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탈된 폐, 흉곽 움직임 소실
55. 저산소증 조기증상
: 경미한 혼돈, 두통, 안절부절, 고혈압, 과대환기
-하지 저산소증: 간헐적 파행증, 협심증, 심근이 저산소혈증에 빠질때까지 발생
-쇠약한 노인의 저산소증: 혈압감소, 심박동 감소
56.
전폐용량(Total volume) : 최대 흡기말 폐에 들어있는 공기량
57. 인후통 환자 간호
-목의 부종을 막고 통증 완화
→얼음 목도리, 따뜻한 증기 흡인, 더운물 마시게 한다., 아스피 린 용액 함수
-부드럽고 따뜻한 유동식 주기
58. 기관지경 검사전 주의사항
-후두 협착음, 호흡곤란, 가쁜숨→곧 의사에게 알릴 것
-기관지 제거술을 위한 기구들, 응급처치 기구 준비
-국소마취제 독성 부작용 관찰
-후두경련이나 부종이 생기기 쉽고 호흡부전이 오기 쉽다.
59. 기관지경 검사후 간호
-구개 반사가 돌아올때까지 금식
-반듯이 눕거나 반좌위
-기관지경이 자극하여 객담양이 많아질 수 있다고 설명하고 침 을 삼키지 말고 옆으로 누워 점액을 농반에 뱉어내도록 하기
-시행후 며칠동안 인후통과 목쉰소리를 낼 수 있는데 이때 따뜻 한 식염수로 양치질을 하고 얼음주머니를 목 주위에 대준다.
-생검시 객담에서 피가나오는지 관찰하여 다량 나오면 즉시 알 릴 것
-흡연 금지
-얼굴과 목에 피하기종이 있는지 관찰→기관지 천공시 생김
-검사후 출혈 유무 확인을 위해 객담 관찰
61. Perfusion lung scane
: 방사선 동위원소를 주입, 폐관리 평가 검사
-서있는 자세→물질이 폐바닥에 깔리게 됨
-폐조사는 4면에서 찍음
-희게 나타남→순환 결함 부위
62. 개담 세포검사
: 고여있던 객담에 병원균이 많이 축적되어 있으므로 이른아침에 객담 받기
63. 객담 분비 간호
-안정 취하고 연무요법을 사용하거나 시원한 증기요법을 사용해 기도자극 완화
-흉부에 더운 물수건을 놓아주어 통증을 완화하고 더운물을 먹여 충혈을 감소시킨다.
-Potassium iodide 같은 거담제를 투여
-수분 섭취를 하루에 3000-4000ml정도 권장하여 객담을 묽게 되어 잘 배출되도록 한다.
65. 기관지 조영술 전 준비사항
-검사일 전날과 아침에 철저한 구강간호 실시
-검사일 아침에 체위배액
-의치 제거
-검사전 6-8시간동안 NPO
-분비물 감소를 위해 검사전 atropine 투여
-대상자의 입안에 염증시 주치의에게 알린다.
-검사 승낙서 받기
-긴장 감소를 위해 항불안제 투여
-cocaine, lidocaine, tetracaine(국소 마취약) 투여
→구토나 기침 방지, 유독성 부작용도 있음
67. 기관지 조영술 후 간호
-조영제의 배출을 신속히 돕는다: 체위배액시켜 제거, 남아있는 조영제는 12-24시간안에 체내에서 흡수, 수개월동안 기관지내 남아 있음
*조영제가 남아 있다면 혈액의 산화과정 장애
-국소마취약의 부작용 유무, 후두경련, 유무 관찰
68. 기도폐쇄
-늑골간이 위축되거나 부풀어 오름
-흉곽운동 저하
69. 호흡음
-기관지음: 크고 거칠며, 관을 울리는 소리, 기관과 큰기도에서 들림, 흡기<호기
-기관지성 수포음: 체액축적, 기도점막 부종, 평활근 경련시 기도 개방 장애, 호기시 발생, 낮은음. 분비물이 깨끗해지면 없어짐
71. 나음
: 공기가 물속으로 들어가는 소리
흡기시 청진, 울혈성 심부전, 폐수종, 폐렴 의미
73.
