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1) 중-저가 화장품의 실태와 현황
2. 본론
1) 중-저가 화장품 마케팅의 성공(1) MISSHA, THEFACESHOP, SKINFOOD, BEAUTY CREDIT 각각 회사소개
(2) MISSHA, THEFACESHOP, SKINFOOD, BEAUTY CREDIT 성공한 전략비교
> SWOT분석, 4P's Mix
- 미샤
- 더 페이스샵
- 스킨푸드
- 뷰티크레딧
2) 중-저가 화장품 한계 및 해결방안(1) MISSHA, THEFACESHOP, SKINFOOD, BEAUTY CREDIT 등의 한계점과 그에 따른 해결방안
- 방부제 사용- 천연방부제 L.H.C의 제조방법
- 브랜드 샵의 포화상태
- 브랜드 샵의 새로운 마케팅
- 차별화
3) MISSHA, THEFACESHOP, SKINFOOD, BEAUTY CREDIT 의
성공한 마케팅과 실패한 전략의 해결방안을 비교 및 분석
- SWOT 분석을 통한 SO전략, ST전략, WO전략, WT전략 수립
3. 결론
향후 전략
(1) 연령층의 확대
- 화장품 + 약국 (중-장년층 화장품 시장)
- 크로스섹슈얼 (젊은 남성 화장품 시장)
- 베이비화장품 시장(2) 헬스, 뷰티(Health, Beauty) - 드럭스토어
1) 중-저가 화장품의 실태와 현황
2. 본론
1) 중-저가 화장품 마케팅의 성공(1) MISSHA, THEFACESHOP, SKINFOOD, BEAUTY CREDIT 각각 회사소개
(2) MISSHA, THEFACESHOP, SKINFOOD, BEAUTY CREDIT 성공한 전략비교
> SWOT분석, 4P's Mix
- 미샤
- 더 페이스샵
- 스킨푸드
- 뷰티크레딧
2) 중-저가 화장품 한계 및 해결방안(1) MISSHA, THEFACESHOP, SKINFOOD, BEAUTY CREDIT 등의 한계점과 그에 따른 해결방안
- 방부제 사용- 천연방부제 L.H.C의 제조방법
- 브랜드 샵의 포화상태
- 브랜드 샵의 새로운 마케팅
- 차별화
3) MISSHA, THEFACESHOP, SKINFOOD, BEAUTY CREDIT 의
성공한 마케팅과 실패한 전략의 해결방안을 비교 및 분석
- SWOT 분석을 통한 SO전략, ST전략, WO전략, WT전략 수립
3. 결론
향후 전략
(1) 연령층의 확대
- 화장품 + 약국 (중-장년층 화장품 시장)
- 크로스섹슈얼 (젊은 남성 화장품 시장)
- 베이비화장품 시장(2) 헬스, 뷰티(Health, Beauty) - 드럭스토어
본문내용
다움을 상징하는 꽃잎을 도형화하 였다. 순수의 칼라인 화이트 배경에 도전과 정열의 레드플라워, 그리고 블랙의 칼라의 로고 를 사용함으로써 보기에 편하고 안정된 디자인이다.
미샤 만의 디자인 된 글꼴을 이용한 독특한 로고를 형상화하고 있다.
3) 미샤 제품 소개
스킨 케어, 아로마 비누, 바디 케어, 마스크 팩, 알로에 마스크팩, 메이크업 파우더, 핸드크 림 등등이 있다.
( NAVER (www.naver.com) -> 뷰티넷, http://www.beautynet.co.kr
http://www.beautynet.co.kr/beautynet/bmall/missha/missha_brand.php?topmenu=1&submenu=11)
4) 미샤의 SWOT분석
4-1) 강점 (Strength)
- 다양한 제품군을 합리적인 가격으로 제공하고 있다. 미샤는 프로슈머를 바탕으로 직접들 은 소비자의견을 이용하여 하루평균 40~50개의 신제품 아이디어를 얻고 기초 화장품부터 기능성화장품은 물론 최근 웰빙 열풍을 반영하여 자연주의 화장품, 웰빙 화장품 등 다양 한 제품을 선보이고 있다.
- 단독 브랜드 샵을 가짐으로써 다른 브랜드를 견제하기에 용이하다. 만약 전문점을 이용한 다면 전문점을 이용하는 고객 수는 한정되어 있고 저가브랜드가 많아진다면 미샤의 입지 는 좁아지고 중간상의 원가절감 압력에 놓이기 쉽다. 그러나 미샤는 단독 브랜드 샵이므 로 미샤 매장을 찾는 고객은 미샤만을 구매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다른 브랜드와 공간적 으로 격리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브랜드를 견제하기에 용이하다.
