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1. 맥도날드
(1) 맥도날드의 소개 및 연혁
(2) 맥도날드의 마케팅 전략
2. 롯데리아
(1) 롯데리아의 소개 및 연혁
(2) 롯데리아의 마케팅 전략
Ⅲ 본론 2
1. 롯데리아와 맥도날드의 SWOT 분석
(1) 롯데리아의 SWOT 분석
(2) 맥도날드의 SWOT 분석
BCG 매트릭스로 본 경쟁상황
4P 분석
5 FORCES
기존 target 고객 층 공략 방법
2. 롯데리아와 맥도날드의 마케팅 전쟁
(1) 롯데리아와 맥도날드의 메뉴 전쟁
(2) 롯데리아와 맥도날드의 광고 전쟁
(3) 롯데리아와 맥도날드의 가격 전쟁
Ⅳ. 결 론
Ⅱ. 본론 1
1. 맥도날드
(1) 맥도날드의 소개 및 연혁
(2) 맥도날드의 마케팅 전략
2. 롯데리아
(1) 롯데리아의 소개 및 연혁
(2) 롯데리아의 마케팅 전략
Ⅲ 본론 2
1. 롯데리아와 맥도날드의 SWOT 분석
(1) 롯데리아의 SWOT 분석
(2) 맥도날드의 SWOT 분석
BCG 매트릭스로 본 경쟁상황
4P 분석
5 FORCES
기존 target 고객 층 공략 방법
2. 롯데리아와 맥도날드의 마케팅 전쟁
(1) 롯데리아와 맥도날드의 메뉴 전쟁
(2) 롯데리아와 맥도날드의 광고 전쟁
(3) 롯데리아와 맥도날드의 가격 전쟁
Ⅳ. 결 론
본문내용
로 이것을 역이용할 수도 있다. 즉 그 영화와 실제가 다르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맥도날드에 대한 이미지를 새롭게 굳히는 계기로 삼는 것이다. 맥도날드의 메뉴는 하루의 생활에 든든함을 줄수 있는 메뉴들이고 과다하게 이용되지만 않는다면 영양을 고루 공급해줄 수 있다고 증명해 보일 수도 있다.
한편 맥도날드는 최근에는 지체부자유자의 고용에도 적극 앞장서 서비스업계의 화제를 모으고 있다. 결식 아동돕기도 하고 있으므로 맥도날드를 좋아하는 사람들에게 좋은 이미지를 더 부각시킬 수 있다. 이처럼 막강한 브랜드 파워를 앞세워 위기를 기회로 삼을 수도 있고 긍정적인 이미지를 보다 크게 부각시킬 수도 있다. 패스트푸드 매장에 대해 존재하는 청결도에 대한 사람들의 의심을 불식시키고 웰빙 트렌드에 가세하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매출을 증가시킬 수 있다.
미국의 경우 소비자의 신뢰를 되찾기 위해 매장마다 \"이동선\"을 그어놓고 직원들이 30분씩 \"전자 감응기\"를 들고 화장실 청결 상태에서 냉장고 온도까지 꼼꼼하게 체크하 도록 하고 점검 태도가 불성실하면 전자감응기가 매니저의 휴대폰으로 알리도록 했다. \'정크 푸드\'이미지를 벗기 위해 샐러드나 달걀 같은 건강 메뉴를 추가하고 유럽 과 미국에서는 10여가지 샌드위치 메뉴를 도입, 주문즉시 그릴로 구워줬다. 호주에서는 커피 라운지를 한켠에 만들어 고급 커피를 팔았다. 영국에서는 공간을 조금이라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고기를 세워서 굽는 그릴을 도입했다. 이에 미국 맥도날드의 재무책임자인 매튜 폴은 \"건강 메뉴의 \'후광 효과\'덕분에 매출이 전반 적으로 늘었으며 앞으로도 매출 성장률 3~5%를 유지할 수 있다\"고 자신하고 있다. 따라서 한국 맥도날드도 변화를 통해 패스트푸드에 대한 기존 이미지를 개선하고 매출을 증가 시킬 수 있을 것이다.
라. 위협
전 세계적인 웰빙 열풍, 반미감정에 의한 매출파도타기, 패스트 푸드에 대한 전반적으로 나쁜 이미지에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없다. 대표적인 브랜드이기에 더더욱 영향을 많이 받을 수 있다. 맥도날드는 2000년 웰빙 열풍이 갑자기 전세계를 뒤덮은 이래 채식주의자와 반 미주의자, 심지어 종교계로부터도 심한 비판을 받아왔다.
