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신제품 개념 및 제품, 사례기업 소개
Ⅱ. 본론
1. 아이디어의 창출
2. 아이디어 평가
3. 제품 개념의 정립
4. 사업성 분석
5. 제품 개발
6. 시험 마케팅
7. 상업화
Ⅲ. 결론
1. 비타 500매출액 추이와 시장점유율
2. 성공 요인
3. 설문조사 결과와 앞으로의 대응 방안
1.신제품 개념 및 제품, 사례기업 소개
Ⅱ. 본론
1. 아이디어의 창출
2. 아이디어 평가
3. 제품 개념의 정립
4. 사업성 분석
5. 제품 개발
6. 시험 마케팅
7. 상업화
Ⅲ. 결론
1. 비타 500매출액 추이와 시장점유율
2. 성공 요인
3. 설문조사 결과와 앞으로의 대응 방안
본문내용
을 찾으며 피로회복에 도움을 주는 건강음료임을 부각시키고 있다.
*가격은 얼마나 되는 제품인가에 관한 컨셉 정립
Price
비타500 100ml은 일반 판매용의 경우 400~650원 사이로 유통 경로에 따 라 약 250원 정도 차이가 나므로, 제품 전체 가격 대비 차지하는 비중은
큰 편이라고 할 수 있다. 박카스나 원비디 등의 가격보다 약간 높은 수준으로 책정되어있다.
비타500의 고가격 정책에는 비타500이 신제품이라는데 이유가 있다. 즉, 신제품이기 때문에, 이를 개발하는데 드는 연구비, 촉진비 등의 비용이 제품가격에 포함되었기 때문이다.
4. 사업성 분석
기업정보비밀 유지관계로 정보수집 불가
5. 제품 개발
물리적 형태의 제품을 개발
-용량도 모양도 다양한 비타 500
6. 시험 마케팅
제한된 기간동안 제한된 시장에서 신제품 및 마케팅 프로그램을 실제로 시장에 도입하여 제품에 대해 시험을 하는 것이다.
이 과정은 알 수 없어서 저희 조가 설문지를 통해서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인지도를 간단하게 알아보았습니다.
7. 상업화
*신제품의 본격적인 출시는 언제인가?
2001년 출시와 함께 웰빙 열풍이 일어서 판매상승에 영향을 미쳤다.
*신제품 출시 지역은 어디인가?
전국시장을 타겟으로 출시하였다.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의 지원은 무엇인가?
1. 촉진 전략 (Promotion)
<광고보다 먼저 소비자에게 신뢰를 제공하라>
비타 500이 막 출시되었을 시기에는 TV광고는 하지 않았던 반면, 입소문과 맛, PR을 통해 제품을 홍보하였다. 비타 500은 새로운 시장을 개척해 내놓은 최초의 상품이기 때문에 TV광고 보다는 소비자에게 제품에 대한 신뢰를 심어주는 전략을 펼쳤다. 그 후 신제품 비타500은 모방품, 유사품이 쏟아져 나오면서 이를 극복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시장공략을 하게 되었다.
1. 광고
비타500은 2003년부터 TV광고를 시작하였다. 그래서 TV광고, 라디오 광고, 지면광고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비타 500의 인지도를 높이는 시도를 했다. 현재 소비자들에게 인지도를 높이고 시음을 유도하는 데에 초점을 맞춘 광고를 진행 중이다.
1) 티비광고
초기 TV광고는 선풍적 인기를 끌었던 TV드라마 <올인>의 출연진을 기용하여 비타민이 함유된 기능성 음료라는 특징을 내세우면서 비타 500 브랜드를 고객들에게 확실히 인지시키려는 의도로 제작되었다. 광고 중에 \'오백\'이라는 말을 강조하여 소비자들에게 브랜드 이름을 확실히 인지시키고, 유머러스하게 접근하여 광고에 대한 주목률과 기억 가능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2004년부터는 ‘비타 500’하면 사람들이 비를 생각할 정도로 TV광고에서 비의 비중을 높였다. 수영장에 비와 비를 자기라고 부르는 한 여자가 무엇을 마실지 고민하자 비는 몸에 좋고, 맛도 좋고, 비타민은 있는데, 카페인은 없는 것 이라고 말한다. 특히 마지막에는 ‘마시는 비타민 C 비타 500’ 이라며 리듬감 있게 상표를 말해줌으로써 비타 500이 소비자들의 귀에 친숙하게 들리게 한다. 비를 광고 모델로 하는 점은 비타 500의 주 소비층이 10~20대임을 고려하여 톱스타인 비의 인기를 이용하였다.
