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눈 간호
*무의식 대상자 눈 간호
*안경 관리
*의안 관리
2)귀 간호
*보청기 관리
3)코 간호
4)모발 간호
*모발 손질
*모발 세발
*턱수염, 콧수염 간호
*면도
5)손톱 발톱 간호
-.손톱 간호
-.발톱 발 간호
*당뇨병 대상자 발 간호
6)회음부와 질 간호
-.회음 간호
-.질 간호
◈참고문헌
*무의식 대상자 눈 간호
*안경 관리
*의안 관리
2)귀 간호
*보청기 관리
3)코 간호
4)모발 간호
*모발 손질
*모발 세발
*턱수염, 콧수염 간호
*면도
5)손톱 발톱 간호
-.손톱 간호
-.발톱 발 간호
*당뇨병 대상자 발 간호
6)회음부와 질 간호
-.회음 간호
-.질 간호
◈참고문헌
본문내용
씻고 헹군다. 음낭부위는 민감하므로 조심스럽게 다룬다.
깨끗이 씻은 부위를 말리고, 지시된 연화제(emollient)를 사용한다. 파우더는 대상자가 요구하는 경우에만 사용한다. 여성 대상자의 경우, 파우더는 세균성장의 매개체가 될 수 있고 일반적으로 자궁경부암의 위험을 증가시킨다고 보고 됐다.
대상자를 옆으로 돌려 항문부위 청결을 계속 한다. 가장 적게 오염된 부위에서 가장 많이 오염된 부위로 계속 닦는다. 여성 대상자의 경우 질에서 항문 쪽을 향해 닦는다. 물수건으로 문질러 닦으면 물수건이 더러워지면 교환한다. 잘 헹구고 말린다.
만약 대상자가 도뇨관을 하고 있다면 날마다 도뇨관 간호를 해야 하며 그것은 보통 회음 간호 후에 수행된다. 병원규칙상 항균세제(예:povidone-iodine)를 사용하거나 깨끗한 물수건에 일반 비누의 사용을 권할 수 있다. 먼저 깨끗한 장갑을 끼고 요도에서 아래쪽으로 움직이며 도뇨관의 6~8인치 정도까지 닦는다. 깨끗이 하는 동안에 도뇨관을 잡아당기거나 꼬이지 않도록 조심한다. 요도의 분비물을 잘 살피고 소변의 특성들을 잘 기록한다. 항생제 연고를 발라야 할 경우는 반드시 의사의 처방이 필요하며 깨끗이 닦은 후 요도에 바른다.
(2) 질 간호
정상적으로 건강한 여성은 규칙적인 매일의 질 세척(douching)은 불필요하고 바람직하지 않다. 질 세척은 질의 정상세균 균주를 제거하며 만일 용액의 산성도가 높다면 정상세포에 자극과 손상을 줄 수 있다. 질 세척이 종종 질감염이 치료하기 위해 수행되긴 하나 규칙적인 위생방법으로 권장하지는 않는다. 일주일에 2번이상의 질 세척은 정상적인 개인위생 목적에 부적합하다.
세척통(douche ban)에 1,000~2,000cc의 따뜻한 용액을 준비하고 튜브에 용액을 채운다.
Bulb syringe는 질 세척에 유용하게 쓰이나 주입하는 용액이 자궁경부에 너무 강한 압박을 줄 위험이 있으므로 자주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변기를 대상자의 회음부 밑에 댄다. 대상자가 스스로 질 세척을 할 수 있으면 목욕통 안에 누워서 해도 좋다. 목욕탕 안에서 서서 질 세척을 하는 것은 질에까지 용액을 주입하는데 너무 많은 압력을 요구하므로 좋지 않다.
세척통이 둔부에서 약 60~90cm 위에 위치하도록 건다.
장갑 낀 손가락으로 음순을 벌려 세척 tip을 질의 정상 만곡을 따라 아래 뒤쪽으로 집어넣는다. 용액이 흐르도록 한다.
질구가 닫히도록 외음을 가볍게 잡거나 용액이 모아져서 질을 팽창시킬 수 있도록 대상자의 질 주위 근육을 수축시키도록 한다. 그런 다음 용액이 나오도록 한다. 준비한 세척용액을 모두 사용할 때까지 이 방법을 반복한다. 이러한 방법은 질을 확장시키고 질 내벽을 더욱 청결하게 한다.
질을 검진하기 전에 세척법을 시행해서는 안 된다. 질을 검진하기 전 24~48시간 동안 질 세척을 하지 않는다.
참고문헌
손영희 외(1999). 기본간호학 下. 현문사
김명자 외(2001). 최신기본간호학 하권. 현문사
나덕미 외(2000). 기본간호학 Ⅱ. 수문사
깨끗이 씻은 부위를 말리고, 지시된 연화제(emollient)를 사용한다. 파우더는 대상자가 요구하는 경우에만 사용한다. 여성 대상자의 경우, 파우더는 세균성장의 매개체가 될 수 있고 일반적으로 자궁경부암의 위험을 증가시킨다고 보고 됐다.
