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매스미디어와 대중문화
그렇다면 매스미디어란 도대체 무엇인가??
매스미디어의 기능은 어떤 것이 있는가??
1. 매스미디어의 환경감시기능
2. 매스미디어의 상관조정기능
3. 사회유산의 전수기능
4. 매스미디어의 오락기능
매스미디어의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이 대중에게 미치는 영향??
1. 미디어의 긍정적인 면
2. 부정적인 면
매스미디어와 대중문화환경
앞으로의 방향
그렇다면 매스미디어란 도대체 무엇인가??
매스미디어의 기능은 어떤 것이 있는가??
1. 매스미디어의 환경감시기능
2. 매스미디어의 상관조정기능
3. 사회유산의 전수기능
4. 매스미디어의 오락기능
매스미디어의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이 대중에게 미치는 영향??
1. 미디어의 긍정적인 면
2. 부정적인 면
매스미디어와 대중문화환경
앞으로의 방향
본문내용
성숙을 통찰하지 못했던 것이다. 이러한, 한국적 공동체의식은 비합리적이고, 몰상식의 사회에서 노출되지 않았을 뿐 우리역사와 함께 했던 것이며, 이러한 민주적인 참여의식은 2002년 월드컵과 효순이·미순이 촛불추모집회에서 만개하게 된 것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그러한 대중문화가 가능했던 환경은 인터넷을 통해 주체와 주체간의 의사소통이 개진되었기 때문이다.20세기의 대중문화는 방송미디어컨텐츠의 막강한 지배력으로 인해 대중문화환경에 대한 견해가 긍정론보다는 부정론이 우세했다고 볼 수 있다. 커뮤니케이션 학자인 화이트(1957)는 대중문화의 퇴폐성은 고대 그리스에서부터 줄곧 존재해 온 현상으로 오늘에 와서 새삼스러운 것도 아니며, 대중사회가 전체주의로 변할 것이라는 주장도 미국처럼 대중사회의 성격을 가장 많이 갖춘 사회에서 먼저 나타나지 않고 오히려 비교적 후진국에 속하는 독일이나 러시아에서 먼저 전체주의가 출현했다고 말하지만, 이는 문화지형을 지배권력의 관점에서 바라볼 때 가능한 견해이다. 미국의 하위문화나 문화적 다양성의 동력은 철저히 주류대중문화에 대한 저항과 비판에서 시작되었고 그러한 저항과 비판의 토양 위에서 진정성 있는 문화실천이 지속되고 있음을 간과 하고 있으며, 우리의 경우 또한, 민중문화는 방송권력과 국가권력의 남용과 획일화에 저항하면서 스스로 문화의 다양성을 사회적 실천으로 이행하였던 것이다.그럼에도 불구하고 방송미디어컨텐츠는 합리적이고, 민주적인 대중사회를 유지하기 위해 없어서는 안 될 가장 중요한 대중문화환경의 핵심이다. 하지만, 방송미디어컨텐츠가 20세기 한국 대중문화사회에서 지배권력 옹호와 독점적 자본구축을 위해 복무했던 역사적 사실을 부정할 수 없다. 우리에게는 “텔레비젼은 바보상자다.”라는 말이 이러한 국면을 대변하고 있다.결국, 방송미디어가 독점하고 있는 대중문화환경을 부정적인 측면에 접근하지 않을 수 없으며 이에 대해, T. Adorno는 대중문화가 이데올로기이며, 이데올로기로서의 대중문화는 자본주의 사회유지를 위해 허위욕구의 창출로 조작된 허위의식이며, 전체주의 온상이며, 현대 자본주의의 물상화현상에 대하여 순수한 저항을 철저하게 제거시킨 문화라는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은 의미에 준거하여 문화산업이 자본주의의 지배를 영속화하기 위하여 기술을 이용하고 이성을 도구화하고 그들의 문화적 표현을 상품화하는 수단과 방법이라고 하였다. 그들에 의하면 사유재산과 경쟁 그리고 이윤에 토대를 둔 사회경제 체제의 조직이 합리주의를 통해서 인간으로 하여금 그들의 지고한 상상력과 지적 능력의 실현을 방해고 있다고 보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A. Hauser(1963)는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20세기의 매스미디어가 비현실로부터 현실을, 비합리성으로부터 합리성을 구별하는 인간능력을 파괴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문화적 생산은 민중을 소비자로 만듦으로써 그들이 자주성이나 자율성을 포기하게 만들고 무감각하게 만든다. 매스미디어의 공상적 세계 속에서 문화는 자연히 오락과 융합되기 마련이고, 따라서 대중예술은 허구적 공상세계에 맹목적으로 빠져들어 가서 정상적인 정서생활에 갈등을 불러일으키고 대중으로 하여금 복종토록 교육시키는 것이 된다. (A. Hauser, The Philosophy of Art History,Cleverland Publishing Co., 1963)
21세기 서막에 있는 한국대중문화환경은 아직도 잘못된 방송미디어컨텐츠를 더 많이 수용하는 실정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중들은 더 이상 폭력적인 매스미디어에 의해서만 문화적 권리를 수용하거나, 재생산하지 않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분명히 다양하고 자생적인 대안문화환경이 매스미디어와 관계에서
21세기 서막에 있는 한국대중문화환경은 아직도 잘못된 방송미디어컨텐츠를 더 많이 수용하는 실정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중들은 더 이상 폭력적인 매스미디어에 의해서만 문화적 권리를 수용하거나, 재생산하지 않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분명히 다양하고 자생적인 대안문화환경이 매스미디어와 관계에서
키워드
추천자료
대중문화의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
대중문화와 스타, 한국의 스타시스템-스타, 대중문화의 중핵-
[인문과학] 대중문화론
대중문화와 코미디의변화
대중문화의 이해
대중문화를 주도하는 드라마의 실체
대중문화란 무엇인가?
대중문화와 정보사회
[사회과학] 일본문화개방(일본대중문화개방)의 추진배경, 일본문화개방(일본대중문화개방)의 ...
청소년문화론 발표_청소년 대중문화
[스타][연예인][팬클럽][백댄서][연예산업][대중문화]스타(연예인)와 문화, 스타(연예인)와 ...
[문화예술][문화예술진흥법][문화예술단체]문화예술의 개념, 문화예술의 문화예술진흥법, 문...
일본문화개방(일본대중문화개방)의 추진배경, 일본문화개방(일본대중문화개방)의 긍정적 효과...
한국 대중문화 속 롤리타(Lolita) 코드와 걸그룹의 소녀 성애적 이미지를 통해 본 성차적 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