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신제품 개념 및 제품, 사례기업 소개
Ⅱ. 본론
1. 아이디어의 창출
2. 아이디어 평가
3. 제품 개념의 정립
4. 사업성 분석
5. 제품 개발
6. 시험 마케팅
7. 상업화
Ⅲ. 결론
1. 비타 500매출액 추이와 시장점유율
2. 성공 요인
3. 설문조사 결과와 앞으로의 대응 방안
1.신제품 개념 및 제품, 사례기업 소개
Ⅱ. 본론
1. 아이디어의 창출
2. 아이디어 평가
3. 제품 개념의 정립
4. 사업성 분석
5. 제품 개발
6. 시험 마케팅
7. 상업화
Ⅲ. 결론
1. 비타 500매출액 추이와 시장점유율
2. 성공 요인
3. 설문조사 결과와 앞으로의 대응 방안
본문내용
때문에 소비자들의 주의를 크게 끌 수 없었다. 하지만 최근 광고에 “비”를 주인공으로 함으로써 브랜드 인지도를 끌어 올릴 수 있었고, 재포지셔닝에 성공했다.
*가격은 얼마나 되는 제품인가에 관한 컨셉 정립
Price
비타500 100ml은 일반 판매용의 경우 400~650원 사이로 유통 경로에 따 라 약 250원 정도 차이가 나므로, 제품 전체 가격 대비 차지하는 비중은 큰 편이라고 할 수 있다.
즉, 비타500은 박카스나 원비디 등의 가격을 고려하여, 이들보다 약간 높은 수준으로 하는 상대적인 고가격 정책을 사용하였다.
*유통경로에 관한 컨셉 정립
Place
현재 비타500의 유통경로는 약국, 슈퍼, 편의점, 할인점, 사우나, 노래방, 휴게소, 골프장 등 아주 다양하다.
그러나 비타 500의 초기유통전략을 보면, 의약품드링크의 판매경험과 지식을 갖고 있던 광동제약으로서는 당연히 약국경로였다. 비타500은 상대적으로 높은 판매가격책정과 이에 따른 많은 유통마진 제공 및 보다 나은 거래조건으로 의약품이 아닌 식품음료임에도 불구하고 약국시장에 손쉽게 진출할 수 있는 여건이 될 수 있었다.
하지만 유통사업부의 신설로 약국이 아닌 다른 유통경로로의 판매를 모색하던 광동제약은 의약분업으로 인한 일반의약품시장의 축소로 약국시장크기의 한계성을 인식했다. 또한 기존의 드링크 제품, 특히 박카스는 그 속의 카페인 함유량과 약품 성분 때문에 \"일반의약품\"으로 분류되어 있고 물론 약국에서밖에 판매되지 않지만 비타500은 일반의약품이 아닌 혼합음료로 구분되었기 때문에 단지 약국경로만이 아닌 슈퍼, 편의점, 할인점, 사우나, 노래방, 고속도로 휴게소 및 골프장과 같은 유통경로로의 비타500의 판매를 적극 시도할 수 있었다.
또한 유통경로간의 마찰을 줄이기 위해 경로마다 다른 용기 및 포장의 사용과 가격을 차별화 했던 점도 비타500의 확산에 일조를 했다.
4. 사업성 분석
기업정보비밀 유지관계로 정보수집 불가
5. 제품 개발
물리적 형태의 제품을 개발 - 용량도 모양도 다양한 비타 500
6. 시험 마케팅
제한된 기간동안 제한된 시장에서 신제품 및 마케팅 프로그램을 실제로 시장에 도입하여 제품에 대해 시험을 하는 것이다.
이 과정은 알 수 없어서 저희 조가 설문지를 통해서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인지도를 간단하게 알아보았습니다.
7. 상업화
*신제품의 본격적인 출시는 언제인가?
2001년 출시와 함께 웰빙 열풍이 일어서 판매상승에 영향을 미쳤다.
*신제품 출시 지역은 어디인가?
전국시장을 타겟으로 출시하였다.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의 지원은 무엇인가?