대상자를 옆으로 돌려 항문부위 청결을 계속 한다. 가장 적게 오염된 부위에서 가장 많이 오염된 부위로 계속 닦는다. 여성 대상자의 경우 질에서 항문 쪽을 향해 닦는다. 물수건으로 문질러 닦으면 물수건이 더러워지면 교환한다. 잘 헹구고 말린다.
만약 대상자가 도뇨관을 하고 있다면 날마다 도뇨관 간호를 해야 하며 그것은 보통 회음 간호 후에 수행된다. 병원규칙상 항균세제(예:povidone-iodine)를 사용하거나 깨끗한 물수건에 일반 비누의 사용을 권할 수 있다. 먼저 깨끗한 장갑을 끼고 요도에서 아래쪽으로 움직이며 도뇨관의 6~8인치 정도까지 닦는다. 깨끗이 하는 동안에 도뇨관을 잡아당기거나 꼬이지 않도록 조심한다. 요도의 분비물을 잘 살피고 소변의 특성들을 잘 기록한다. 항생제 연고를 발라야 할 경우는 반드시 의사의 처방이 필요하며 깨끗이 닦은 후 요도에 바른다.
(2) 질 간호
정상적으로 건강한 여성은 규칙적인 매일의 질 세척(douching)은 불필요하고 바람직하지 않다. 질 세척은 질의 정상세균 균주를 제거하며 만일 용액의 산성도가 높다면 정상세포에 자극과 손상을 줄 수 있다. 질 세척이 종종 질감염이 치료하기 위해 수행되긴 하나 규칙적인 위생방법으로 권장하지는 않는다. 일주일에 2번이상의 질 세척은 정상적인 개인위생 목적에 부적합하다.
세척통(douche ban)에 1,000~2,000cc의 따뜻한 용액을 준비하고 튜브에 용액을 채운다.
Bulb syringe는 질 세척에 유용하게 쓰이나 주입하는 용액이 자궁경부에 너무 강한 압박을 줄 위험이 있으므로 자주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변기를 대상자의 회음부 밑에 댄다. 대상자가 스스로 질 세척을 할 수 있으면 목욕통 안에 누워서 해도 좋다. 목욕탕 안에서 서서 질 세척을 하는 것은 질에까지 용액을 주입하는데 너무 많은 압력을 요구하므로 좋지 않다.
세척통이 둔부에서 약 60~90cm 위에 위치하도록 건다.
장갑 낀 손가락으로 음순을 벌려 세척 tip을 질의 정상 만곡을 따라 아래 뒤쪽으로 집어넣는다. 용액이 흐르도록 한다.
질구가 닫히도록 외음을 가볍게 잡거나 용액이 모아져서 질을 팽창시킬 수 있도록 대상자의 질 주위 근육을 수축시키도록 한다. 그런 다음 용액이 나오도록 한다. 준비한 세척용액을 모두 사용할 때까지 이 방법을 반복한다. 이러한 방법은 질을 확장시키고 질 내벽을 더욱 청결하게 한다.
질을 검진하기 전에 세척법을 시행해서는 안 된다. 질을 검진하기 전 24~48시간 동안 질 세척을 하지 않는다.
참고문헌
손영희 외(1999). 기본간호학 下. 현문사
김명자 외(2001). 최신기본간호학 하권. 현문사
나덕미 외(2000). 기본간호학 Ⅱ. 수문사
추천자료
대한 간호학회의 창설 및 활동과 간호정우회의 창설 및 활동
[전략적 간호관리 E형] 과학적 관리론과 인간관계론을 비교하여 논하고, 간호사들이 신명나게...
[전략적 간호관리 A형] 건강관리조직(예 병원)이 갖는 특성들을 설명하고, 간호사들이 조직에...
[기초간호과학] 면역에 관여하는 3가지 세포와 4가지 형태의 과민반응, 악성종양과 양성종양...
[기초간호과학공통] 면역에 관여하는 3가지 세포 4가지형태 과민반응, 악성종양과 양성종양의...
[아동간호학] 폐렴 간호과정 (Pneumonia case study)
[전략적 간호관리학 공통] (1) 건강관리조직(예: 병원)이 갖는 특성 (2) 삶의 현장에서 스트...
[지역사회 간호학] 보건소 실습 금연실 케이스 (금연사업, 사례연구, 간호과정)
[전략적 간호관리 공통] 1. 보건의료 시스템을 재구성하게 하는 압력요인을 제시하고 그 세부...
[간호학과] [전략적 간호관리 공통] 1. 과학적 관리론과 인간관계론을 비교하여 논하고, 간호...
[전략적 간호관리 공통] 1. 과학적 관리론과 인간관계론을 비교하여 논하고, 간호사들이 신명...
[전략적 간호관리 공통] 1. 과학적 관리론과 인간관계론을 비교하여 논하고 간호사들이 신명...
방통대 전략적 간호관리 중간과제물:1.1.1.1.1. 과학적 관리론과 인간관계론을 비교하여 논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