- 프로슈머에서도 언급했듯이 미샤와 다른 저가브랜드와의 가장 큰 차이점은 충성도 높은 온라인 고객의 확보이다. 150만이 넘는 뷰티넷의 회원이 말해주듯이 미샤는 온라인 조직 을 이용하여 제품개발의 시간과 비용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온라인 판매망, 모니 터요원을 통한 마케팅 효과 등을 누리고 있다.
4-2) 약점(weakness)
- 상대적 저가시장인 브랜드 샵의 개척자이기 때문에 시장의 위험상황을 먼저 겪어야 한다 는 점은 후발주자에 비해 불리한 요소이다. 서영필 대표가 예를 들었듯이, 가격을 올리거 나 광고비용을 많이 지출하기만 해도 많은 비난을 얻는다. 즉, 시장 개척자로서 수많은 시 행착오라는 비용을 치러야 한다. 이에 비해 후발주자들은 미샤의 시행착오를 토대로 발생 할 수 있는 실수를 미리 피하고 이를 극복하여 차별화를 이룰 수 있기 때문에 시장의 개 척자라는 점은 미샤의 장점인 동시에 약점이다.
4-3) 기회요인(opportunity)
- 고객 : 경기침체로 인한 내수부진으로 낮은 가격 좋은 품질을 추구하는 합리적인 소비문 화가 널리 퍼져 있다. 이는 미샤가 추구하는 바와 정확히 맞아 떨어지기 때문에 미샤에 게 유리한 Opportunity이다.
- 경쟁 : 미샤가 진출하기 전까지만 해도 여러 화장품 브랜드가 차별성을 갖지 못한 채 난 립한 상황이었다. 그러나 미샤는 낮은 가격, 단일브랜드 매장 등으로 다른 화장품브랜드 와 차별화된 특징을 갖고 있으므로 소비자의 관심을 쉽게 끌 수 있다.
4-4) 위협요인(threat)
- 고객 : 미샤라는 브랜드가 생긴지 얼마 안됐고, 온라인을 위주로 소비자와 접촉하기 때 문에 오프라인 상에서 상대적으로 브랜드네임이 소비자에게 생소하다. 또한 저가브랜드 라는 생각에 품질도 낮을 것이라는 선입견을 갖기가 쉽다.
- 경쟁 : 미투 브랜드로 비즈니스 모델 모방이 용이하다. 미샤의 시장진입전략은 훌륭하지 만 전략자체는 법적으로 보호되지 않기 때문에 미샤의 행보를 주의 깊게 관찰하고 장점 만을 모방한 미투 브랜드가 나오기 쉽다. 대표적인 미투 브랜드는 더 페이스샵을 들 수 있다. 저가화장품의 이점은 그대로 살리면서 자연주의라는 웰빙 컨셉으로 차별화를 하여 미샤보다 더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특히, 기존 메이저화장품업체도 미샤의 고속성 장을 눈여겨보고 저가브랜드진출을 노리고 있다. 메이저화장품업체가 가격은 낮추고 막 대한 자본력을 바탕으로 브랜드파워를 강력하게 할 때에는 미샤에게 큰 위협이 될 수 있 다.
<표.5 미샤의 SWOT 분석>
강점(S)
약점(W)
-표준가격을 온라인 설문을 통해 소비자의 의 견대로 결정
-인터넷을 통한 소비자의 영향력 극대화
(설문 조사를 통해 가장 좋지 않은 평가를
받는 제품을 생산 중단)
-휴대전화 문자메시지·이메일 등을 이용한
온·오프라인 통합마케팅 관리를 내세운다.
(온라인으로 시작해 오프라인 매장으로 퍼진 특이한 사례로 온-오프 통합마케팅의 시너지 효과가 성장의 원동력)
-저가 화장품 시장에서 색조 화장품을 냈다.
-매장이 많고 이벤트가 다양함
-회원들을 모니터 요원으로 적극 활용해
시제품에 대한 고객들의 반응을 여과 없이
들을 수 있었다
(다양한 데이터 수집, 사이트 이용도 증가 효과)
-국내 화장품 중 가장 원료비가 싼 브랜드
-처음으로 대량시장을 겨냥해 고객이 원하는 가치에 집중하여 비 고객 집단까지 흡수함.
-타 경쟁 기업에서 전혀 생각지 못한 10대를 겨냥한 제품을 비밀리에 출시하여 10대 시장 겨냥 대성공(예:난코메도제닉 라인)
-질 좋고 값비싼 해외화장품을 찾는
부유층이 있지만 너무 싸구려 제품에
치중한 나머지 가격의 균형을 맞추지
못함.
-저가제품 개발로 인한 한계를 극복하지 못함
(스킨케어 종류등 기초화장품이 독해서 피부 트러블 많이 일어난다.)