\'비타500\' TV-CF(\'겨울편\')에서는 기본 Concept을 “가장 아끼고 챙겨주고 싶은 사람에게 권하고 싶은 마음”으로 정하고 광고 캠페인을 진행 했다.
잠시 헤어져 있어야 하는 여자친구를 두고 떠나가는 상황으로 자기가 가까이서 챙겨주지 못하는 헤어져 있는 동안 여자친구의 건강을 당부하는 마음으로 \'비타500\'을 쥐어주고 떠난다. 여기서 서로를 챙겨주는 감정의 매개체는 바로 “비타500”이다.
그리고 2005년 3월/4일 비타500은 TV-CF(‘무카페인’편)을 새롭게 선보였다.
신규 제작한 ‘비타500’ TV-CF(‘무카페인’편) 내용는 “오토바이를 멈춘 ‘비’가 사이드 미러(Mirror) 너머로 유심히 무언가를 바라본다. 사이드 미러(Mirror)에 포착된 모습은 늘씬한 오토바이 걸(Girl)이 태국의 어떤 음료를 마시려는 모습. 그 순간 어디선가 들리는 총성이 소리에 여자의 손에 들린 병이 날아간다. 여자가 놀라서 쳐다보면 장난스러운 표정의 ‘비’가 ‘비타500’을 총인양 겨누고 장난스럽게 웃고 있다. ‘비’는 “ 아무거나 먹지 마세요. 카페인 없는 ‘비타500!’” 이라는 멘트와 함께 다시 한번 ‘비타500’을 여자에게 쏜다. 여자의 손에 잡히는 ‘비타500!’ 둘은 맛있게 카페인 없는 ‘비타500’을 마시고 오토바이를 타고 함께 떠나는 상황을 다이나믹하게 전개하였다. 흥겨운 BGM과 새로운 감각으로 변주된 ‘비타500’ 징글(Jingle) 등이 어우러져 더욱 경쾌한 느낌을 준다.
이번 ‘비타500’ TV광고의 기본 컨셉(Concept)은 “카페인 대신 비타500”으로 정하고 Big모델 ‘비’를 적극 활용하여 젊은 감성세대를 겨냥 ‘비타500’ 드링크의 대중적 확산 및 경쟁사와의 철저한 이미지 차별화를 내세웠다. 그리고 최근 건강, 웰빙(Well-Being)을 바탕으로 한 소비자 트랜드에 발맞춰 ‘비타500’ 제품의 기능적 속성인 ‘비타민C’를 보다 구체화된 소비자 편익을 폭 넓게 전달하였다.
2) 신문. 잡지 광고
인쇄매체를 통해서는 처음 2년 동안 TV광고에 비해 제품의 기능을 알리는데 힘썼다.
잡지 등의 매체에도 비타 500에 대한 광고가 진행되고 있는데, 특히 비타 500은 제조사 자체에서비타민에 대한 효능을 널리 알리고자 하는 공격적인 마케팅으로 언론에 자주 등장하고 있다.
3) 라디오광고
예전에는 드링크음료를 마시느냐 광동 비타500을 마시느냐에 따라 아저씨와 오빠로 구분된다고 하면서 TV광고와 마찬가지로 유머러스한 접근을 하였다. 마지막에 다시 500이라고 반복하여 브랜드이름을 소비자들에게 확실히 기억시키려는 목적으로 라디오 광고를 진행하였다.
