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상황분석
1. 시장 환경 분석
Ⅱ. 3C분석 / SWOT
1. 3C분석
2. SWOT 분석
3. 문제도출
Ⅲ. STP전략
1. Segmentation
2. Targeting
3. Positioning
Ⅳ. 4P 전략
1. Product
2. Place
3. Price
4. Promotion
V. 요약. 결론
1. 요약
2. 결론
1. 시장 환경 분석
Ⅱ. 3C분석 / SWOT
1. 3C분석
2. SWOT 분석
3. 문제도출
Ⅲ. STP전략
1. Segmentation
2. Targeting
3. Positioning
Ⅳ. 4P 전략
1. Product
2. Place
3. Price
4. Promotion
V. 요약. 결론
1. 요약
2. 결론
본문내용
광고란 제품에 대한 소개보다 고객의 호기심 유발에 더 큰 비중을 둔 광고를 말합니다. 우리의 티져광고는 본격적인 Bon Voyage 컨셉트의 런칭에 앞서 고객들의 호기심을 유발하기 위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전략 1. 세계 유명 관광지의 모습을 조망합니다. 그리고 그 곳에 메어져 있는 빈폴의 상징은 앞 바퀴가 큰 자전거를 비춰 주며 광고가 막을 내립니다. 이는 자전거와 그 배경이 되 는 풍경의 인쇄 광고로 동시 시행 될 수 있습니다.
전략 2. 여유로운 휴양지와 그 속에서 망중한을 즐기는 빈폴옷을 입은 모델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하지만 빈폴의 로고 대 신 Bon Voyage의 모토를 카피로 사용함으로서 궁금증을 유발 시킵니다.
②새 광고 캠페인
새 포지셔닝 컨셉트가 본격적으로 진행 된 이후의 광고입니다. 새로운 포지셔닝의 각인과 함께 기존의 광고 컨셉트와 일관성이 깨지지 않는 방향에서 캠페인을 진행 시킵니다.
1차 캠페인.
기존의 광고 모델인 다니엘 헤니와 기네스 펠트로를 계속 사용 합니다. 그들이 유럽의 구 시가에서 우연히 만남을 가지는 모습을 조망하는 광고로서 만남과 기억의 컨셉트인 지난 광고 캠페인을 계승 하는 동시에 새로운 포지셔닝 컨셉트을 녹여 냅니다.
2차 캠페인
다시 만나게된 그들이 휴양지에서 망중한을 즐기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우리 컨셉트의 속성인 자유와 휴식을 보여주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4) 이벤트 전략
① 관광지 추천
기존 신문-잡지사에서 연재하던 국외 여행지 추천 코너를 협찬합니다. 그것을 통하여 여행 기사에 협찬자로서의 빈폴 이름을 넣고, 또한 그 여행지를 빈폴 홈페이지에 동시 연재하고 카달로그형의 책자로 만들어 매장에 비치합니다. 빈폴에 대해 고객이 지각하고 있는 속성에 여행이라는 새로운 속성이 추가 될 수 있을 것입니다.
② BeanPole Journey Experience
응모 고객을 대상으로 빈폴이 무료 해외 여행을 보내 줍니다. 이것을 BeanPole Journey Experience라 이름 붙였습니다. 여행자는 단순한 여행 당첨의 행운에서 끝나지 않고 여행지에서의 문화나, 패션등을 탐구하는 에세이를 씁니다. 이 에세이를 빈폴의 홈페이지와 언론 매체에 동시 연재 되게끔 만듭니다. 이 전략은 이벤트와 PR을 동시에 만족 시킬 수 있는 수단이 될 것입니다.
V. 요약. 결론
1. 요약
(1) 시장 분석
-빈폴에게 충분히 유리한 시장 상황.
-경쟁사의 추격이 염려.