-늑막마찰음: 크고 삐걱거리는 가죽같은 소리, 염증으로 두층의 막이 서로 마찰
74. 기관지 확장증
: 기관지벽의 화농성 감염, 기관지가 만성 확장, 탄력성 감소, 근 육 구조 파괴, 젊은이에게 발생, 객담검사에서 여러 세균 혼합
75. 호흡
-흉식 호흡: 늑간근이나 그외 흉곽근육에 의한 호흡
-복식호흡: 홉근과 횡경막에 의해 이루어지는 호흡
-안정호흡: 정상호흡, 쉽고 조용하게 쉬는 호흡
-기좌호흡: 앉아야 호흡 용이
-단속성 호흡: 흡기음과 호기음이 정상음보다 명확하게 2개 이상 소리로 나뉘어지는 호흡
76.
-구강 인두 카테터 30-40% 산소 투여
-venturi 마스크 : 24-55% 산소 투여
77.
-저유통제도: 방안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산소를 보충해 주는 속 도로 산소전달
*21-90%산소투여
*비강캐뉼라: 1-6L/min 산소 투여
*구강인두 카테터: 6-8L/min
*안면 마스크: 비강캐뉼라보다 더 고농도의 산소 제공, 5-6L/min 이하는 투여하지 않음
*저장백을 가진 마스크: 6-15L/min 투여, 60%이상 산소농도 필 요시 사용, one way valve가 있어 저장백에 산소저장, 이산화 탄소 재호흡 안함
-고유통제도: 대상자의 총 흡기요구량 제공, 정확하고 세밀하게 흡기 산소농도 제공
*Ventri 마스크: 24-100%투여
79. 산소투여중 화재 예방법
-모든 전기 플러그와 전기기구는 완전하게 끼운다.
-대상자에게 전기면도기를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금연하게 하고 금연표시를 붙인다.
-불꽃이 나는 것을 금하고, 낡은 전기코드의 연결선을 사용하지 않는다.
-대상자에게 기름, 알코올, 에테르, 방부제 등 화재를 일으킬 수 있는 용액을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산소기구에 절대로 기름을 사용하지 않는다.
-정진기를 피한다. 정진기는 산소가 많은 환경에서 쉽게 발화한 다. 털담요등 정전기를 일으키는 물건들은 사용하지 않는다.
80. 산소중독증
: 폐에 일어나는 병리적 변화는 24-48시간 후 그 징후가 나타난 다. 폐 산소독성은 흡입되는 산소가 60%이하일 때는 발생하지 않는다.
-산소독성 증상: 초기에는 기도 자극과 기침이 나타나는 경한 기관지염 증상, 기침이 더욱 심해지고 흉골하 자극도 심해지며, 호흡곤란이 나타난다. 고농도의 산소에 오랫동안 노출시 간질액 부종, 폐포모세혈관막의 비후, 폐포내 출혈, 폐포부종, 무기폐 발생, 산소 운반도 장애, 산소독성 말기예 진행성 무기폐와 폐의 섬유화 발생
청진시 감소된 호흡음 청진, 폐활량 감소
82. 객담 수집시 간호
-깊은 기침을 통해 받을 것.
-아침에 칫솔질 해서 이를 닦지 말 것.
-방부제로 입을 가시면 객담속의 세균의 생존력에 영향을 주므로 방부졔로 입을 가시지 않을 것
-이른 아침에 채취
-객담의 양은 한 찻숟갈 이상일 것
-객담을
55. 저산소증 조기증상
: 경미한 혼돈, 두통, 안절부절, 고혈압, 과대환기
-하지 저산소증: 간헐적 파행증, 협심증, 심근이 저산소혈증에 빠질때까지 발생
-쇠약한 노인의 저산소증: 혈압감소, 심박동 감소
56.