Ⅲ. 결론
1. 출시 후 성공 매출액 추이
출시 첫해 2001년 : 53억원
2002년 : 98억원
2003년 : 280억원
2004년 : 900억원 대
*시장 점유율의 경우 1위인 박카스를 제외하고, 비타 500의 시장점유율은
박카스의 3분의 1을 차지하며 동종 업계들과 박카스의 뒤를 공격적으로
*가격은 얼마나 되는 제품인가에 관한 컨셉 정립
Price
비타500 100ml은 일반 판매용의 경우 400~650원 사이로 유통 경로에 따 라 약 250원 정도 차이가 나므로, 제품 전체 가격 대비 차지하는 비중은
큰 편이라고 할 수 있다. 박카스나 원비디 등의 가격보다 약간 높은 수준으로 책정되어있다.
비타500의 고가격 정책에는 비타500이 신제품이라는데 이유가 있다. 즉, 신제품이기 때문에, 이를 개발하는데 드는 연구비, 촉진비 등의 비용이 제품가격에 포함되었기 때문이다.
4. 사업성 분석
기업정보비밀 유지관계로 정보수집 불가
5. 제품 개발
물리적 형태의 제품을 개발
-용량도 모양도 다양한 비타 500
6. 시험 마케팅
제한된 기간동안 제한된 시장에서 신제품 및 마케팅 프로그램을 실제로 시장에 도입하여 제품에 대해 시험을 하는 것이다.
이 과정은 알 수 없어서 저희 조가 설문지를 통해서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인지도를 간단하게 알아보았습니다.
7. 상업화
*신제품의 본격적인 출시는 언제인가?
2001년 출시와 함께 웰빙 열풍이 일어서 판매상승에 영향을 미쳤다.
*신제품 출시 지역은 어디인가?
전국시장을 타겟으로 출시하였다.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의 지원은 무엇인가?
1. 촉진 전략 (Promotion)
<광고보다 먼저 소비자에게 신뢰를 제공하라>
비타 500이 막 출시되었을 시기에는 TV광고는 하지 않았던 반면, 입소문과 맛, PR을 통해 제품을 홍보하였다. 비타 500은 새로운 시장을 개척해 내놓은 최초의 상품이기 때문에 TV광고 보다는 소비자에게 제품에 대한 신뢰를 심어주는 전략을 펼쳤다. 그 후 신제품 비타500은 모방품, 유사품이 쏟아져 나오면서 이를 극복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시장공략을 하게 되었다.
1. 광고
비타500은 2003년부터 TV광고를 시작하였다. 그래서 TV광고, 라디오 광고, 지면광고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비타 500의 인지도를 높이는 시도를 했다. 현재 소비자들에게 인지도를 높이고 시음을 유도하는 데에 초점을 맞춘 광고를 진행 중이다.
1) 티비광고
초기 TV광고는 선풍적 인기를 끌었던 TV드라마 <올인>의 출연진을 기용하여 비타민이 함유된 기능성 음료라는 특징을 내세우면서 비타 500 브랜드를 고객들에게 확실히 인지시키려는 의도로 제작되었다. 광고 중에 \'오백\'이라는 말을 강조하여 소비자들에게 브랜드 이름을 확실히 인지시키고, 유머러스하게 접근하여 광고에 대한 주목률과 기억 가능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2004년부터는 ‘비타 500’하면 사람들이 비를 생각할 정도로 TV광고에서 비의 비중을 높였다. 수영장에 비와 비를 자기라고 부르는 한 여자가 무엇을 마실지 고민하자 비는 몸에 좋고, 맛도 좋고, 비타민은 있는데, 카페인은 없는 것 이라고 말한다. 특히 마지막에는 ‘마시는 비타민 C 비타 500’ 이라며 리듬감 있게 상표를 말해줌으로써 비타 500이 소비자들의 귀에 친숙하게 들리게 한다. 비를 광고 모델로 하는 점은 비타 500의 주 소비층이 10~20대임을 고려하여 톱스타인 비의 인기를 이용하였다.
\'비타500\' TV-CF(\'겨울편\')에서는 기본 Concept을 “가장 아끼고 챙겨주고 싶은 사람에게 권하고 싶은 마음”으로 정하고 광고 캠페인을 진행 했다.
잠시 헤어져 있어야 하는 여자친구를 두고 떠나가는 상황으로 자기가 가까이서 챙겨주지 못하는 헤어져 있는 동안 여자친구의 건강을 당부하는 마음으로 \'비타500\'을 쥐어주고 떠난다. 여기서 서로를 챙겨주는 감정의 매개체는 바로 “비타500”이다.
