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태평양 미쟝센 펄 샤이닝 신제품 출시 성공 사례
2. ‘2%부족할 때’ 마케팅 성공사례
3. 미녀는 석류를 좋아해 - 롯데칠성
4. 웅진식품(주) “아침햇살”
5. 자일리톨 껌
6. 해태제과 하몬스
7. 딤채
8. <신제품> 검은콩 우유
9. 크리스피 크림 도넛 마케팅전략 성공사례
10. 진로 `참이슬` 출시 8년..106억병 판매
11. 1억병 돌파 소주 ‘처음처럼’의 성공비결
12. 초콜릿 폰
2. ‘2%부족할 때’ 마케팅 성공사례
3. 미녀는 석류를 좋아해 - 롯데칠성
4. 웅진식품(주) “아침햇살”
5. 자일리톨 껌
6. 해태제과 하몬스
7. 딤채
8. <신제품> 검은콩 우유
9. 크리스피 크림 도넛 마케팅전략 성공사례
10. 진로 `참이슬` 출시 8년..106억병 판매
11. 1억병 돌파 소주 ‘처음처럼’의 성공비결
12. 초콜릿 폰
본문내용
<신제품 성공사례>
1. 태평양 미쟝센 펄 샤이닝 신제품 출시 성공 사례
2. ‘2%부족할 때’ 마케팅 성공사례
3. 미녀는 석류를 좋아해 - 롯데칠성
4. 웅진식품(주) “아침햇살”
5. 자일리톨 껌
6. 해태제과 하몬스
7. 딤채
8. <신제품> 검은콩 우유
9. 크리스피 크림 도넛 마케팅전략 성공사례
10. 진로 `참이슬` 출시 8년..106억병 판매
11. 1억병 돌파 소주 ‘처음처럼’의 성공비결
12. 초콜릿 폰
1. 태평양 미쟝센 펄 샤이닝 신제품 출시 성공 사례
불황이 계속되고 있는 상황 속에서 신제품을 출시하여 성공한다는 것은 정말 대단한 일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성공 신화를 낳은 주인공은 바로 태평양의 미쟝센 펄 샤이닝 샴푸이다. 이 샴푸는 출시 5개월 만에 프리미엄 샴푸시장의 강자로 등극했다. 지난 6월 출시한 이 제품은 출시 3개월 만에 약100억 원의 매출을 올려 그 관심이 더 비상하다. 관련 업계에서는 “미쟝센 펄 샤이닝”샴푸의 단기간 내의 성공적인 시장진입을 이례적인 일로 받아들일 정도라고 한다.
* 프리미엄 샴푸 시장에서 타겟 시장에게 차별화된 포지셔닝 전략 실행
이 제품은 샴푸 시장 중에서도 “매스티지 시장”을 겨냥하여, ‘진주’를 내세운 상품 기획과 광고마케팅이 주효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출시 당시, 기존의 샴푸 시장은 엘라스틴(LG생활건강), 팬틴(P&G), 케라시스(애경)의 강력한 3자 구도로 이루어져 있었다. 이에 태평양은 새로운 ‘진주’라는 고급적인 성분을 내세운 고급적인 상품 컨설트로 차별화를 시도하였다.
미쟝센 펄 샤이닝이 노린 시장은 바로 매스티지 존이었는데, 매스티지란 ‘대중(Mass)’과 ‘명품(Prestige Product)’을 합성한 신조어로, 대량으로 판매되지만 질은 고급인 상품을 말한다고 한다. 미쟝센 펄 샤이닝은 소득 수준이나 소비 수준이 높아진 중산층들이 샴푸 하나를 선택하더라도 품질이나 감성적인 이미지 마케팅에 많은 공을 쏟았다고 한다. 그 결과 ‘진주’로 대변되는 미쟝센 펄 샤이닝의 이미지는 여성들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었다. 진주는 여성들이 갖고 싶어 하는 고급 보석중이면서도 유행을 타지 않으며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갖고 있었으며, 기존에서는 전혀 사용하지 않았던 성분으로 타겟 소비자의 마음을 사로잡기 충분했다. 반짝이는 진주를 머리에 바르는 느낌은 프리미엄 샴푸로서 손색이 없는 콘셉트였다.
* 남녀 빅모델을 기용한 독특한 광고 전략 수립
미쟝센 펄 샤이닝은 ‘당시 발리에서 생긴 일‘이라는 드라마에서 인기를 누렸던 조인성, 하지원이라는 남녀 빅모델을 기용한 독특한 광고 전략을 수립했다. 이는 경쟁브랜드인 엘라스틴의 전지현, 케라시스의 고소영과 경쟁할 수 있으면서도, 보통 여성 모델만 나오는 광고와는 다르게 조인성, 하지원의 남녀 커플을 기용했다는 점에서 초기 인지도와 이미지를 부각시키는데 큰 역할을 했다.