또한 요즘 매출 부진, 경기 불황, 웰빙 열풍과 안티패스트 푸드 운동 등의 악재가 겹침으로써 패스트푸드 업계가 카드로 내세운 가격 인하 경쟁이 수익에 타격을 입힐 우려가 있다. 한국 맥도날드는 3개 주요 단품 메뉴와 5개 세트메뉴에 대 한 가격을 인하했고, 롯데리아, 버거킹 등 다른 업체도 비슷한 수준으로 가격을 내리기로 해 업계의 출혈 경쟁이 예상된다.
올 들어 맥도날드를 비롯한 패스트푸드 업체들이 웰빙 샐러드 메뉴를 경쟁적으로 내놨지만 결과는 기대에 훨씬 미치지 못했다. 대표적인 건강 메뉴인 샐러드 판매 비중이 당초 예상과 달리1~5%를 밑도는 등 유명무실한 메뉴가 되고 있기 때문이다. 반면 안티패스트푸드 단체들의 공격 대상이 됐던 전통 패스트푸드 메뉴의 인기는 여전히 높아 새로운 고민거리가 되고 있다. 그 이유는 고객들이 패스트푸드 매장에 굳이 웰빙하러 가지 않으며 웰빙을 위한 샐러드 메뉴는 돈을 더 주고서라도 전문점에 가서 먹는 것이 요즘 소비 트렌드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건강메뉴의 타겟 고객은 20~30대의 일부 여성 고객으로 전체 고객의 고작 10 % 정도로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매출 비중 저하의 원인이 된다.
BCG 매트릭스로 본 경쟁상황
그림 3 BCG 매트릭스로 본 경쟁상황
4P 분석
Product
Price
Fast food, 각종 음료, 사이드 메뉴
규격화된 제품, 서비스
최근 일부 웰빙 메뉴 등장
버거킹 > 맥도날드 > 롯데리아
일부 마이너스 이익 상품 판매
(500원 아이스크림, 프렌치 프라이)
최근 런치 타임 메뉴 가격 인하
Promotion
Place
Soft sell 위주 (I\'m lovin it)
+ Hard sell (적극적 가격 홍보)
TV , 신문 광고 위주
만화 영화, 이동 통신 등과 연계 전략
결식 아동 돕기 등 사회 환원 PR
프랜차이즈 형식
한국 시장 주요 입지 롯데리아 선점
Drive - in
2개 사업체가 지역 분리 소요
딱딱한 의자, 불편한 매장
가. Product
맥도날드는 현재 햄버고, 음료, 감자튀김, 너겟 등 주요 패스트 푸드 상품을 주로 팔고 있다. 맥도날드 음식의 특징은 철저히 규격화된 패스트 푸드를 팔고 있다는 것이다. 고기 패치의 두께, 밀크 쉐이크의 온도까지 규격화 시켜 세계 어느 곳에서나 동일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표준을 통일 시켰다. 최근에는 샌드위치, 셀러드, 우유 등 웰빙 음식을 팔고 있으나 예상보다 반응이 좋지 않다.
나. Price
동종 업계와 비교해 봤을 때 롯데리아보다는 비싸고 버거킹보다는 싼 가격을 유지하고 있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맥도날드는 일부 마이너스 상품을 판매하고 있는데, 500원 WK리 아이스크림과 감자튀김 등이 그것이다. 손해를 보더라도 싼 상품으로 매장에 고객을 RMfdj들여 전체적 매출에 기여한다는 전략이다. 최근에는 런치 타임 메뉴를 3000원에 판매하는 등 경제 불황에 맞서 공격적인 가격 정책을 펴고 있다.
다. Promotion
98년 전세계적으로 I\'m lovin it 이라는 감성과 경험에 소구하는 soft sell 광고로 전략을 선회한 이후 기존의 hard sell광고는 거의 하지 않았다. 하지만 최근에는 한국 시장에서 3000원 짜리 런치 타임 메뉴를 내 놓으며 싼 가격을 강조하는 TV 광고를 내보내고 있다. 또한 결식 아동 돕기 등 사회 환원 PR도 꾸준히 진행하고 있다.