1. 촉진 전략 (Promotion)
<광고보다 먼저 소비자에게 신뢰를 제공하라>
비타 500이 막 출시되었을 시기에는 TV광고는 하지 않았던 반면, 입소문과 맛, PR을 통해 제품을 홍보하였다. 비타 500은 새로운 시장을 개척해 내놓은 최초의 상품이기 때문에 TV광고 보다는 소비자에게 제품에 대한 신뢰를 심어주는 전략을 펼쳤다. 그 후 신제품 비타500은 모방품, 유사품이 쏟아져 나오면서 이를 극복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시장공략을 하게 되었다.
1. 체험 마케팅
비타500이 런칭 된 초기에는 광동제약에서 비타500에 대한 광고를 집행하지 않았다. 이것은 비타500이 마시는 비타민 음료시장에 선두주자로 아직 소비자들에게 비타민이란 제품은 가루나 알약등과 같이 먹는 것으로 인식되어 있었기 때문에 일단 비타500을 먹어보도록 유도하는 것이 중요했다. 그래서 초기에는 노인정이나 어린이집과 같은 곳에 비타500을 나눠주는 체험마케팅을 통해서 비타500 출시 직후 상품을 사용해 불 수 있도록 판촉활동을 벌였다. 이런 활동을 통해 점차 사용-반복 과정을 거쳐서 비타500의 판매를 유도하려고 하였다.
2. 광고
비타500은 2003년부터 TV광고를 시작하였다. 그래서 TV광고, 라디오 광고, 지면광고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비타 500의 인지도를 높이는 시도를 했다. 현재 소비자들에게 인지도를 높이고 시음을 유도하는 데에 초점을 맞춘 광고를 진행 중이다.
1) 티비광고
-초기광고
2003년 (드라마 올인편) - 비타500의 초기광고는 드라마 올인의 출연진을 기용하여 비타민이 함유된 기능성 음료라는 특징을 내세우면서 고객들에게 비타500 브랜드를 인지시키려는 의도로 제작되었다. 광고 중에 \'오백\'이라는 말을 강조하여 소비자들에게 브랜드 이름을 확실히 인지시키고, 유머러스하게 접근하여 광고에 대한 주목율과 기억가능성을 높이려고 하였다. 그러나 초기광고의 타겟은 애매하였고, 소비자들에게 크게 주의를 끌 수 없었다.
- 최근광고 (재포지셔닝)
2004-2005년 (가수비편), (겨울편), (무카페인편) - 2004년부터는 비타500하면 사람들이 비를 생각할 정도로 TV광고에서 비의 비중을 높였다. 즉, 이는 비타500의 초기광고가 타겟 층이 애매모호했으며, 이에 따라 광고효과도 낮았던 점, 그리고 미투 제품들이 나오면서 비타500의 이미지를 재구축하기 위해 재 포지셔닝한 것으로 보인다. 가수 비를 광고모델로 하면서, 비타500의 주 소비층인 10~20대에게 크게 어필할 수 있었다.
2) 신문. 잡지 광고
인쇄매체를 통해서는 처음 2년 동안 TV광고에 비해 제품의 기능을 알리는데 힘썼다.
잡지 등의 매체에도 비타 500에 대한 광고가 진행되고 있는데, 특히 비타 500은 제조사 자체에서비타민에 대한 효능을 널리 알리고자 하는 공격적인 마케팅으로 언론에 자주 등장하고 있다.
3) 라디오광고
예전에는 드링크음료를 마시느냐 광동 비타500을 마시느냐에 따라 아저씨와 오빠로 구분된다고 하면서 TV광고와 마찬가지로 유머러스한 접근을 하였다. 마지막에 다시 500이라고 반복하여 브랜드이름을 소비자들에게 확실히 기억시키려는 목적으로 라디오 광고를 진행하였다.