* 소비자 경험을 극대화시킨 대대적인 샘플링 이벤트
미쟝센 펄 샤이닝은 100만개의 샘플링 등 대규모 소비자 이벤트를 펼치는 등 공격적인 프로모션도 서슴치 않았다. 이는 소비자의 마음을 움직이는 중요한 수단으로 작용했다. 이는 한번 사용해본 사람은 반드시 이 제품을 구매할 것이라는 제품 품질에 대한 자신감에서 비롯된 경험마케팅의 소산이었다. 특히, 샘플링 이벤트는 주로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갖고 있는 곳을 집중 공략했는데, 유명 휘트니센터, 샤워룸이나 고급 미용실 등이 이러한 곳이었다고 한다.
* 팀원들의 제품에 대한 전문성과 열정
미쟝센 펄 샤이닝의 팀원들은 모두 제품에 대한 전문성과 열정으로 똘똘 뭉쳐 성공의 견인차 역할을 했다고 한다. 어떤 팀원은 마케팅을 위해 집 근처 미용실에서 보조 아르바이트를 할 정도였고, 팀원 모두가 제품 출시를 앞두고 하루에 서너 번씩 회사 미용실에서 머리를 감고 성능을 테스트하는 철저함을 보였다고 한다.
이러한 성공 요소들은 제품의 올 매출에서 고스란히 나타나고 있는데, 태평양 측이 밝히는 바에 따르면, 연말까지 총 200억 원의 매출을 전망하고 있다고 한다.
불황이라고 희망이 없는 것은 아니다. 독특한 무언가가 있는 제품, 소비자의 마음을 제대로 읽어 내는 제품은 시기와 상관없이 사랑을 받을 수밖에 없는 것이다.
2. ‘2%부족할 때’ 마케팅 성공사례
1999년 7월 출시이후 14개월 만에 국내음료 역사상 최 단기 최다판매를 기록하였으며 이를 금액으로 환산하면 1,400억 원에 달한다.
출시 초 월 9억 원이던 매출은 1년 만에 월 230억 원이란 어마어마한 금액으로 성장을 했으며 이는 당사의 최대 브랜드인 칠성 사이다의 월매출과 흡사한 실적이다.
경쟁사보다 후발로 출시했음에도 불구하고 시장점유율이 90%에 달하고 있다.
▶ 제품 Concept의 결정
- 2%의 시장기회는 자극적이고 단맛은 피하고 싶으면서도 맛이 없는 생수를 꺼려하는 경우에서 발견 되었다. 결국 2%부족할 때의 가장 근접한 시장이며 예상 경쟁자는 스포츠음료시장과 생수시장이었다. 이러한 시장기회는 ‘물처럼 투명하지만 물이 아닌 음료’라는 외관상의 특징과도 잘 부합되었다. 이런 이유에서 제품 컨셉은 ‘가장 물에 가까운 음료’로 규정되었다. 제품 컨셉은 이후 광고 전략을 추진하는데 있어서 가장 핵심이 되는 요소로 부각시키게 된다.
이 시장의 주인공은 남성보다는 젊은 여성 쪽이 우세하였다. 여자들은 깔끔하고 깨끗한 맛에 대한 분명한 호감을 가지고 있었으며 달지 않아 칼로리에 대한 부담감을 훨씬 덜 느끼고 있었다. 2%는 천연수에 천연과즙을 3~5%첨가하여 만든 제품으로 맛이 자극적이지 않아 부드럽고 미량의 과즙함유로 뒷맛이 깨끗하고 깔끔한 음료이다.
