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의생활의 역사
1. 한복의 역사
2. 한복의 특색
1) 형태와 구성상의 특징
2) 미적인 특색
II. 한국 복식문화의 특징
1. 형태의 아름다움
2. 색의 아름다움
3. 문양의 아름다움
4. 전통풍습과 한복
III. 한국복식의 구조와 종류
1. 한국복식의 구조
2. 한국복식의 종류
1) 의례복
2) 일반평상복
IV. 한복의 배색
1. 한복의 기본색
2. 옷감과 배색
Ⅴ. 한일 의복 문화의 차이
1. 형태에 따른 한복과 기모노의 차이점
2. 한복(치마저고리)과 기모노의 차이점
Ⅵ. 오늘날의 의생활
1. 한복의 역사
2. 한복의 특색
1) 형태와 구성상의 특징
2) 미적인 특색
II. 한국 복식문화의 특징
1. 형태의 아름다움
2. 색의 아름다움
3. 문양의 아름다움
4. 전통풍습과 한복
III. 한국복식의 구조와 종류
1. 한국복식의 구조
2. 한국복식의 종류
1) 의례복
2) 일반평상복
IV. 한복의 배색
1. 한복의 기본색
2. 옷감과 배색
Ⅴ. 한일 의복 문화의 차이
1. 형태에 따른 한복과 기모노의 차이점
2. 한복(치마저고리)과 기모노의 차이점
Ⅵ. 오늘날의 의생활
본문내용
너뜨리고 있는 것이 있다. 미혼의 젊은 여성들이 입는 "후리소데(길고 넓게 옷소매를 늘어뜨린 기모노)"가 그것이다. 물건을 넣기도 하는 "다모토(소매)"가 길게 늘어져서 장식적인 효과를 낸다. 그러나 이것도 다만 소매의 변형일 뿐 몸을 조이기는 마찬가지다. 풍성함을 넘어서서 한복은 사이즈로 보자면 프리 사이즈이다. 키만 어중간히 맞으면 입을 수 있는 옷이 한복이다. 누구나가 명절 때나 겨우 입어 보는 자기가 갖고 있는 한복을 보아도 그런 것을 느낄 수 있다. 한복 바지는 입는 사람 말고 또 한 사람이 들어와도 충분하게 허리며 바지통이 넓다. 그러므로 그걸 언제나 접어서 허리띠로 묶어서 입어야 한다. 옷의 품 만이 이렇게 자유로운 것이 아니다. 길이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다. 발에 밟히는 바지를 올려서 대님을 매어 입는다. 이처럼 노동과 무관하게, 비활동적인 옷이 있을 수 없다. 이 옷을 입고 할 수 있는 가장 편한 자세는 가만히 앉아 있는 것이다. 그리고 담배를 피우는 정도이다. 바지저고리의 이 풍성한 여유는 역으로 활동적인 기능을 그만큼 제한하고 있다.
기모노는 몸에 옷을 붙이는 것만이 아니다. 옷의 밑 가장자리를 접어 넣어 무게를 줌으로서 옷의 선을 아래로 향하게 한다. 옷의 모든 선이 직각에 가깝게 바닥을 향하고 있다. 몸에 조여 붙이면서 어깨와 히프의 폭을 따라 직선으로 흘러내리는 기모노의 선은 그렇게 땅으로 향한다. 이 모습은 입은 사람을 보다 꼿꼿이 선 느낌이 들게 하면서 지면(地面)과 옷을 직각으로 만나게 한다. 긴장감이나 단정한 느낌은 여기서 온다. 땅을 향한 옷인 것이다. 그러나 한복은 땅과 직각으로 만나는 옷이 아니라 하늘을 향한 옷이다. 한복은 무엇보다도 흩날리는 옷이다. 한 점 흐트러짐 없이 몸에 붙여 입어야 하는 기모노는 바람이 불어도 날리는 것이 전혀 없다. 그러나 한복은 다르다. 그 풍성한 치마폭이 바람에 쏠리고 옷고름이 날린다. 여자의 옷만이 아니다. 두루마기 자락을 날리며 표표히 걸어가는 우리 선조들의 모습은 날아갈 듯싶은 갓 밑으로는 갓끈이 날린다. 상승 지향, 즉 하늘을 향한 옷인 것이다.
