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며
Ⅱ. 훈민정음 창제의 목적
Ⅲ. 훈민정음의 원리
Ⅳ. 한글 맞춤법
Ⅴ. 한글 음성문자체계의 원리와 응용
Ⅵ. 한글 창제의 역사적 의의
Ⅶ. 결론
Ⅱ. 훈민정음 창제의 목적
Ⅲ. 훈민정음의 원리
Ⅳ. 한글 맞춤법
Ⅴ. 한글 음성문자체계의 원리와 응용
Ⅵ. 한글 창제의 역사적 의의
Ⅶ. 결론
본문내용
백성의 성장과 그들이 주권을 가지게 되는 과정과 맞물려 간다는 것은 한글의 역사적 기능중 뛰어난 기능이라고 생각되어진다.
한글은 항상 지배층의 아량으로 만들어진 역사의 위대한 소산물이라 생각했으나 이런 나의 생각이 무지한 면이 많았음을 알게되었다. 한글은 세종대왕의 아량이라기보다는 백성의 의식성장이 얻어낸 커다란 소산물 중 하나라는 것이 내가 첫 째로 느낀바이다. 그리고 한글이 그러하듯이 무언가를 얻기 위해서는 스스로 변화하고 개혁해야 한다는 것이 두 번째로 느낀바이다. 또한 역사를 보는 시각이 언제나 배운 대로 고정적이어선 안된다. 다양한 시각에서 우리의 역사를 바라보고 인식해야한다.
Ⅶ. 결론
한글은 전 세계에서 사용되고 있는 몇 안되는 문자 중에 하나인 우리 고유의 문자이다.
세계 200여개의 나라들 중에 자신의 문자와 언어를 가지고 있는 나라는 별로 없다. 아무리 큰 대국일 지라도 자신의 고유 문자를 소유한 국가는 그리 많지는 않다. 그러나, 한글은 오직 한민족 만이 사용하는 문자이며 우리의 소중한 문화 유산인 동시에 세계적 문화 유산인 것이다.
우리 민족도 처음부터 문자를 소유한 민족은 아니었지만, 15C경 한글이 창제 되면서 우리 민족도 세계적인 문자를 소유한 민족이 된 것이다.
세종 대왕이 한글을 창제한 후 우리의 한글은 많은 모습에서 변화를 가져왔다. 그러나, 문자가 창제된지 500여년이라는 시간이 흘렀지만, 창제 당시의 그 기본 골격은 변하지 않은채 지금까지 이어져 내려오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조선 시대 성리학자들에 의해서 우리 민족 고유의 문자인 한글은 배척되어 왔다. 단지, 일부 서민이나 부녀자들의 문자로만 통용되었기 때문에 지금까지 한글이 명맥을 유지하게 되었다.
조선의 성리학자들은 오직 중국의 한자만을 우수한 것으로 생각했기 때문에 우리의 문자인 한글은 등한시 되어 왔다. 그리고 그들의 사상이 계속 이어지면서 한글을 사용하여도 한자에 토시를 다는 정도에 그치고 있었다. 그로 인해서 우리 고유의 단어들은 점점 소멸되고 한자어를 차용한 단어들이 생겨나게 되었다. 실제로 우리 생활에서 쓰이고 있는 거의 대부분의 단어들이 한자로 표기 가능한 단어이다.
물론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게 된 배경에는 일제 강점기를 거치면서 우리 고유의 단어들이 소멸된 이유도 있겠지만, 무엇보다도 한글을 사용하는 우리 국민의 의식이 잘못되어 있었기 때문이었다.
왠지 중국의 문자인 한자를 사용한 단어를 이용하면 좀 더 유식하고 잘난것 처럼 보인다는 우리의 잘못된 인식들 때문에 한글은 단지 표기상으로만 쓸 수 있는 문자로 전략해 버리게 된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회적으로 국한문 혼용과 한글 전용의 주장이 대두되게 되었다.
만약 한글 전용을 하게 된다면, 순수 한글을 사용함으로서 우리 문화의 우수성을 세계에 알리고 한민족의 민족성을 이어 나갈수 있다는 있을 것이다. 또한 외국어를 순수 한국어로서의 전환이 우리가 쓰는 언어의 어휘를 증가시켜 문화적 발전을 도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현 시점에서 볼 때, 우리 문화속에 외래 문화가 다방면으로 잠식되어 있는 것이 현실이고, 국제화 시대에 우리의 문화만을 고집한다는 것은 현실성이 없으며, 그것만을 고집할 수 도 없는 것이다. 물론 우리가 이러한 상황 속에 처해 있기 때문에 우리의 문자 만이라도 한글 전용을 통해서 우리의 주체성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은 옳은 주장이다. 하지만, 중국의 문화적 영향을 많이 받은 우리 나라는 거의 모든 어휘가 한자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에 한자를 사용하지 않으면 그 의미를 이해하지 못할 때가 많다. 그렇다고 해서 볼써 사어가 되어버린 단어들을 다시 되살려 사용하는 것도 어렵기 때문이다.