-SWOT결과 약점으로 지적된 점의 보완이 필요
(2) STP
S 자기 잠식의 우려. 기존 세분 시장 내에서 애호도를 바탕으로 재세분화
T 빈폴에 애호도를 지니지 않은 집단에 타겟 선정.
P 타겟에 어필하기 위해 부족한 속성을 보완하는 의미에서의 '여행'컨셉트.
(3) 4P
Product - 포지셔닝 모토가 지닌 감성적 속성을 물화적으로 제품화.
Place - 빈폴의 확고한 이미지 구축을 위한 매장 대형화.
Price - 고급품의 속성 유지를 위해 기존의 고가 정책 유지.
Promotion - 포지셔닝 컨셉트에 맞춘 이벤트-광고 전략.
2. 결론
(1) 전략의 평가.
1위라는 기존의 입지를 활용하여 제품 속성의 변화보다는 이미지에서의 속성 업그레이드를 꾀한 포지셔닝은 매우 효과적일 것이라 자평합니다. 또한 우리의 포지셔닝은 경쟁 업체와의 대결에서 승리를 공고히 할 수 있을 정도로 창의적이며 또한 타겟 고객에게 주효하게 작용하리라 생각합니다. 다만 4P전략에 있어서 기존의 트레디셔널 이미지와 새로운 포지셔닝을 효과적으로 배합할만한 전략의 개수가 적은 것이 아쉬운 점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하지만 이 부분은 다수 고객에 대한 직접적인 홍보가 적은 패션업계의 홍보 특성상 세밀하고 집중적으로 전략을 실행한다면 다수의 전략을 넓게 벌리는 것보다 오히려 전략이 효율적으로 작용 할 수 있을것이라 생각합니다.
그리고 4P의 전략이 차칫하면 ‘트래디셔널의 빈폴’로서가 아닌‘아웃도어 캐쥬얼 로서의 빈폴’전략이 될까 우려스럽기도 합니다. 물론 4P전략을 작용함에 있어 저희가 매 전략마다 강조한 바 대로 기존 전략과의 연계가 효과적으로 진행된다면 위의 걱정은 기우가 될 것이라 확신합니다.
(2) 가장 중요한 전략.
가장 중요한 전략은 물론 Promotion 전략이라 말할 수 있습니다. 우리의 전략 목표가 이미지 속성의 업그레이드 인 바, 고객의 인식에 직접 작용할 수 있는 이벤트나 광고 등의 Promotion전략이 우리의 전략에 있어 가장 중요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특히 우리의 새 포지셔닝을 고객의 마음속에 각인시킬 수 있는 광고와 이벤트 전략은 그 중요함이 특히 크다 말할 수 있겠습니다. 하지만 주의해야 할 점은, Product가 뒷받침이 되지 않은 Promotion은 단기간의 효과만 올리다 실패하게 되리라는 것입니다. 90년대 국내에 런칭하여 최고의 가격과 이미지로 승부를 하려 했던 몇몇 해외 중고가 디자이너 브랜드가 (도나카란, 에너지 등...) 그 이미지를 뒷받침 해 주지 못한 제품 탓에 실패한 것을 반면교사 삼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3) 성공 가능성과 예측
이 보고서에서 언급한 전략들의 성공 가능성에 대해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 할 것은 우리가 제시하는 업그레이드된 빈폴의 컨셉트가 얼마나 효과적으로 고객의 마음속에 자리 잡을 수 있느냐 이다. 만일 위에서 나열한 4P전략이 단순한 일회성의 행사로 그치게 된다면, 오히려 빈폴 브랜드 속성의 특징 없음이 더욱 심화될 우려가 있다. 또한 전략의 실행 과정에서 기존 의 컨셉트에 대한 존중과 연계성 없이 실행되게 된다면, 트레디셔널 캐주얼임에도 아웃도어 캐주얼 같은 혼란한 브랜드 속성을 띄게 될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 위험은 전략의 실행 과정이 창의적이지 못할 때 이다. 창의적이지 못한 전략 실행은 고객 지각의 개선을 실패하고 오히려 경쟁 브랜드에 대한 모방으로 비춰지게 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우리의 전략이 그 실행에 있어 밀집적으로 지속적으로 행사되고, 기존의 컨셉트와 충분한 일관성을 가지며, 실행 과정에 있어 창의적이라면 그 전략의 창조성과 포지셔닝의 주효함에 힘입어 성공을 담보할 수 있을것이라 조심스럽게 예측 해 본다.