일본의 전통의상인 기모노의 역사에 대해 거슬러 올라가 보면, 3세기경부터라고 할 수 있다. 벌써 이 때부터 중국의 역사책에 일본의 기모노에 대해 쓰여 있다. 그 당시의 일본 사람들은 큰 천에 구멍을 뚫어 머리부터 발끝까지 쓰고 있었다. 그리고 3세기부터 7세기까지의 토룡인형(옛날 귀인의 묘 주위에 묻었던 사람이나 동물의 상) 여러 가지 투피스 형식의 옷을 입고 있는데, 이것이 당시의 일본 사람들이 입었던 옷인 "하카마"라고 한다. 그리고 8세기초엔 관리들이 입던 복장이 법률로 정해져 있었다고 한다. 그 옷의 모양이 옛날우리나라나 중국의 옷과 비슷하다고 한다. 헤이안 시대의 일본 궁정의 부인들은 아름다운 옷들을 많이 겹쳐서 입었다고 하는데, 이것을 "쥬니히토에"라고 한다. 그리고 카마쿠라 시대 경부터 속옷인 "코소데" 평상복으로 입었다고 한다. 이 "코소데"는 그 이후에는 소매가 좁은 평상복이나, 아니면 소매가 넓은 예복 안에 받쳐입게 되었다. 또, 무로마치 시대에는 정식복장으로 "코소데"를 입었다고 한다. 여기서 이게 더욱 발전한 것이 기모노이다. 이렇게 기모노는 발전되어 가면서 일본 사람들의 스타일에도 잘 어울리고, 또 일본 특유의 기후에도 맞게 바뀌었다. 그렇지만 소매와 옷자락이 길어서 평상시에 입기로는 그다지 적합하지 않다. 우리도 "한복"이라는 고유의 옷이 있지만 평상시에 생활하면서는 그다지 잘 입지는 않듯 이것과 마찬가지로 일본고유의 "기모노"도 특별한 날에만 입고, 평상시엔 양복을 입는다 .우리의 한복과 기모노... 어떻게 보면 많이 닮아 있는 것도 같다.
Ⅵ. 오늘날의 의생활
해방이후, 양복착용이 확산되면서 사실상 한국의 고유복식은 사라지게 되었다. 외국모드의 직접적인 영향 앞에 의생활이 개방되면서 양복이 우리생활의 곳곳에 파고들었다. 특히, 섬유공업이 활성화되면서 소모방과 나일론의 국산화가 이루어졌다. 나일론의 국산화는 새로운 복식문화가 전개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1960년대 들어 한복은 예복의 하나로 정착되고, 옷감의 질이 다양하고 화려해졌다. 저고리의 길이는 점점 짧아져서 옆선이 거의 없고, 깃이나 섶이 가늘어지는 현상이 나타났다.
1980년대는 경제번영과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보다 질적인 생활방식이 요구되었다. 이러한 분위기와 함께 복식에서도 전통으로의 회귀현상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기존 예복으로서의 한복이 가지고 있는 장점과 단점을 조율하는 가운데 생활한복이라는 개량한복이 등장했다. 개량한복은 활동이 편하고 손질이 쉽기 때문에 보급의 여파가 빨랐다. 특히, 올림픽이나 세계대회 이후에 한복의 세계화가 대두되면서 색상과 문양이 다양해지고, 응용패션으로의 뿌리를 내리게 되었다.
종래의 한복이 가지고 있는 고유미와 현대적 감각이 결합되어 창조된 생활한복은 전통문화가 현대 속에서 공존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했다고 할 수 있다.
참고자료
http://www.hanbok.xo.st/
http://www.kimhonggab.com/
http://www.kimyejin.com/
http://ae-young.nayana.org/
http://home.hanmir.com/~didwlsgk/
http://my.netian.com/~yeonah/
http://anjihye.woorizip.com/
http://members.tripod.lycos.co.kr/~anjihye/
http://user.chollian.net/~kjg0520/
http://members.tripod.lycos.co.kr/dahlian/
http://my.netian.com/~lastlife/
http://user.chollian.net/~zmncjw1/
http://100.daum.net/dirlist.jsp?id=04030104
http://my.netian.com/~ui981625/
http://my.netian.com/~jesesoft/
http://myhome.shinbiro.com/~hanbok/
http://home.nownuri.net/~eodrl/
기모노는 몸에 옷을 붙이는 것만이 아니다. 옷의 밑 가장자리를 접어 넣어 무게를 줌으로서 옷의 선을 아래로 향하게 한다. 옷의 모든 선이 직각에 가깝게 바닥을 향하고 있다. 몸에 조여 붙이면서 어깨와 히프의 폭을 따라 직선으로 흘러내리는 기모노의 선은 그렇게 땅으로 향한다. 이 모습은 입은 사람을 보다 꼿꼿이 선 느낌이 들게 하면서 지면(地面)과 옷을 직각으로 만나게 한다. 긴장감이나 단정한 느낌은 여기서 온다. 땅을 향한 옷인 것이다. 그러나 한복은 땅과 직각으로 만나는 옷이 아니라 하늘을 향한 옷이다. 한복은 무엇보다도 흩날리는 옷이다. 한 점 흐트러짐 없이 몸에 붙여 입어야 하는 기모노는 바람이 불어도 날리는 것이 전혀 없다. 그러나 한복은 다르다. 그 풍성한 치마폭이 바람에 쏠리고 옷고름이 날린다. 여자의 옷만이 아니다. 두루마기 자락을 날리며 표표히 걸어가는 우리 선조들의 모습은 날아갈 듯싶은 갓 밑으로는 갓끈이 날린다. 상승 지향, 즉 하늘을 향한 옷인 것이다.