다시 말하지만 2%는 기존음료의 자극적인 맛과 생수의 심심한 맛에 대해서 불만을 갖고 있는 사람들을 겨냥한 제품으로 개발되었다. 2%는 원래 사람의 몸 안에서 2%정도의 수분이 부족할 때 비로소 갈증을 느끼기 시작한다는 사실에서 착안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2%는 그 ‘독특성’이 소비자의 제품에 대한 인지도제고에 오히려 긍정적인 영향을 줄거라는 당사의 확신이 있어 20여개의 후보들을 물리치고 최종 제품명으로 결정
1. 태평양 미쟝센 펄 샤이닝 신제품 출시 성공 사례
2. ‘2%부족할 때’ 마케팅 성공사례
3. 미녀는 석류를 좋아해 - 롯데칠성
4. 웅진식품(주) “아침햇살”
5. 자일리톨 껌
6. 해태제과 하몬스
7. 딤채
8. <신제품> 검은콩 우유
9. 크리스피 크림 도넛 마케팅전략 성공사례
10. 진로 `참이슬` 출시 8년..106억병 판매
11. 1억병 돌파 소주 ‘처음처럼’의 성공비결
12. 초콜릿 폰
1. 태평양 미쟝센 펄 샤이닝 신제품 출시 성공 사례
불황이 계속되고 있는 상황 속에서 신제품을 출시하여 성공한다는 것은 정말 대단한 일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성공 신화를 낳은 주인공은 바로 태평양의 미쟝센 펄 샤이닝 샴푸이다. 이 샴푸는 출시 5개월 만에 프리미엄 샴푸시장의 강자로 등극했다. 지난 6월 출시한 이 제품은 출시 3개월 만에 약100억 원의 매출을 올려 그 관심이 더 비상하다. 관련 업계에서는 “미쟝센 펄 샤이닝”샴푸의 단기간 내의 성공적인 시장진입을 이례적인 일로 받아들일 정도라고 한다.
* 프리미엄 샴푸 시장에서 타겟 시장에게 차별화된 포지셔닝 전략 실행
이 제품은 샴푸 시장 중에서도 “매스티지 시장”을 겨냥하여, ‘진주’를 내세운 상품 기획과 광고마케팅이 주효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출시 당시, 기존의 샴푸 시장은 엘라스틴(LG생활건강), 팬틴(P&G), 케라시스(애경)의 강력한 3자 구도로 이루어져 있었다. 이에 태평양은 새로운 ‘진주’라는 고급적인 성분을 내세운 고급적인 상품 컨설트로 차별화를 시도하였다.
미쟝센 펄 샤이닝이 노린 시장은 바로 매스티지 존이었는데, 매스티지란 ‘대중(Mass)’과 ‘명품(Prestige Product)’을 합성한 신조어로, 대량으로 판매되지만 질은 고급인 상품을 말한다고 한다. 미쟝센 펄 샤이닝은 소득 수준이나 소비 수준이 높아진 중산층들이 샴푸 하나를 선택하더라도 품질이나 감성적인 이미지 마케팅에 많은 공을 쏟았다고 한다. 그 결과 ‘진주’로 대변되는 미쟝센 펄 샤이닝의 이미지는 여성들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었다. 진주는 여성들이 갖고 싶어 하는 고급 보석중이면서도 유행을 타지 않으며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갖고 있었으며, 기존에서는 전혀 사용하지 않았던 성분으로 타겟 소비자의 마음을 사로잡기 충분했다. 반짝이는 진주를 머리에 바르는 느낌은 프리미엄 샴푸로서 손색이 없는 콘셉트였다.
* 남녀 빅모델을 기용한 독특한 광고 전략 수립
미쟝센 펄 샤이닝은 ‘당시 발리에서 생긴 일‘이라는 드라마에서 인기를 누렸던 조인성, 하지원이라는 남녀 빅모델을 기용한 독특한 광고 전략을 수립했다. 이는 경쟁브랜드인 엘라스틴의 전지현, 케라시스의 고소영과 경쟁할 수 있으면서도, 보통 여성 모델만 나오는 광고와는 다르게 조인성, 하지원의 남녀 커플을 기용했다는 점에서 초기 인지도와 이미지를 부각시키는데 큰 역할을 했다.
* 소비자 경험을 극대화시킨 대대적인 샘플링 이벤트
미쟝센 펄 샤이닝은 100만개의 샘플링 등 대규모 소비자 이벤트를 펼치는 등 공격적인 프로모션도 서슴치 않았다. 이는 소비자의 마음을 움직이는 중요한 수단으로 작용했다. 이는 한번 사용해본 사람은 반드시 이 제품을 구매할 것이라는 제품 품질에 대한 자신감에서 비롯된 경험마케팅의 소산이었다. 특히, 샘플링 이벤트는 주로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갖고 있는 곳을 집중 공략했는데, 유명 휘트니센터, 샤워룸이나 고급 미용실 등이 이러한 곳이었다고 한다.
* 팀원들의 제품에 대한 전문성과 열정
미쟝센 펄 샤이닝의 팀원들은 모두 제품에 대한 전문성과 열정으로 똘똘 뭉쳐 성공의 견인차 역할을 했다고 한다. 어떤 팀원은 마케팅을 위해 집 근처 미용실에서 보조 아르바이트를 할 정도였고, 팀원 모두가 제품 출시를 앞두고 하루에 서너 번씩 회사 미용실에서 머리를 감고 성능을 테스트하는 철저함을 보였다고 한다.
이러한 성공 요소들은 제품의 올 매출에서 고스란히 나타나고 있는데, 태평양 측이 밝히는 바에 따르면, 연말까지 총 200억 원의 매출을 전망하고 있다고 한다.
