건전한 구성원으로서의 역할
수행
주요 프로그램:
숲 보호활동, 연구/조사, 환경교육자료 보급, 북한 산림복구 활동, 동북아 사막화 방지 등 국제협력 활동
주요 파트너:
ㆍ환경단체- 생명의 숲 국민운동, 평화의 숲, 동북아 산림포럼, 환경련 등
ㆍ정부기관- 환경부, 산림청 등
ㆍ학교 및 전문가: 대학, 연구소, 외국의 시민단체 등
공익 숲 포탈 사이트 운영
(www.forestkorea.org)
2000~
숲에 관한 자료, 정보, 커뮤니티 공가의 제공, 청소년 교육
숲의 기능과 혜택, 수목도감, 수목사전, 숲 보호 시민단체, 국내외 사이트 소개 및 링크
회원수 7,600여명
숲 웹진 서비스 제공
어린이 사이트 운영
학교 숲 기금 조성
사회복지활동
보건과 성에 관한 현장교육
1972~
모자보건, 국민위생, 노인복지 프로그램 개발ㆍ운영으로 국민의 삶의 질 향상
대상: 전국의 초ㆍ중ㆍ고등학생, 일반인
청소년 및 일반의 건강과 성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위한 교육활동
노인복지 활동
1994~
노인복지를 위한 조사 및 정책연구 활동
정책세미나 개최
‘건강을 만드는 작은 책’ 시리즈 발행ㆍ보급
‘노인의 날’ 법정기념일로 제정
사단법인 한국노년자원봉사회 창립
노인복지법 및 시행령 개정 통해 1998년 7월부터 경로연금 지급실시
보건복지부 ‘노인장기요양보호 정책 기획단’ 발족 등
사회복지 활동
1996~
사이버 복지관 운영에 참여
저소득층 쌀 지원 활동
재해지역 지원 활동
<늘푸른복지관>의 설립과 운영을 위한 산학협동 체계를 구축
<늘푸른복지관>
(evergreen.skhu.ac.kr) 설립 및 운영
화장실문화 개선을 위한 국민 캠페인
1998~
위생적인 화장실 문화를 만들어가기 위한 활동
화장실 개ㆍ보수 지원
우수화장실에 화장실용품 지원
자원봉사
자육적인 임직원 봉사활동
1980~
자원봉사를 통해 사회에 대한 책임감을 갖고 자신이 맡은 분야에서 좋은 제품과 서비스를 공급하는 일에 최선을 다하며, 더 나아가서는 윤리경영, 환경경영, 신뢰경영의 기틀을 마련
조직: 동아리, 사업장, 팀별 자율 구성
복지시설 및 소년소녀 가장과의 자매 결연, 후원활동, 방문 봉사활동(김장 담그기, 세탁봉사, 친교활동, 바자회 공동개최 등)
사랑의 헌혈운동
8. 원하는 인재상
유한킴벌리는 경영 이념속에 원하는 인재상이 그대로 담겨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인간존중”, “고객만족”, “사회공헌”, “가치창조”, “혁신주도”에 부합되는 인재를 선발하는 과정이 채용전형이라고 할수 있다. 건전한 사고에 원칙을 중시하며 창의적이고 리더쉽이 있는 사람, 혁신을 지향하면서도 홀로 선 한 그루의 나무보다는 숲을 이룰수 있는 사람, 끊임없이 자기개발을 하는 사람, 같이 일하고 싶은 사람, 이런것들이 유한킴벌리에 최종합격한 지원자들의 공통점이자 선발의 기준이다. 이처럼 추상적으로 들리는 선발의 기준을 서류전형, 면접때 얼마나 구체화시킬수 있느냐가 관건이라고 할수 있다. 한마디로 유한킴벌리의 경영이념에 “나도 그렇다”는 점을 강조하는 것이 중요할 것 같다. 유한킴벌리의 전형절차는 공개전형으로 진행된다. 서류, 직업성격, 직무적성검사, 면접, 신체검사를 거쳐 합격자를 채용한다. 서류전형은 전공, 학점, 외국어성적, 봉사활동 경력, 자격면허, 자기소개소등 지원자가 인터넷으로 입력한 거의 모든 자료를 종합적으로 평가해 합격자를 결정한다. 이때 지원부문별로 자격요건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탈락하게 된다. 서류전형합격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직업성격, 직무적성검사에도서 일정기준에 미달하게 되면 탈락하게 된다. 면접에 남다른 공을 들이는 것은 유한킴벌리의 남다른 채용방식중 하나이다. 면접은 기본적으로 2차례 진행되는데, 1차에서는 인사팀장, 채용부서팀장등 34인의 면접위원이 지원자와 일대일 대화방식으로 지원자의 과거경험을 중심으로 직무수행능력, 잠재능력, 외국어능력, 전문지식등을 평가한다. 면접위원이 3명인 경우 지원자 1인당 무려 1시간 반정의 장시간 면접이 진행된다. 2차에서는 해당부문 임원등의 면접위원이 지원자의 태도 및 자질, 품성, 리더쉽등을 평가한다. 일부 부문은 프리젠테이션을 실시하기도 하고, 실기평가를 하기도 한다. 근무할 부서로 초청해 식사를 하거나, 회사소개를 하면서 면접을 진해하기도 한다. 유한킴벌리 인사인력부 조성호 팀장은 “ 지원 단계에서부터 직무를 명확히 구분해 지원서를 접수하고, 회사 및 직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등 채용전용에 많은 시간을 들인다”며 이는 “인재확보 및 육성이 우리 회사의 미래이며, 우리 회사가 참여하고 있는 모든 분야에서 선도적이고, 사회에 공헌하는 미래 지향적인 기업문화를 추구해 나갈 수 있음을 믿기 때문이다”라고 말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