전략 1. 세계 유명 관광지의 모습을 조망합니다. 그리고 그 곳에 메어져 있는 빈폴의 상징은 앞 바퀴가 큰 자전거를 비춰 주며 광고가 막을 내립니다. 이는 자전거와 그 배경이 되 는 풍경의 인쇄 광고로 동시 시행 될 수 있습니다.
전략 2. 여유로운 휴양지와 그 속에서 망중한을 즐기는 빈폴옷을 입은 모델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하지만 빈폴의 로고 대 신 Bon Voyage의 모토를 카피로 사용함으로서 궁금증을 유발 시킵니다.
②새 광고 캠페인
새 포지셔닝 컨셉트가 본격적으로 진행 된 이후의 광고입니다. 새로운 포지셔닝의 각인과 함께 기존의 광고 컨셉트와 일관성이 깨지지 않는 방향에서 캠페인을 진행 시킵니다.
1차 캠페인.
기존의 광고 모델인 다니엘 헤니와 기네스 펠트로를 계속 사용 합니다. 그들이 유럽의 구 시가에서 우연히 만남을 가지는 모습을 조망하는 광고로서 만남과 기억의 컨셉트인 지난 광고 캠페인을 계승 하는 동시에 새로운 포지셔닝 컨셉트을 녹여 냅니다.
2차 캠페인
다시 만나게된 그들이 휴양지에서 망중한을 즐기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우리 컨셉트의 속성인 자유와 휴식을 보여주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4) 이벤트 전략
① 관광지 추천
기존 신문-잡지사에서 연재하던 국외 여행지 추천 코너를 협찬합니다. 그것을 통하여 여행 기사에 협찬자로서의 빈폴 이름을 넣고, 또한 그 여행지를 빈폴 홈페이지에 동시 연재하고 카달로그형의 책자로 만들어 매장에 비치합니다. 빈폴에 대해 고객이 지각하고 있는 속성에 여행이라는 새로운 속성이 추가 될 수 있을 것입니다.
② BeanPole Journey Experience
응모 고객을 대상으로 빈폴이 무료 해외 여행을 보내 줍니다. 이것을 BeanPole Journey Experience라 이름 붙였습니다. 여행자는 단순한 여행 당첨의 행운에서 끝나지 않고 여행지에서의 문화나, 패션등을 탐구하는 에세이를 씁니다. 이 에세이를 빈폴의 홈페이지와 언론 매체에 동시 연재 되게끔 만듭니다. 이 전략은 이벤트와 PR을 동시에 만족 시킬 수 있는 수단이 될 것입니다.
V. 요약. 결론
1. 요약
(1) 시장 분석
-빈폴에게 충분히 유리한 시장 상황.
-경쟁사의 추격이 염려.
-SWOT결과 약점으로 지적된 점의 보완이 필요
(2) STP
S 자기 잠식의 우려. 기존 세분 시장 내에서 애호도를 바탕으로 재세분화
T 빈폴에 애호도를 지니지 않은 집단에 타겟 선정.
P 타겟에 어필하기 위해 부족한 속성을 보완하는 의미에서의 '여행'컨셉트.
(3) 4P
Product - 포지셔닝 모토가 지닌 감성적 속성을 물화적으로 제품화.
Place - 빈폴의 확고한 이미지 구축을 위한 매장 대형화.
