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설
Ⅱ. 보험관계의 성립 및 효과
Ⅲ. 보험관계의 소멸 및 효과
Ⅳ. 보험관계 성립․소멸시 신고
Ⅱ. 보험관계의 성립 및 효과
Ⅲ. 보험관계의 소멸 및 효과
Ⅳ. 보험관계 성립․소멸시 신고
본문내용
자가 당연가입 사업의 요건을 갖추지 못하게 된 경우에는 공단의 승인을 얻은 날의 다음날에 소멸한다. 사업 운영 중 근로자를 한 명도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근로자를 사용하지 아니한 최초의 날부터 1년이 되는 날의 다음 날에 소멸한다.
4) 직권소멸(11조 4호)
근로복지공단이 보험관계를 유지할 수 없다고 인정하여 보험관계의 소멸을 결정, 통지한 날의 다음 날에 소멸한다.
2. 보험관계 소멸의 효과
보험료 부과의무가 소멸되며, 근로복지공단은 보험관계 소멸통지를 사업주에게 하여야 하고, 미수납 보험료의 징수를 하여야 한다.
Ⅳ. 보험관계 성립소멸시 신고
보험의 가입자가 되거나, 사업의 폐지·종료로 인해 보험관계가 소멸할 때에는 각각 사업 개시일 또는 보험관계 소멸일부터 14일 이내에 공단에 신고해야 한다.
4) 직권소멸(11조 4호)
근로복지공단이 보험관계를 유지할 수 없다고 인정하여 보험관계의 소멸을 결정, 통지한 날의 다음 날에 소멸한다.
2. 보험관계 소멸의 효과
보험료 부과의무가 소멸되며, 근로복지공단은 보험관계 소멸통지를 사업주에게 하여야 하고, 미수납 보험료의 징수를 하여야 한다.
Ⅳ. 보험관계 성립소멸시 신고
보험의 가입자가 되거나, 사업의 폐지·종료로 인해 보험관계가 소멸할 때에는 각각 사업 개시일 또는 보험관계 소멸일부터 14일 이내에 공단에 신고해야 한다.
추천자료
[분석/조사] 국민연금법
건강보험 [분석/조사]
[사회과학] 독일의 노사관계
[산업재해][산재보험][산업재해보상보험]산업재해의 현황과 산업재해의 문제점에 따른 산재보...
근로기준법, 민법 및 산업재해보상보험법상의 재해보상체계
고용보험제도 전반에 대한 법적 검토
우리나라 산업재해보상법의 비교법적 고찰
국내 보험사기의 방지 현황과 문제점 대응방안
연금수급
보험계약법
사회복지법제론 - 국민연금법(의의 및 특성, 입법 배경 및 연혁, 국민연금의 가입자와 관장기...
산재보상보험제도
[산업재해보상보험법 (産業災害補償保險法)] 산업재해보상보험법의 개념, 산재법의 특징, 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