전폐용량(Total volume) : 최대 흡기말 폐에 들어있는 공기량
57. 인후통 환자 간호
-목의 부종을 막고 통증 완화
→얼음 목도리, 따뜻한 증기 흡인, 더운물 마시게 한다., 아스피 린 용액 함수
-부드럽고 따뜻한 유동식 주기
58. 기관지경 검사전 주의사항
-후두 협착음, 호흡곤란, 가쁜숨→곧 의사에게 알릴 것
-기관지 제거술을 위한 기구들, 응급처치 기구 준비
-국소마취제 독성 부작용 관찰
-후두경련이나 부종이 생기기 쉽고 호흡부전이 오기 쉽다.
59. 기관지경 검사후 간호
-구개 반사가 돌아올때까지 금식
-반듯이 눕거나 반좌위
-기관지경이 자극하여 객담양이 많아질 수 있다고 설명하고 침 을 삼키지 말고 옆으로 누워 점액을 농반에 뱉어내도록 하기
-시행후 며칠동안 인후통과 목쉰소리를 낼 수 있는데 이때 따뜻 한 식염수로 양치질을 하고 얼음주머니를 목 주위에 대준다.
-생검시 객담에서 피가나오는지 관찰하여 다량 나오면 즉시 알 릴 것
-흡연 금지
-얼굴과 목에 피하기종이 있는지 관찰→기관지 천공시 생김
-검사후 출혈 유무 확인을 위해 객담 관찰
61. Perfusion lung scane
: 방사선 동위원소를 주입, 폐관리 평가 검사
-서있는 자세→물질이 폐바닥에 깔리게 됨
-폐조사는 4면에서 찍음
-희게 나타남→순환 결함 부위
62. 개담 세포검사
: 고여있던 객담에 병원균이 많이 축적되어 있으므로 이른아침에 객담 받기
63. 객담 분비 간호
-안정 취하고 연무요법을 사용하거나 시원한 증기요법을 사용해 기도자극 완화
-흉부에 더운 물수건을 놓아주어 통증을 완화하고 더운물을 먹여 충혈을 감소시킨다.
-Potassium iodide 같은 거담제를 투여
-수분 섭취를 하루에 3000-4000ml정도 권장하여 객담을 묽게 되어 잘 배출되도록 한다.
65. 기관지 조영술 전 준비사항
-검사일 전날과 아침에 철저한 구강간호 실시
-검사일 아침에 체위배액
-의치 제거
-검사전 6-8시간동안 NPO
-분비물 감소를 위해 검사전 atropine 투여
-대상자의 입안에 염증시 주치의에게 알린다.
-검사 승낙서 받기
-긴장 감소를 위해 항불안제 투여
-cocaine, lidocaine, tetracaine(국소 마취약) 투여
→구토나 기침 방지, 유독성 부작용도 있음
67. 기관지 조영술 후 간호
-조영제의 배출을 신속히 돕는다: 체위배액시켜 제거, 남아있는 조영제는 12-24시간안에 체내에서 흡수, 수개월동안 기관지내 남아 있음
*조영제가 남아 있다면 혈액의 산화과정 장애
-국소마취약의 부작용 유무, 후두경련, 유무 관찰
68. 기도폐쇄
-늑골간이 위축되거나 부풀어 오름
-흉곽운동 저하
69. 호흡음
-기관지음: 크고 거칠며, 관을 울리는 소리, 기관과 큰기도에서 들림, 흡기<호기
-기관지성 수포음: 체액축적, 기도점막 부종, 평활근 경련시 기도 개방 장애, 호기시 발생, 낮은음. 분비물이 깨끗해지면 없어짐
71. 나음
: 공기가 물속으로 들어가는 소리
흡기시 청진, 울혈성 심부전, 폐수종, 폐렴 의미
73.