Price - 고급품의 속성 유지를 위해 기존의 고가 정책 유지.
Promotion - 포지셔닝 컨셉트에 맞춘 이벤트-광고 전략.
2. 결론
(1) 전략의 평가.
1위라는 기존의 입지를 활용하여 제품 속성의 변화보다는 이미지에서의 속성 업그레이드를 꾀한 포지셔닝은 매우 효과적일 것이라 자평합니다. 또한 우리의 포지셔닝은 경쟁 업체와의 대결에서 승리를 공고히 할 수 있을 정도로 창의적이며 또한 타겟 고객에게 주효하게 작용하리라 생각합니다. 다만 4P전략에 있어서 기존의 트레디셔널 이미지와 새로운 포지셔닝을 효과적으로 배합할만한 전략의 개수가 적은 것이 아쉬운 점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하지만 이 부분은 다수 고객에 대한 직접적인 홍보가 적은 패션업계의 홍보 특성상 세밀하고 집중적으로 전략을 실행한다면 다수의 전략을 넓게 벌리는 것보다 오히려 전략이 효율적으로 작용 할 수 있을것이라 생각합니다.
그리고 4P의 전략이 차칫하면 ‘트래디셔널의 빈폴’로서가 아닌‘아웃도어 캐쥬얼 로서의 빈폴’전략이 될까 우려스럽기도 합니다. 물론 4P전략을 작용함에 있어 저희가 매 전략마다 강조한 바 대로 기존 전략과의 연계가 효과적으로 진행된다면 위의 걱정은 기우가 될 것이라 확신합니다.
(2) 가장 중요한 전략.
가장 중요한 전략은 물론 Promotion 전략이라 말할 수 있습니다. 우리의 전략 목표가 이미지 속성의 업그레이드 인 바, 고객의 인식에 직접 작용할 수 있는 이벤트나 광고 등의 Promotion전략이 우리의 전략에 있어 가장 중요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특히 우리의 새 포지셔닝을 고객의 마음속에 각인시킬 수 있는 광고와 이벤트 전략은 그 중요함이 특히 크다 말할 수 있겠습니다. 하지만 주의해야 할 점은, Product가 뒷받침이 되지 않은 Promotion은 단기간의 효과만 올리다 실패하게 되리라는 것입니다. 90년대 국내에 런칭하여 최고의 가격과 이미지로 승부를 하려 했던 몇몇 해외 중고가 디자이너 브랜드가 (도나카란, 에너지 등...) 그 이미지를 뒷받침 해 주지 못한 제품 탓에 실패한 것을 반면교사 삼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3) 성공 가능성과 예측
이 보고서에서 언급한 전략들의 성공 가능성에 대해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 할 것은 우리가 제시하는 업그레이드된 빈폴의 컨셉트가 얼마나 효과적으로 고객의 마음속에 자리 잡을 수 있느냐 이다. 만일 위에서 나열한 4P전략이 단순한 일회성의 행사로 그치게 된다면, 오히려 빈폴 브랜드 속성의 특징 없음이 더욱 심화될 우려가 있다. 또한 전략의 실행 과정에서 기존 의 컨셉트에 대한 존중과 연계성 없이 실행되게 된다면, 트레디셔널 캐주얼임에도 아웃도어 캐주얼 같은 혼란한 브랜드 속성을 띄게 될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 위험은 전략의 실행 과정이 창의적이지 못할 때 이다. 창의적이지 못한 전략 실행은 고객 지각의 개선을 실패하고 오히려 경쟁 브랜드에 대한 모방으로 비춰지게 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우리의 전략이 그 실행에 있어 밀집적으로 지속적으로 행사되고, 기존의 컨셉트와 충분한 일관성을 가지며, 실행 과정에 있어 창의적이라면 그 전략의 창조성과 포지셔닝의 주효함에 힘입어 성공을 담보할 수 있을것이라 조심스럽게 예측 해 본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