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구회사 '오로라 월드' 분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완구회사 '오로라 월드'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사례명칭

2. 사례개발 의의

3. 사례개요

4. 주요 내용
● 서론
- 해외 시장 진출하기 까지
● 본론
1) 오로라 월드 기업을 선택한 동기
2) 해외 시장 조사 및 완구 시장 조사
3) 오로라 월드의 경쟁자, 소비자
4) stp분석
5) swot분석,
6) 마케팅 4P 믹스 (Price, product, promotion, place)
7) 성과
● 결론
1) 향후 과제
2) 기업 인터뷰
5. 참고자료
6. 느낀점

본문내용

입점
- 2004. 01 영국 판매법인 수도권으로 이전 (요오크->런던)
* 오로라 월드 홍콩 판매법인
- 1992년에 설립된 오로라의 전략적인 판매법인
- 유럽 중심의 전세계 30여개 바이어를 총괄하는 전략적 판매거점
* 오로라 월드 인도네시아 생산법인
- 1990년 설립된 자카르타 근교 소재한 생산법인
- 약 1500여명의 현지 본 공장과 8곳의 현지 외주 공장 보유
* 오로라 월드 중국 청도 생산법인
- 1993년에 설립된 중국 청도 수출특구에 소재한 생산법인
- 약 1000여명의 현지 본 공장과 10곳의 현지 외주 공장 보유
④ promotion
- 국제 부문: 각종 Exhibition 과 show를 통한 제품 홍보
오로라 월드는 매체를 통한 광고전략보다는 전시회와 show를 통한 제품홍보에 비중을 두었다. 이는 미국 유통 시장의 특성상 non-media 제품인 경우 유통업자들의 파워가 큰 것을 잘 반영하고 있다. 오로라 월드는 1992년 미국 LA에 \'A&A플러시‘라는 자체 브랜드로 미국 시장을 공략했다. 여기에는 ‘공격적인 시장 개척 전략’이 중요했다. 한번 참가하는 데 3000만~4000만원 가량의 비용이 드는 미국 내 유명 전시회 및 박람회 50여개를 빠짐없이 찾아 다니며 호평을 받게 되었다. 미국시장의 판매망이 미국 전역으로 뻗어져 있다는 점에 착안해 미국의 지리와 문화적 습관을 잘 알고 있는 현지직원을 전문 세일즈 맨인 “Sales Rep”으로 고용하였다. 현재 오로라 월드에서 활약하고 있는 Sales Rep은 약 150명으로 거미줄처럼 연결된 네트웍으로 거대한 미국 시장에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또한 미국의 Atlanta, Seattle, New York, LA에 직영 show를 할 수 있는 고급 인테리어의 디스플레이 전시장을 마련하여 수시로 바이어들을 위한 각종 이벤트 행사 및 제품 설명회를 개최하고 있다. 오로라의 우수한 품질과 디자인력은 이러한 전시회와 show를 통해 바이어들에게 어필할 수 있었다. 또한 오로라는 Sales Rep에게 타 경쟁기업보다 높은 3-5%의 인센티브를 주고 연말에 실적이 좋은 Sales Rep 에게 cruise 파티 등에 초대해 그들의 동기와 의욕을 북돋우고 있다.
- 국내 부문 : PPL 마케팅과 고객방문 프로그램 등
그간 해외 마케팅에 주력해오던 오로라 월드가 국내에서의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고객방문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다. 오로라월드 사내 및 쇼룸 견학, 봉제인형 만들기 등 다채로운 행사를 통해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고 홍보 효과를 극대화 하고 있다. 또한 오로라 월드는 TV 프로그램에 상품을 협찬함으로써 홍보 효과를 노리는 PPL 마케팅을 도입하여, 각종 드라마의 소품으로 협찬하고 있다. 리틀부부를 주인공으로 한 카툰집 출시, LG 생활 건강의 페리오 치약과 리틀부부인형을 패키지로 묶어 판매하는 프로모션을 시작으로 다양한 공동마케팅을 진행 하고 있다. 발렌타인 데이와 화이트데이 시즌을 적극 활용한 쥬얼리 업체와의 제휴, 기 획앨범 출시와 인형극 공연등 공동마케팅도 적극 활용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버거킹과 제휴한 이벤드를 열기도 하였다. 판매주력상품은 청소년에 인기 있는 케이블 TV 투니버스, OCN, M.Net 등을 통해 적극 홍보하고, 서울 주요 지하철 PDP와 전국 주요 극장에서도 광고 방송을 실시 한다. 방송 매체 뿐만 아니라 벅스뮤직 등 온라인에서도 활발한 promotion을 추진하고 있다.