일본의 전통의상인 기모노의 역사에 대해 거슬러 올라가 보면, 3세기경부터라고 할 수 있다. 벌써 이 때부터 중국의 역사책에 일본의 기모노에 대해 쓰여 있다. 그 당시의 일본 사람들은 큰 천에 구멍을 뚫어 머리부터 발끝까지 쓰고 있었다. 그리고 3세기부터 7세기까지의 토룡인형(옛날 귀인의 묘 주위에 묻었던 사람이나 동물의 상) 여러 가지 투피스 형식의 옷을 입고 있는데, 이것이 당시의 일본 사람들이 입었던 옷인 "하카마"라고 한다. 그리고 8세기초엔 관리들이 입던 복장이 법률로 정해져 있었다고 한다. 그 옷의 모양이 옛날우리나라나 중국의 옷과 비슷하다고 한다. 헤이안 시대의 일본 궁정의 부인들은 아름다운 옷들을 많이 겹쳐서 입었다고 하는데, 이것을 "쥬니히토에"라고 한다. 그리고 카마쿠라 시대 경부터 속옷인 "코소데" 평상복으로 입었다고 한다. 이 "코소데"는 그 이후에는 소매가 좁은 평상복이나, 아니면 소매가 넓은 예복 안에 받쳐입게 되었다. 또, 무로마치 시대에는 정식복장으로 "코소데"를 입었다고 한다. 여기서 이게 더욱 발전한 것이 기모노이다. 이렇게 기모노는 발전되어 가면서 일본 사람들의 스타일에도 잘 어울리고, 또 일본 특유의 기후에도 맞게 바뀌었다. 그렇지만 소매와 옷자락이 길어서 평상시에 입기로는 그다지 적합하지 않다. 우리도 "한복"이라는 고유의 옷이 있지만 평상시에 생활하면서는 그다지 잘 입지는 않듯 이것과 마찬가지로 일본고유의 "기모노"도 특별한 날에만 입고, 평상시엔 양복을 입는다 .우리의 한복과 기모노... 어떻게 보면 많이 닮아 있는 것도 같다.
Ⅵ. 오늘날의 의생활
해방이후, 양복착용이 확산되면서 사실상 한국의 고유복식은 사라지게 되었다. 외국모드의 직접적인 영향 앞에 의생활이 개방되면서 양복이 우리생활의 곳곳에 파고들었다. 특히, 섬유공업이 활성화되면서 소모방과 나일론의 국산화가 이루어졌다. 나일론의 국산화는 새로운 복식문화가 전개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1960년대 들어 한복은 예복의 하나로 정착되고, 옷감의 질이 다양하고 화려해졌다. 저고리의 길이는 점점 짧아져서 옆선이 거의 없고, 깃이나 섶이 가늘어지는 현상이 나타났다.
1980년대는 경제번영과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보다 질적인 생활방식이 요구되었다. 이러한 분위기와 함께 복식에서도 전통으로의 회귀현상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기존 예복으로서의 한복이 가지고 있는 장점과 단점을 조율하는 가운데 생활한복이라는 개량한복이 등장했다. 개량한복은 활동이 편하고 손질이 쉽기 때문에 보급의 여파가 빨랐다. 특히, 올림픽이나 세계대회 이후에 한복의 세계화가 대두되면서 색상과 문양이 다양해지고, 응용패션으로의 뿌리를 내리게 되었다.
종래의 한복이 가지고 있는 고유미와 현대적 감각이 결합되어 창조된 생활한복은 전통문화가 현대 속에서 공존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했다고 할 수 있다.
참고자료
http://www.hanbok.xo.st/
http://www.kimhonggab.com/
http://www.kimyejin.com/
http://ae-young.nayana.org/
http://home.hanmir.com/~didwlsgk/
http://my.netian.com/~yeonah/
http://anjihye.woorizip.com/
http://members.tripod.lycos.co.kr/~anjihye/
http://user.chollian.net/~kjg0520/
http://members.tripod.lycos.co.kr/dahlian/
http://my.netian.com/~lastlife/
http://user.chollian.net/~zmncjw1/
http://100.daum.net/dirlist.jsp?id=04030104
http://my.netian.com/~ui981625/
http://my.netian.com/~jesesoft/
http://myhome.shinbiro.com/~hanbok/
http://home.nownuri.net/~eodr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