Ⅲ. 결론
1. 출시 후 성공 매출액 추이
출시 첫해 2001년 : 53억원
2002년 : 98억원
2003년 : 280억원
2004년 : 900억원 대
*시장 점유율의 경우 1위인 박카스를 제외하고, 비타 500의 시장점유율은
박카스의 3분의 1을 차지하며 동종 업계들과 박카스의 뒤를 공격적으로
*가격은 얼마나 되는 제품인가에 관한 컨셉 정립
Price
비타500 100ml은 일반 판매용의 경우 400~650원 사이로 유통 경로에 따 라 약 250원 정도 차이가 나므로, 제품 전체 가격 대비 차지하는 비중은 큰 편이라고 할 수 있다.
즉, 비타500은 박카스나 원비디 등의 가격을 고려하여, 이들보다 약간 높은 수준으로 하는 상대적인 고가격 정책을 사용하였다.
*유통경로에 관한 컨셉 정립
Place
현재 비타500의 유통경로는 약국, 슈퍼, 편의점, 할인점, 사우나, 노래방, 휴게소, 골프장 등 아주 다양하다.
그러나 비타 500의 초기유통전략을 보면, 의약품드링크의 판매경험과 지식을 갖고 있던 광동제약으로서는 당연히 약국경로였다. 비타500은 상대적으로 높은 판매가격책정과 이에 따른 많은 유통마진 제공 및 보다 나은 거래조건으로 의약품이 아닌 식품음료임에도 불구하고 약국시장에 손쉽게 진출할 수 있는 여건이 될 수 있었다.
하지만 유통사업부의 신설로 약국이 아닌 다른 유통경로로의 판매를 모색하던 광동제약은 의약분업으로 인한 일반의약품시장의 축소로 약국시장크기의 한계성을 인식했다. 또한 기존의 드링크 제품, 특히 박카스는 그 속의 카페인 함유량과 약품 성분 때문에 \"일반의약품\"으로 분류되어 있고 물론 약국에서밖에 판매되지 않지만 비타500은 일반의약품이 아닌 혼합음료로 구분되었기 때문에 단지 약국경로만이 아닌 슈퍼, 편의점, 할인점, 사우나, 노래방, 고속도로 휴게소 및 골프장과 같은 유통경로로의 비타500의 판매를 적극 시도할 수 있었다.
또한 유통경로간의 마찰을 줄이기 위해 경로마다 다른 용기 및 포장의 사용과 가격을 차별화 했던 점도 비타500의 확산에 일조를 했다.
4. 사업성 분석
기업정보비밀 유지관계로 정보수집 불가
5. 제품 개발
물리적 형태의 제품을 개발 - 용량도 모양도 다양한 비타 500
6. 시험 마케팅
제한된 기간동안 제한된 시장에서 신제품 및 마케팅 프로그램을 실제로 시장에 도입하여 제품에 대해 시험을 하는 것이다.
이 과정은 알 수 없어서 저희 조가 설문지를 통해서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인지도를 간단하게 알아보았습니다.
7. 상업화
*신제품의 본격적인 출시는 언제인가?
2001년 출시와 함께 웰빙 열풍이 일어서 판매상승에 영향을 미쳤다.
*신제품 출시 지역은 어디인가?
전국시장을 타겟으로 출시하였다.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의 지원은 무엇인가?
1. 촉진 전략 (Promotion)
<광고보다 먼저 소비자에게 신뢰를 제공하라>
비타 500이 막 출시되었을 시기에는 TV광고는 하지 않았던 반면, 입소문과 맛, PR을 통해 제품을 홍보하였다. 비타 500은 새로운 시장을 개척해 내놓은 최초의 상품이기 때문에 TV광고 보다는 소비자에게 제품에 대한 신뢰를 심어주는 전략을 펼쳤다. 그 후 신제품 비타500은 모방품, 유사품이 쏟아져 나오면서 이를 극복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시장공략을 하게 되었다.
1. 체험 마케팅
비타500이 런칭 된 초기에는 광동제약에서 비타500에 대한 광고를 집행하지 않았다. 이것은 비타500이 마시는 비타민 음료시장에 선두주자로 아직 소비자들에게 비타민이란 제품은 가루나 알약등과 같이 먹는 것으로 인식되어 있었기 때문에 일단 비타500을 먹어보도록 유도하는 것이 중요했다. 그래서 초기에는 노인정이나 어린이집과 같은 곳에 비타500을 나눠주는 체험마케팅을 통해서 비타500 출시 직후 상품을 사용해 불 수 있도록 판촉활동을 벌였다. 이런 활동을 통해 점차 사용-반복 과정을 거쳐서 비타500의 판매를 유도하려고 하였다.