-사용 후기 등 온라인상 거짓정보가
많다.
-초저가 시장이미지로 제품개념을 확장 하기 어렵다.
-색조화장품 색상의 독창성 부족
기회(O)
위협(T)
-소비자의 의식성장으로 소비자의 권리를
많이 반영 해주는 기업이 성공사례의
모범이 됨
(미샤의 가격정책이나 제품별로 소비자들의 선택을 존중하는 정책은 소비자의 권리를
가장 많이 반영하는 화장품회사로 이미지를 굳힐 가능성이 큼)
-83년부터 수입자유화가 이루어져
선진화된 수입화장품에게 점유율 뺏김.
-화장품시장에 대한 정부의 지원이 미흡
-많은 기업들의 화장품 산업 진출
러쉬로 인해 급격화 된 시장세분화로
점유율상의 타격 감수
-기능성 화장품을 찾는 사회분위기
(더페이스
미샤 만의 디자인 된 글꼴을 이용한 독특한 로고를 형상화하고 있다.
3) 미샤 제품 소개
스킨 케어, 아로마 비누, 바디 케어, 마스크 팩, 알로에 마스크팩, 메이크업 파우더, 핸드크 림 등등이 있다.
( NAVER (www.naver.com) -> 뷰티넷, http://www.beautynet.co.kr
http://www.beautynet.co.kr/beautynet/bmall/missha/missha_brand.php?topmenu=1&submenu=11)
4) 미샤의 SWOT분석
4-1) 강점 (Strength)
- 다양한 제품군을 합리적인 가격으로 제공하고 있다. 미샤는 프로슈머를 바탕으로 직접들 은 소비자의견을 이용하여 하루평균 40~50개의 신제품 아이디어를 얻고 기초 화장품부터 기능성화장품은 물론 최근 웰빙 열풍을 반영하여 자연주의 화장품, 웰빙 화장품 등 다양 한 제품을 선보이고 있다.
- 단독 브랜드 샵을 가짐으로써 다른 브랜드를 견제하기에 용이하다. 만약 전문점을 이용한 다면 전문점을 이용하는 고객 수는 한정되어 있고 저가브랜드가 많아진다면 미샤의 입지 는 좁아지고 중간상의 원가절감 압력에 놓이기 쉽다. 그러나 미샤는 단독 브랜드 샵이므 로 미샤 매장을 찾는 고객은 미샤만을 구매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다른 브랜드와 공간적 으로 격리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브랜드를 견제하기에 용이하다.
- 프로슈머에서도 언급했듯이 미샤와 다른 저가브랜드와의 가장 큰 차이점은 충성도 높은 온라인 고객의 확보이다. 150만이 넘는 뷰티넷의 회원이 말해주듯이 미샤는 온라인 조직 을 이용하여 제품개발의 시간과 비용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온라인 판매망, 모니 터요원을 통한 마케팅 효과 등을 누리고 있다.
4-2) 약점(weakness)
- 상대적 저가시장인 브랜드 샵의 개척자이기 때문에 시장의 위험상황을 먼저 겪어야 한다 는 점은 후발주자에 비해 불리한 요소이다. 서영필 대표가 예를 들었듯이, 가격을 올리거 나 광고비용을 많이 지출하기만 해도 많은 비난을 얻는다. 즉, 시장 개척자로서 수많은 시 행착오라는 비용을 치러야 한다. 이에 비해 후발주자들은 미샤의 시행착오를 토대로 발생 할 수 있는 실수를 미리 피하고 이를 극복하여 차별화를 이룰 수 있기 때문에 시장의 개 척자라는 점은 미샤의 장점인 동시에 약점이다.
4-3) 기회요인(opportunity)
- 고객 : 경기침체로 인한 내수부진으로 낮은 가격 좋은 품질을 추구하는 합리적인 소비문 화가 널리 퍼져 있다. 이는 미샤가 추구하는 바와 정확히 맞아 떨어지기 때문에 미샤에 게 유리한 Opportunity이다.
- 경쟁 : 미샤가 진출하기 전까지만 해도 여러 화장품 브랜드가 차별성을 갖지 못한 채 난 립한 상황이었다. 그러나 미샤는 낮은 가격, 단일브랜드 매장 등으로 다른 화장품브랜드 와 차별화된 특징을 갖고 있으므로 소비자의 관심을 쉽게 끌 수 있다.
4-4) 위협요인(threat)
- 고객 : 미샤라는 브랜드가 생긴지 얼마 안됐고, 온라인을 위주로 소비자와 접촉하기 때 문에 오프라인 상에서 상대적으로 브랜드네임이 소비자에게 생소하다. 또한 저가브랜드 라는 생각에 품질도 낮을 것이라는 선입견을 갖기가 쉽다.