그리고 2005년 3월/4일 비타500은 TV-CF(‘무카페인’편)을 새롭게 선보였다.
신규 제작한 ‘비타500’ TV-CF(‘무카페인’편) 내용는 “오토바이를 멈춘 ‘비’가 사이드 미러(Mirror) 너머로 유심히 무언가를 바라본다. 사이드 미러(Mirror)에 포착된 모습은 늘씬한 오토바이 걸(Girl)이 태국의 어떤 음료를 마시려는 모습. 그 순간 어디선가 들리는 총성이 소리에 여자의 손에 들린 병이 날아간다. 여자가 놀라서 쳐다보면 장난스러운 표정의 ‘비’가 ‘비타500’을 총인양 겨누고 장난스럽게 웃고 있다. ‘비’는 “ 아무거나 먹지 마세요. 카페인 없는 ‘비타500!’” 이라는 멘트와 함께 다시 한번 ‘비타500’을 여자에게 쏜다. 여자의 손에 잡히는 ‘비타500!’ 둘은 맛있게 카페인 없는 ‘비타500’을 마시고 오토바이를 타고 함께 떠나는 상황을 다이나믹하게 전개하였다. 흥겨운 BGM과 새로운 감각으로 변주된 ‘비타500’ 징글(Jingle) 등이 어우러져 더욱 경쾌한 느낌을 준다.
이번 ‘비타500’ TV광고의 기본 컨셉(Concept)은 “카페인 대신 비타500”으로 정하고 Big모델 ‘비’를 적극 활용하여 젊은 감성세대를 겨냥 ‘비타500’ 드링크의 대중적 확산 및 경쟁사와의 철저한 이미지 차별화를 내세웠다. 그리고 최근 건강, 웰빙(Well-Being)을 바탕으로 한 소비자 트랜드에 발맞춰 ‘비타500’ 제품의 기능적 속성인 ‘비타민C’를 보다 구체화된 소비자 편익을 폭 넓게 전달하였다.
2) 신문. 잡지 광고
인쇄매체를 통해서는 처음 2년 동안 TV광고에 비해 제품의 기능을 알리는데 힘썼다.
잡지 등의 매체에도 비타 500에 대한 광고가 진행되고 있는데, 특히 비타 500은 제조사 자체에서비타민에 대한 효능을 널리 알리고자 하는 공격적인 마케팅으로 언론에 자주 등장하고 있다.
3) 라디오광고
예전에는 드링크음료를 마시느냐 광동 비타500을 마시느냐에 따라 아저씨와 오빠로 구분된다고 하면서 TV광고와 마찬가지로 유머러스한 접근을 하였다. 마지막에 다시 500이라고 반복하여 브랜드이름을 소비자들에게 확실히 기억시키려는 목적으로 라디오 광고를 진행하였다.
Ⅲ. 결론
1. 출시 후 성공 매출액 추이
출시 첫해 2001년 : 53억원
2002년 : 98억원
2003년 : 280억원
2004년 : 900억원 대
*시장 점유율의 경우 1위인 박카스를 제외하고, 비타 500의 시장점유율은
박카스의 3분의 1을 차지하며 동종 업계들과 박카스의 뒤를 공격적으로
추천자료
박카스의 마케팅 및 광고 전략 분석
블루오션전략(Blue Ocean)의 성공한 기업사례와 한계점 그리고 해결방안
박카스 4P 전략에 대해
박카스의 마케팅 전략 분석(4P전략)
동아제약 박카스 마케팅 사례분석
마케팅 전략 - 박카스와 4P전략
박카스의 마케팅 전략
성공광고와실패광고의3가지사례분석
동아제약 박카스의 마케팅전략 성공사례
(광동제약)마케팅 전략 및 실적
프로젝트의 일반적인 이해와 사례
웰빙 마케팅
광동제약의 다각화 성공 전략 (다각화 목적 및 과정, 광동제약 산업분석, GE 매트릭스, SWOT ...
레드불(Red Bull)기업분석과 레드불 마케팅 SWOT,STP,4P 전략분석과 성공요인분석, 레드불 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