2. 광고
비타500은 2003년부터 TV광고를 시작하였다. 그래서 TV광고, 라디오 광고, 지면광고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비타 500의 인지도를 높이는 시도를 했다. 현재 소비자들에게 인지도를 높이고 시음을 유도하는 데에 초점을 맞춘 광고를 진행 중이다.
1) 티비광고
-초기광고
2003년 (드라마 올인편) - 비타500의 초기광고는 드라마 올인의 출연진을 기용하여 비타민이 함유된 기능성 음료라는 특징을 내세우면서 고객들에게 비타500 브랜드를 인지시키려는 의도로 제작되었다. 광고 중에 \'오백\'이라는 말을 강조하여 소비자들에게 브랜드 이름을 확실히 인지시키고, 유머러스하게 접근하여 광고에 대한 주목율과 기억가능성을 높이려고 하였다. 그러나 초기광고의 타겟은 애매하였고, 소비자들에게 크게 주의를 끌 수 없었다.
- 최근광고 (재포지셔닝)
2004-2005년 (가수비편), (겨울편), (무카페인편) - 2004년부터는 비타500하면 사람들이 비를 생각할 정도로 TV광고에서 비의 비중을 높였다. 즉, 이는 비타500의 초기광고가 타겟 층이 애매모호했으며, 이에 따라 광고효과도 낮았던 점, 그리고 미투 제품들이 나오면서 비타500의 이미지를 재구축하기 위해 재 포지셔닝한 것으로 보인다. 가수 비를 광고모델로 하면서, 비타500의 주 소비층인 10~20대에게 크게 어필할 수 있었다.
2) 신문. 잡지 광고
인쇄매체를 통해서는 처음 2년 동안 TV광고에 비해 제품의 기능을 알리는데 힘썼다.
잡지 등의 매체에도 비타 500에 대한 광고가 진행되고 있는데, 특히 비타 500은 제조사 자체에서비타민에 대한 효능을 널리 알리고자 하는 공격적인 마케팅으로 언론에 자주 등장하고 있다.
3) 라디오광고
예전에는 드링크음료를 마시느냐 광동 비타500을 마시느냐에 따라 아저씨와 오빠로 구분된다고 하면서 TV광고와 마찬가지로 유머러스한 접근을 하였다. 마지막에 다시 500이라고 반복하여 브랜드이름을 소비자들에게 확실히 기억시키려는 목적으로 라디오 광고를 진행하였다.
Ⅲ. 결론
1. 출시 후 성공 매출액 추이
출시 첫해 2001년 : 53억원
2002년 : 98억원
2003년 : 280억원
2004년 : 900억원 대
*시장 점유율의 경우 1위인 박카스를 제외하고, 비타 500의 시장점유율은
박카스의 3분의 1을 차지하며 동종 업계들과 박카스의 뒤를 공격적으로
추천자료
박카스의 마케팅 및 광고 전략 분석
블루오션전략(Blue Ocean)의 성공한 기업사례와 한계점 그리고 해결방안
박카스 4P 전략에 대해
박카스의 마케팅 전략 분석(4P전략)
동아제약 박카스 마케팅 사례분석
마케팅 전략 - 박카스와 4P전략
박카스의 마케팅 전략
성공광고와실패광고의3가지사례분석
동아제약 박카스의 마케팅전략 성공사례
(광동제약)마케팅 전략 및 실적
프로젝트의 일반적인 이해와 사례
웰빙 마케팅
광동제약의 다각화 성공 전략 (다각화 목적 및 과정, 광동제약 산업분석, GE 매트릭스, SWOT ...
레드불(Red Bull)기업분석과 레드불 마케팅 SWOT,STP,4P 전략분석과 성공요인분석, 레드불 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