- 경쟁 : 미투 브랜드로 비즈니스 모델 모방이 용이하다. 미샤의 시장진입전략은 훌륭하지 만 전략자체는 법적으로 보호되지 않기 때문에 미샤의 행보를 주의 깊게 관찰하고 장점 만을 모방한 미투 브랜드가 나오기 쉽다. 대표적인 미투 브랜드는 더 페이스샵을 들 수 있다. 저가화장품의 이점은 그대로 살리면서 자연주의라는 웰빙 컨셉으로 차별화를 하여 미샤보다 더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특히, 기존 메이저화장품업체도 미샤의 고속성 장을 눈여겨보고 저가브랜드진출을 노리고 있다. 메이저화장품업체가 가격은 낮추고 막 대한 자본력을 바탕으로 브랜드파워를 강력하게 할 때에는 미샤에게 큰 위협이 될 수 있 다.
<표.5 미샤의 SWOT 분석>
강점(S)
약점(W)
-표준가격을 온라인 설문을 통해 소비자의 의 견대로 결정
-인터넷을 통한 소비자의 영향력 극대화
(설문 조사를 통해 가장 좋지 않은 평가를
받는 제품을 생산 중단)
-휴대전화 문자메시지·이메일 등을 이용한
온·오프라인 통합마케팅 관리를 내세운다.
(온라인으로 시작해 오프라인 매장으로 퍼진 특이한 사례로 온-오프 통합마케팅의 시너지 효과가 성장의 원동력)
-저가 화장품 시장에서 색조 화장품을 냈다.
-매장이 많고 이벤트가 다양함
-회원들을 모니터 요원으로 적극 활용해
시제품에 대한 고객들의 반응을 여과 없이
들을 수 있었다
(다양한 데이터 수집, 사이트 이용도 증가 효과)
-국내 화장품 중 가장 원료비가 싼 브랜드
-처음으로 대량시장을 겨냥해 고객이 원하는 가치에 집중하여 비 고객 집단까지 흡수함.
-타 경쟁 기업에서 전혀 생각지 못한 10대를 겨냥한 제품을 비밀리에 출시하여 10대 시장 겨냥 대성공(예:난코메도제닉 라인)
-질 좋고 값비싼 해외화장품을 찾는
부유층이 있지만 너무 싸구려 제품에
치중한 나머지 가격의 균형을 맞추지
못함.
-저가제품 개발로 인한 한계를 극복하지 못함
(스킨케어 종류등 기초화장품이 독해서 피부 트러블 많이 일어난다.)
-사용 후기 등 온라인상 거짓정보가
많다.
-초저가 시장이미지로 제품개념을 확장 하기 어렵다.
-색조화장품 색상의 독창성 부족
기회(O)
위협(T)
-소비자의 의식성장으로 소비자의 권리를
많이 반영 해주는 기업이 성공사례의
모범이 됨
(미샤의 가격정책이나 제품별로 소비자들의 선택을 존중하는 정책은 소비자의 권리를
가장 많이 반영하는 화장품회사로 이미지를 굳힐 가능성이 큼)
-83년부터 수입자유화가 이루어져
선진화된 수입화장품에게 점유율 뺏김.
-화장품시장에 대한 정부의 지원이 미흡
-많은 기업들의 화장품 산업 진출
러쉬로 인해 급격화 된 시장세분화로
점유율상의 타격 감수
-기능성 화장품을 찾는 사회분위기
(더페이스
추천자료
중소인터넷기업 성공사례-여인닷컴
미샤의 성공전략과 설문지 작성(강추-제대로된 리포트:교수님께 극찬)
미샤와 더페이스샵 비교분석
라네즈 아시아진출 전략에 관한연구
[인적자원관리] 이랜드 홈에버 조직구조 사례분석
[인터넷 마케팅]초저가 브랜드 “미샤(MISSHA)” 의 인터넷 마케팅 전략 및 성공사례 분석
[마케팅관리]화장품브랜드 'DHC KOREA' IMC전략 및 성공요인 분석
미샤(Missha) - 미샤의 중국시장 분석
스와치 그룹의 마케팅, 성공사례, 마케팅전략, 성공전략, 경영전략분석, 고가와 저가정책 마...
사회복지의 대상이 되는 사회문제 중 하나를 택일하여, 현재 이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우리나...
월마트 조사
의사결정에 관한 여러 가지 모형 중 합리적 모형과 점증적 모형의 개념 및 장단점을 논의하...
[조직행태론3공통]의사결정에관한 여러가지 모형중 합리적모형과 점증적모형의 개념 및 장·단...
[조직행태론 3공통] 의사결정에 관한 여러 가지 모형 중 합리적 모형과 점증적 모형의 개념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