-늑막마찰음: 크고 삐걱거리는 가죽같은 소리, 염증으로 두층의 막이 서로 마찰
74. 기관지 확장증
: 기관지벽의 화농성 감염, 기관지가 만성 확장, 탄력성 감소, 근 육 구조 파괴, 젊은이에게 발생, 객담검사에서 여러 세균 혼합
75. 호흡
-흉식 호흡: 늑간근이나 그외 흉곽근육에 의한 호흡
-복식호흡: 홉근과 횡경막에 의해 이루어지는 호흡
-안정호흡: 정상호흡, 쉽고 조용하게 쉬는 호흡
-기좌호흡: 앉아야 호흡 용이
-단속성 호흡: 흡기음과 호기음이 정상음보다 명확하게 2개 이상 소리로 나뉘어지는 호흡
76.
-구강 인두 카테터 30-40% 산소 투여
-venturi 마스크 : 24-55% 산소 투여
77.
-저유통제도: 방안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산소를 보충해 주는 속 도로 산소전달
*21-90%산소투여
*비강캐뉼라: 1-6L/min 산소 투여
*구강인두 카테터: 6-8L/min
*안면 마스크: 비강캐뉼라보다 더 고농도의 산소 제공, 5-6L/min 이하는 투여하지 않음
*저장백을 가진 마스크: 6-15L/min 투여, 60%이상 산소농도 필 요시 사용, one way valve가 있어 저장백에 산소저장, 이산화 탄소 재호흡 안함
-고유통제도: 대상자의 총 흡기요구량 제공, 정확하고 세밀하게 흡기 산소농도 제공
*Ventri 마스크: 24-100%투여
79. 산소투여중 화재 예방법
-모든 전기 플러그와 전기기구는 완전하게 끼운다.
-대상자에게 전기면도기를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금연하게 하고 금연표시를 붙인다.
-불꽃이 나는 것을 금하고, 낡은 전기코드의 연결선을 사용하지 않는다.
-대상자에게 기름, 알코올, 에테르, 방부제 등 화재를 일으킬 수 있는 용액을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산소기구에 절대로 기름을 사용하지 않는다.
-정진기를 피한다. 정진기는 산소가 많은 환경에서 쉽게 발화한 다. 털담요등 정전기를 일으키는 물건들은 사용하지 않는다.
80. 산소중독증
: 폐에 일어나는 병리적 변화는 24-48시간 후 그 징후가 나타난 다. 폐 산소독성은 흡입되는 산소가 60%이하일 때는 발생하지 않는다.
-산소독성 증상: 초기에는 기도 자극과 기침이 나타나는 경한 기관지염 증상, 기침이 더욱 심해지고 흉골하 자극도 심해지며, 호흡곤란이 나타난다. 고농도의 산소에 오랫동안 노출시 간질액 부종, 폐포모세혈관막의 비후, 폐포내 출혈, 폐포부종, 무기폐 발생, 산소 운반도 장애, 산소독성 말기예 진행성 무기폐와 폐의 섬유화 발생
청진시 감소된 호흡음 청진, 폐활량 감소
82. 객담 수집시 간호
-깊은 기침을 통해 받을 것.
-아침에 칫솔질 해서 이를 닦지 말 것.
-방부제로 입을 가시면 객담속의 세균의 생존력에 영향을 주므로 방부졔로 입을 가시지 않을 것
-이른 아침에 채취
-객담의 양은 한 찻숟갈 이상일 것
-객담을
추천자료
[성인간호학]통증관리에 대한 최신지견
성인간호학 케이스!! 대동맥 박리 [성인간호학] COPD (만성폐쇄성폐질환)
[성인간호학] Pneumonia
[성인간호학] 경막하혈종 (SDH : Subdural Hematoma)
[성인간호학][Fracture][골절]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성인간호] 요로암(Urothelial Cancer) 병태생리
[성인간호학] 신경외과 케이스 스터디 : clonic hemifacial spasm(반얼굴경련)
[성인간호학] 내과 케이스 스터디 : Unstable Angina Pectoris(협심증)
[성인간호학] 외과 중환자실 케이스 스터디 : sigmoid colon cancer(S상 결장암)
[성인간호학] 수술실 케이스 스터디 : Laparoscopic Assisted Vaginal Hysterectomy(복강경 ...
[성인간호학 실습 A+] 간농양case (염증반응과 관련된 고체온, 배농술 절개부위와 관련된 급...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성인간호학 과제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