라. Place
프랜차이즈 업태로 운영되며 현재 한국 맥도날드 소유권은 특이하게도 두 개 회사로 나누어져 있다. 따라서 지역에 따라 마일리지 카드가 통용되지 않는 곳도 있다. 또한 롯데리아가 한국 시장에 한발 먼저 진출한 탓에, 주요 입지를 롯데리아에게 빼앗겼다. 따라서 주요 지하철 역, 버스 역 등에는 롯데리아가 가장 좋은 자리를 입지하고 있다. 이 단점을 보완해 줄 수 있는 것으로 맥도날드만의 Drive-in 시설이 있으나 한국 실정에는 맞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매장 안의 상황은 오래 머물 수
한편 맥도날드는 최근에는 지체부자유자의 고용에도 적극 앞장서 서비스업계의 화제를 모으고 있다. 결식 아동돕기도 하고 있으므로 맥도날드를 좋아하는 사람들에게 좋은 이미지를 더 부각시킬 수 있다. 이처럼 막강한 브랜드 파워를 앞세워 위기를 기회로 삼을 수도 있고 긍정적인 이미지를 보다 크게 부각시킬 수도 있다. 패스트푸드 매장에 대해 존재하는 청결도에 대한 사람들의 의심을 불식시키고 웰빙 트렌드에 가세하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매출을 증가시킬 수 있다.
미국의 경우 소비자의 신뢰를 되찾기 위해 매장마다 \"이동선\"을 그어놓고 직원들이 30분씩 \"전자 감응기\"를 들고 화장실 청결 상태에서 냉장고 온도까지 꼼꼼하게 체크하 도록 하고 점검 태도가 불성실하면 전자감응기가 매니저의 휴대폰으로 알리도록 했다. \'정크 푸드\'이미지를 벗기 위해 샐러드나 달걀 같은 건강 메뉴를 추가하고 유럽 과 미국에서는 10여가지 샌드위치 메뉴를 도입, 주문즉시 그릴로 구워줬다. 호주에서는 커피 라운지를 한켠에 만들어 고급 커피를 팔았다. 영국에서는 공간을 조금이라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고기를 세워서 굽는 그릴을 도입했다. 이에 미국 맥도날드의 재무책임자인 매튜 폴은 \"건강 메뉴의 \'후광 효과\'덕분에 매출이 전반 적으로 늘었으며 앞으로도 매출 성장률 3~5%를 유지할 수 있다\"고 자신하고 있다. 따라서 한국 맥도날드도 변화를 통해 패스트푸드에 대한 기존 이미지를 개선하고 매출을 증가 시킬 수 있을 것이다.
라. 위협
전 세계적인 웰빙 열풍, 반미감정에 의한 매출파도타기, 패스트 푸드에 대한 전반적으로 나쁜 이미지에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없다. 대표적인 브랜드이기에 더더욱 영향을 많이 받을 수 있다. 맥도날드는 2000년 웰빙 열풍이 갑자기 전세계를 뒤덮은 이래 채식주의자와 반 미주의자, 심지어 종교계로부터도 심한 비판을 받아왔다.
또한 요즘 매출 부진, 경기 불황, 웰빙 열풍과 안티패스트 푸드 운동 등의 악재가 겹침으로써 패스트푸드 업계가 카드로 내세운 가격 인하 경쟁이 수익에 타격을 입힐 우려가 있다. 한국 맥도날드는 3개 주요 단품 메뉴와 5개 세트메뉴에 대 한 가격을 인하했고, 롯데리아, 버거킹 등 다른 업체도 비슷한 수준으로 가격을 내리기로 해 업계의 출혈 경쟁이 예상된다.
올 들어 맥도날드를 비롯한 패스트푸드 업체들이 웰빙 샐러드 메뉴를 경쟁적으로 내놨지만 결과는 기대에 훨씬 미치지 못했다. 대표적인 건강 메뉴인 샐러드 판매 비중이 당초 예상과 달리1~5%를 밑도는 등 유명무실한 메뉴가 되고 있기 때문이다. 반면 안티패스트푸드 단체들의 공격 대상이 됐던 전통 패스트푸드 메뉴의 인기는 여전히 높아 새로운 고민거리가 되고 있다. 그 이유는 고객들이 패스트푸드 매장에 굳이 웰빙하러 가지 않으며 웰빙을 위한 샐러드 메뉴는 돈을 더 주고서라도 전문점에 가서 먹는 것이 요즘 소비 트렌드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건강메뉴의 타겟 고객은 20~30대의 일부 여성 고객으로 전체 고객의 고작 10 % 정도로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매출 비중 저하의 원인이 된다.
