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자폐의 특성
Ⅱ. 자폐학생을 위한 중재 전략
Ⅲ. 역할놀이에 있어서 자폐유아의 지도방법
Ⅳ. 일반유아 -> 자폐유아 활동수정 예시
Ⅱ. 자폐학생을 위한 중재 전략
Ⅲ. 역할놀이에 있어서 자폐유아의 지도방법
Ⅳ. 일반유아 -> 자폐유아 활동수정 예시
본문내용
라서 몸짓과 발성 같은 조기 의사소통 형태가 점차 새로운 형태로 늘어났고 결국 통합된 다중양식 체계를 가져왔다. 이러한 중재의 목적은 자연적인 말과 언어를 발달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말과 언어가 발달하지 않는다면, 나중에 보완대체의사소통 중재를 위한 강한 기초가 확립되어야 한다.
언어중재 프로그램 모델이 자폐아동을 위해 아동중심 상호작용 양식을 채택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학자들은 강조한다. 이는 아동이 즐거운 상호작용을 시작하고 조절할 때 의사소통 파트너가 아동이 하는 것을 따라가는 것을 말한다.
의사소통을 위한 상황은 아동중심 의사소통 접근의 또 하나의 중요한 요소이다. 일상적인 의사소통은 사회적 결합이나 ‘사회적 관계’를 위한 욕구 때문에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일어나게 된다. 자폐아동은 사회적 접근 영역에서 사회적 접촉을 위한 동기가 매우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대부분 결함을 가지고 있다. 초기의 중재는 학생이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 동기를 부여하는 활동이 이루어지는 즐거운 상황을 만들어야 한다.
아동중심 접근방법의 좋은 예로는 환경적 언어 중재 모델(Environmental Language Intervention model: ELI) (McDonald,1985), 교류접근(transactional approach) (Snyder-McLean etal., 1984), 하넨 조기언어 부모 프로그램(Hanen Early Language Parent Program) (Girolametto etal., 1986,1988 ; Manolson, 1985 ; Weitzman & Mayerovitch, 1987) 등을 들 수 있다.
○ 의사소통을 시도하는 아동의 몸짓, 음성, 기타 행동을 관찰하고 해석한다.
○ 놀게 하고, 아동이 하는 것을 따라가고, 아동의 관심에 초점을 둔다.
○ 아동이 배울 수 있도록 친절하고 우연하게 반응한다.
○ 말 주고받기에 의한 상호작용을 계속한다.
○ 아동에게 새로운 의사소통 형태를 가르치는데 요구되는 것을 촉진한다.
⑵ TEACCH 의사소통 프로그램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에 설치된 자폐증과 의사소통 장애아동의 치료교육센터인 TEACCH에서는, 자폐아동들이 일상생활에서 보다 성공적으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가능한 한 구어를 발전시키면서 효과적이고 기능적인 비음성적 의사소통 방법(예, 사물, 그림, 상징, 몸짓 등)인 TEACCH 의사소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 접근방법
이 프로그램에서는 좀 더 복잡한 형태의 의사소통 지도에 앞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보다 더 많은 의미로 의사소통하도록 학생들을 지도할 것을 강조한다. 프로그램에서는 ‘의사소통 기술의 증진’이라는 광범위한 목적을 추구하면서 다음의 다섯가지 차원을 고려한다.
○ 의사소통의 기능 또는 목적
○ 의사소통이 발생하는 내용 또는 상황
○ 아동이 표현한 의미론적 범주
○ 아동이 의사소통할 때 사용하는 다양한 단어, 몸짓, 상징
○ 의사소통의 형태로써 그림이나 몸짓의 비구어적 체계, 한 단어 수준의 단순한 언어체계, 복잡한 문장 수준의 진보된 언어 체계
ⓑ 의사 소통 평가
이 프로그램에서는 두 가지 방법으로 각 아동의 현재 의사소통 수준을 평가한다. 첫째는 의사소통 표본을 수집하는 것이고, 둘째는 가정이나 그 밖의 장소에서 아동이 의사소통 하는 것을 부모가 관찰하게 하고 부모를 면담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교사와 부모는 아동의 의사소통 기술을 개선시키기 위해 계획하고 있는 장기목표를 결정한다.
ⓒ 교수 목표 설정
의사소통 평가를 통해 아동 개인의 교수목표를 설정하는 것은 총 세단계이다.
첫 번째 단계는 교사 혹은 의사소통 전문가로서 학생의 의사소통 수준에
언어중재 프로그램 모델이 자폐아동을 위해 아동중심 상호작용 양식을 채택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학자들은 강조한다. 이는 아동이 즐거운 상호작용을 시작하고 조절할 때 의사소통 파트너가 아동이 하는 것을 따라가는 것을 말한다.