한글은 항상 지배층의 아량으로 만들어진 역사의 위대한 소산물이라 생각했으나 이런 나의 생각이 무지한 면이 많았음을 알게되었다. 한글은 세종대왕의 아량이라기보다는 백성의 의식성장이 얻어낸 커다란 소산물 중 하나라는 것이 내가 첫 째로 느낀바이다. 그리고 한글이 그러하듯이 무언가를 얻기 위해서는 스스로 변화하고 개혁해야 한다는 것이 두 번째로 느낀바이다. 또한 역사를 보는 시각이 언제나 배운 대로 고정적이어선 안된다. 다양한 시각에서 우리의 역사를 바라보고 인식해야한다.
Ⅶ. 결론
한글은 전 세계에서 사용되고 있는 몇 안되는 문자 중에 하나인 우리 고유의 문자이다.
세계 200여개의 나라들 중에 자신의 문자와 언어를 가지고 있는 나라는 별로 없다. 아무리 큰 대국일 지라도 자신의 고유 문자를 소유한 국가는 그리 많지는 않다. 그러나, 한글은 오직 한민족 만이 사용하는 문자이며 우리의 소중한 문화 유산인 동시에 세계적 문화 유산인 것이다.
우리 민족도 처음부터 문자를 소유한 민족은 아니었지만, 15C경 한글이 창제 되면서 우리 민족도 세계적인 문자를 소유한 민족이 된 것이다.
세종 대왕이 한글을 창제한 후 우리의 한글은 많은 모습에서 변화를 가져왔다. 그러나, 문자가 창제된지 500여년이라는 시간이 흘렀지만, 창제 당시의 그 기본 골격은 변하지 않은채 지금까지 이어져 내려오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조선 시대 성리학자들에 의해서 우리 민족 고유의 문자인 한글은 배척되어 왔다. 단지, 일부 서민이나 부녀자들의 문자로만 통용되었기 때문에 지금까지 한글이 명맥을 유지하게 되었다.
조선의 성리학자들은 오직 중국의 한자만을 우수한 것으로 생각했기 때문에 우리의 문자인 한글은 등한시 되어 왔다. 그리고 그들의 사상이 계속 이어지면서 한글을 사용하여도 한자에 토시를 다는 정도에 그치고 있었다. 그로 인해서 우리 고유의 단어들은 점점 소멸되고 한자어를 차용한 단어들이 생겨나게 되었다. 실제로 우리 생활에서 쓰이고 있는 거의 대부분의 단어들이 한자로 표기 가능한 단어이다.
물론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게 된 배경에는 일제 강점기를 거치면서 우리 고유의 단어들이 소멸된 이유도 있겠지만, 무엇보다도 한글을 사용하는 우리 국민의 의식이 잘못되어 있었기 때문이었다.
왠지 중국의 문자인 한자를 사용한 단어를 이용하면 좀 더 유식하고 잘난것 처럼 보인다는 우리의 잘못된 인식들 때문에 한글은 단지 표기상으로만 쓸 수 있는 문자로 전략해 버리게 된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회적으로 국한문 혼용과 한글 전용의 주장이 대두되게 되었다.
만약 한글 전용을 하게 된다면, 순수 한글을 사용함으로서 우리 문화의 우수성을 세계에 알리고 한민족의 민족성을 이어 나갈수 있다는 있을 것이다. 또한 외국어를 순수 한국어로서의 전환이 우리가 쓰는 언어의 어휘를 증가시켜 문화적 발전을 도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현 시점에서 볼 때, 우리 문화속에 외래 문화가 다방면으로 잠식되어 있는 것이 현실이고, 국제화 시대에 우리의 문화만을 고집한다는 것은 현실성이 없으며, 그것만을 고집할 수 도 없는 것이다. 물론 우리가 이러한 상황 속에 처해 있기 때문에 우리의 문자 만이라도 한글 전용을 통해서 우리의 주체성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은 옳은 주장이다. 하지만, 중국의 문화적 영향을 많이 받은 우리 나라는 거의 모든 어휘가 한자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에 한자를 사용하지 않으면 그 의미를 이해하지 못할 때가 많다. 그렇다고 해서 볼써 사어가 되어버린 단어들을 다시 되살려 사용하는 것도 어렵기 때문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