BCG 매트릭스로 본 경쟁상황
그림 3 BCG 매트릭스로 본 경쟁상황
4P 분석
Product
Price
Fast food, 각종 음료, 사이드 메뉴
규격화된 제품, 서비스
최근 일부 웰빙 메뉴 등장
버거킹 > 맥도날드 > 롯데리아
일부 마이너스 이익 상품 판매
(500원 아이스크림, 프렌치 프라이)
최근 런치 타임 메뉴 가격 인하
Promotion
Place
Soft sell 위주 (I\'m lovin it)
+ Hard sell (적극적 가격 홍보)
TV , 신문 광고 위주
만화 영화, 이동 통신 등과 연계 전략
결식 아동 돕기 등 사회 환원 PR
프랜차이즈 형식
한국 시장 주요 입지 롯데리아 선점
Drive - in
2개 사업체가 지역 분리 소요
딱딱한 의자, 불편한 매장
가. Product
맥도날드는 현재 햄버고, 음료, 감자튀김, 너겟 등 주요 패스트 푸드 상품을 주로 팔고 있다. 맥도날드 음식의 특징은 철저히 규격화된 패스트 푸드를 팔고 있다는 것이다. 고기 패치의 두께, 밀크 쉐이크의 온도까지 규격화 시켜 세계 어느 곳에서나 동일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표준을 통일 시켰다. 최근에는 샌드위치, 셀러드, 우유 등 웰빙 음식을 팔고 있으나 예상보다 반응이 좋지 않다.
나. Price
동종 업계와 비교해 봤을 때 롯데리아보다는 비싸고 버거킹보다는 싼 가격을 유지하고 있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맥도날드는 일부 마이너스 상품을 판매하고 있는데, 500원 WK리 아이스크림과 감자튀김 등이 그것이다. 손해를 보더라도 싼 상품으로 매장에 고객을 RMfdj들여 전체적 매출에 기여한다는 전략이다. 최근에는 런치 타임 메뉴를 3000원에 판매하는 등 경제 불황에 맞서 공격적인 가격 정책을 펴고 있다.
다. Promotion
98년 전세계적으로 I\'m lovin it 이라는 감성과 경험에 소구하는 soft sell 광고로 전략을 선회한 이후 기존의 hard sell광고는 거의 하지 않았다. 하지만 최근에는 한국 시장에서 3000원 짜리 런치 타임 메뉴를 내 놓으며 싼 가격을 강조하는 TV 광고를 내보내고 있다. 또한 결식 아동 돕기 등 사회 환원 PR도 꾸준히 진행하고 있다.
라. Place
프랜차이즈 업태로 운영되며 현재 한국 맥도날드 소유권은 특이하게도 두 개 회사로 나누어져 있다. 따라서 지역에 따라 마일리지 카드가 통용되지 않는 곳도 있다. 또한 롯데리아가 한국 시장에 한발 먼저 진출한 탓에, 주요 입지를 롯데리아에게 빼앗겼다. 따라서 주요 지하철 역, 버스 역 등에는 롯데리아가 가장 좋은 자리를 입지하고 있다. 이 단점을 보완해 줄 수 있는 것으로 맥도날드만의 Drive-in 시설이 있으나 한국 실정에는 맞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매장 안의 상황은 오래 머물 수
추천자료
마케팅전략 비교분석 - Baskin-robbins31 VS 나뚜루
[마케팅] 스타벅스 VS 민들레 영토 마케팅 비교분석 자료
[브랜드마케팅]이통통신 3G서비스 시장에서의 KTF 'SHOW'와 SKT ‘T' 브랜드 마케팅 비교분석
[마케팅A+] 한국형 SPA 바탕으로 국내진출 성공한 후아유(WHO.A.U)와 실패사례 아이겐포스트(...
블랙야크 VS 노스페이스 기업 SWOT분석및 마케팅 STP,4P전략비교분석
스타벅스 vs 카페베네 기업 SWOT분석과 마케팅 STP,4P전략 비교분석
코카콜라 VS 펩시 브랜드및 마케팅전략 비교분석과 새로운 마케팅전략 제안
코데즈컴바인 마케팅조사 분석및 코데즈컴바인 전략 제안 (SPA브랜드 유니클로,자라와 비교...
카페베네 vs 스타벅스 해외진출 글로벌 마케팅전략 비교분석및 스타벅스,카페베네 마케팅전...
에버랜드(EVERLAND) 마케팅 SWOT, STP, 7P전략분석(vs 롯데월드와 비교분석) 및 에버랜드 새...
기업마케팅관리와 사회복지조직의 마케팅 관리의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해 비교분석하고, 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