의사소통을 위한 상황은 아동중심 의사소통 접근의 또 하나의 중요한 요소이다. 일상적인 의사소통은 사회적 결합이나 ‘사회적 관계’를 위한 욕구 때문에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일어나게 된다. 자폐아동은 사회적 접근 영역에서 사회적 접촉을 위한 동기가 매우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대부분 결함을 가지고 있다. 초기의 중재는 학생이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 동기를 부여하는 활동이 이루어지는 즐거운 상황을 만들어야 한다.
아동중심 접근방법의 좋은 예로는 환경적 언어 중재 모델(Environmental Language Intervention model: ELI) (McDonald,1985), 교류접근(transactional approach) (Snyder-McLean etal., 1984), 하넨 조기언어 부모 프로그램(Hanen Early Language Parent Program) (Girolametto etal., 1986,1988 ; Manolson, 1985 ; Weitzman & Mayerovitch, 1987) 등을 들 수 있다.
○ 의사소통을 시도하는 아동의 몸짓, 음성, 기타 행동을 관찰하고 해석한다.
○ 놀게 하고, 아동이 하는 것을 따라가고, 아동의 관심에 초점을 둔다.
○ 아동이 배울 수 있도록 친절하고 우연하게 반응한다.
○ 말 주고받기에 의한 상호작용을 계속한다.
○ 아동에게 새로운 의사소통 형태를 가르치는데 요구되는 것을 촉진한다.
⑵ TEACCH 의사소통 프로그램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에 설치된 자폐증과 의사소통 장애아동의 치료교육센터인 TEACCH에서는, 자폐아동들이 일상생활에서 보다 성공적으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가능한 한 구어를 발전시키면서 효과적이고 기능적인 비음성적 의사소통 방법(예, 사물, 그림, 상징, 몸짓 등)인 TEACCH 의사소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 접근방법
이 프로그램에서는 좀 더 복잡한 형태의 의사소통 지도에 앞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보다 더 많은 의미로 의사소통하도록 학생들을 지도할 것을 강조한다. 프로그램에서는 ‘의사소통 기술의 증진’이라는 광범위한 목적을 추구하면서 다음의 다섯가지 차원을 고려한다.
○ 의사소통의 기능 또는 목적
○ 의사소통이 발생하는 내용 또는 상황
○ 아동이 표현한 의미론적 범주
○ 아동이 의사소통할 때 사용하는 다양한 단어, 몸짓, 상징
○ 의사소통의 형태로써 그림이나 몸짓의 비구어적 체계, 한 단어 수준의 단순한 언어체계, 복잡한 문장 수준의 진보된 언어 체계
ⓑ 의사 소통 평가
이 프로그램에서는 두 가지 방법으로 각 아동의 현재 의사소통 수준을 평가한다. 첫째는 의사소통 표본을 수집하는 것이고, 둘째는 가정이나 그 밖의 장소에서 아동이 의사소통 하는 것을 부모가 관찰하게 하고 부모를 면담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교사와 부모는 아동의 의사소통 기술을 개선시키기 위해 계획하고 있는 장기목표를 결정한다.
ⓒ 교수 목표 설정
의사소통 평가를 통해 아동 개인의 교수목표를 설정하는 것은 총 세단계이다.
첫 번째 단계는 교사 혹은 의사소통 전문가로서 학생의 의사소통 수준에
추천자료
유치원에 자폐유아 포용하기
발달치료교육 프로그램이 자폐성유아의 전반적인 발달에 미치는 영향
자폐아동을 양육하고 있는 내성적 성격의 어머니를 위한 자신감 회복 및 스트레스 감소를 위...
IT 환경이 자폐아동에게 미치는 영향
생활교수학습지도, 읽기교수학습지도, 시감상교수학습지도, 수학교수학습지도, 아동미술교수...
5개 논문을 통한 자폐아동을 위한 언어치료방법 모색
유아동식물생태교육 교수학습자료(수업자료), 유아조형활동교육, 유아음악교육 교수학습자료(...
아동생활지도-유아의 다양한 문제행동 중 한 가지 문제행동을 선정하여 그 문제 행동의 정의,...
컴퓨터 게임을 오래하는 행동 (행동수정사례, 아동행동수정, 문제행동, 아동행동연구, 아동행...
김치를 먹지않는 행동_행동수정사례, 아동행동수정, 문제행동, 아동행동연구, 아동행동지도, ...
[아동수학지도] 영유아 수학 교육의 정의와 목적, 영유아 수학 교육의 원리 및 교사의 역할
아동수학지도-요리활동을 통한 접근의 실제 사례를 참조하여 활동계획안을 작성하시오
아동수학지도)영유아수학교육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벙법을 제시하고, 일상생활에서 접할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