불황이라고 희망이 없는 것은 아니다. 독특한 무언가가 있는 제품, 소비자의 마음을 제대로 읽어 내는 제품은 시기와 상관없이 사랑을 받을 수밖에 없는 것이다.
2. ‘2%부족할 때’ 마케팅 성공사례
1999년 7월 출시이후 14개월 만에 국내음료 역사상 최 단기 최다판매를 기록하였으며 이를 금액으로 환산하면 1,400억 원에 달한다.
출시 초 월 9억 원이던 매출은 1년 만에 월 230억 원이란 어마어마한 금액으로 성장을 했으며 이는 당사의 최대 브랜드인 칠성 사이다의 월매출과 흡사한 실적이다.
경쟁사보다 후발로 출시했음에도 불구하고 시장점유율이 90%에 달하고 있다.
▶ 제품 Concept의 결정
- 2%의 시장기회는 자극적이고 단맛은 피하고 싶으면서도 맛이 없는 생수를 꺼려하는 경우에서 발견 되었다. 결국 2%부족할 때의 가장 근접한 시장이며 예상 경쟁자는 스포츠음료시장과 생수시장이었다. 이러한 시장기회는 ‘물처럼 투명하지만 물이 아닌 음료’라는 외관상의 특징과도 잘 부합되었다. 이런 이유에서 제품 컨셉은 ‘가장 물에 가까운 음료’로 규정되었다. 제품 컨셉은 이후 광고 전략을 추진하는데 있어서 가장 핵심이 되는 요소로 부각시키게 된다.
이 시장의 주인공은 남성보다는 젊은 여성 쪽이 우세하였다. 여자들은 깔끔하고 깨끗한 맛에 대한 분명한 호감을 가지고 있었으며 달지 않아 칼로리에 대한 부담감을 훨씬 덜 느끼고 있었다. 2%는 천연수에 천연과즙을 3~5%첨가하여 만든 제품으로 맛이 자극적이지 않아 부드럽고 미량의 과즙함유로 뒷맛이 깨끗하고 깔끔한 음료이다.
다시 말하지만 2%는 기존음료의 자극적인 맛과 생수의 심심한 맛에 대해서 불만을 갖고 있는 사람들을 겨냥한 제품으로 개발되었다. 2%는 원래 사람의 몸 안에서 2%정도의 수분이 부족할 때 비로소 갈증을 느끼기 시작한다는 사실에서 착안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2%는 그 ‘독특성’이 소비자의 제품에 대한 인지도제고에 오히려 긍정적인 영향을 줄거라는 당사의 확신이 있어 20여개의 후보들을 물리치고 최종 제품명으로 결정
추천자료
[주택정책][주택문제][주택시장]주택정책의 현황과 주택정책의 문제점 및 방향과 과제 심층 ...
[홈쇼핑][홈쇼핑산업][홈쇼핑시장]홈쇼핑의 특징과 현황 및 성공 사례(홈쇼핑산업의 특성, 홈...
지리정보시스템(GIS) 역사,발전, 지리정보시스템(GIS) 특성, 지리정보시스템(GIS) 중요성, 지...
사우디아라비아의 국가개황. 경제, 지표, 무역, 투자환경 및 동향, 한국기업의 진출성공사례
유통경로 갈등해결 성공사례(정의, 유형, 관리, 사례, 유통, 경로, 체계, 시장, 과정, 갈등, ...
창업성공사례 꽃쌈밥(옛집) 성공적인 경영전략 및 마케팅전략과 성공배경, 운영현황, 조직구...
(A+레포트) 음식점 성공사례 복우림의 성공적인 경영전략 및 마케팅전략과 성공배경, 운영현...
자일리톨 껌 마케팅 성공사례, 성공요인, 전략, 국내외 환경 분석, 시장 분석, STP전략, 개발...
피쉬앤그릴 창업 성공사례, 성공적인 경영전략 및 마케팅 전략과 성공배경, 운영현황, 조직구...
옴니에어,가습기시장분석,에어워시란,기업분석,마케팅성공전략사례,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
삼면초가(三面楚歌) 위메이드 : 과거의 성공에 안주할 것인가? (위메이드,wemade,위메이드중...
현대자동차 인도시장 진입위한 마케팅전략분석과 현대자동차 인도진출 성공사례분석 (현대자...
글로벌 오픈 마켓 (GLOBAL Open Market) (한국 인터넷쇼핑몰 시장 현황,모바일 쇼핑시장성장,...
스킨푸드 화장품시장스킨푸드 마케팅화장품 시장 성공사례스킨푸드 브랜드마케팅스킨푸드 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