7) 성공요인 및 성과
① 뛰어난 품질과 디자인에 대한 R&D투자
대다수 국내 업체가 자체 브랜드 및 R&D 인력을 보유하지 못한 채 해외 기업의 히트 상품을 흉내 내어 만드는 현실에서, 오로라 월드는 경쟁력에 대한 두각을 드러낸다. 이는 차별화된 디자인, 품질 관리, 철저한 R&D분석, 자체적인 생산체제와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 등이 이루어 낸 결과이다. 특히 연구 인력에 대한 투자는 괄목할 만한 수준이다. 1999년 업계 최초 디자인 연구소를 설립하고, 본사 인원의 40%에 해당하는 인력을 디자인 부서에 배치한다. 또한, 뉴욕 Fair에서 품질 부문 금상을 수상하였으며 ISO-9001(품질 시스템), ASTM(미국 재료 시험 협회), CE마크(안전 규격 인증획득 전문기관) 등 국제적인 품질 인증을 획득함으로서, 품질과 디자인이라는 두가지 측면을 동시에 인정받고 있다. 이는, 제품의 신뢰도를 높이고 미국진출 이후 단기간에 시장 점유율을 높이는 계기가 되기도 하였다.
② 글로벌 네트워크를 통한 시장 정보수집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그 시장의 특성과, 그에 따른 고객의 니즈를 분석하는 것이 핵심으로 떠오른다. 오로라월드는 해당 국가의 소비자 정서를 제대로 파악하기 위해 해외 법인별 리서치 센터를 8곳이나 운영하고 있다. 이를 통해 체계적으로 수요에 관한 개발 노하우 및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오로라월드가 동종 업계에 비해 1~2년 앞서가는 캐릭터를 선보일 수 있는 배경이다. 또한, 인도네시아와 중국 등 본사 직원이 파견되어 관리하는 생산 공장과 함께 디자인 및 주문, 판매를 총괄하는 국내본사, 현지의 시장동향 및 유행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미국 판매법인에 파견된 본사 디자이너 및 관리인을 통해 글로벌 네트워크 체제를 갖추고 있는 것은 오로라만의 큰 장점이다. 특히 매 분기에 한번씩 있는 P/D meeting의 회의를 통한 지속적인 정보공유를 통해, 시장 트렌드의 적극적인 파악과 이러한 수요의 변화를 상품화함으로써 시장을 적극적으로 개척해 나갔다. 현재 오로라월드는 중국 칭다오,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 2개의 자체 생산 공장을 가지고 있고 미국 LA, 영국 런던, 홍콩에 현지판매법인을 가지고 있으며, 이것 모두를 포함한 총 매출은 1억 2천만 달러에 달한다.
③ 마케팅 혁신 - 아이디어 상품
미국시장 진출 초기, 당시 미국 제품은 봉제인형 수준에 머물러 있던 한국 제품에 비해 모든 면에서 확실한 우위를 구축하고 있었다. 정면에서 승부를 낼 수 없는 미국시장을 성공적으로 공략하기 위해서는, 제품의 차별화를 두면서 미국인의 구미에 맞는 제품을 생산해야 했다. 이러한 고민

키워드

오로라,   오로라월드,   월드,   완구,   장난감,   어린이,   성공,   해외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7.02.13
  • 저작시기2007.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44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