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가지 문양의 종류가 모두 나타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하학문에는 직선을 기본으로 하는 사선문, 기치문, 귀갑문, 십자문, 완자문, 곡선을 기본으로 하는 파도무늬, 소용돌이 무늬, 원무늬, 고기비늘 무늬, 점을 이은 점렬문 등이 있다.
동물문에 사용된 동물은 수소, 자칼, 뱀, 백로, 매, 하마 등으로 여러 신들의 상징동물로 사용되었으며 정확한 묘사와 균형잡힌 구성으로 표현되었다.
이집트의 식물문 중에서 가장 중요한 장식요소는 로터스와 파피루스를 들 수 있다. 꽃과 꽃봉오리의 옆과 평면을 벽면에 묘사하거나, 주초 장식에 사용하였다. 상형문자는 이집트 고유문자로 오늘날에는 이집트를 상징하는 문양의 역할을 하기도 하였다.
Ⅱ.메소포타미아의 복식
1. 생활환경
메소포타미아는 티그리스강과 유프라테스강 사이의 비옥한 삼각형 모양의 지대로 메소(Meso)는 사이 또는 중간을, 포탐(Potam)은 강 또는 하천을 의미하여 ‘강 사이의 땅’을 뜻한다. 두 강은 매년 범람하여 토양을 비옥하게 했으나 그 시기와 규모가 나일강의 범람과는 달리 일정하지 않아, 농사짓기에 적절한 수로와 저수지 시설을 개발하여 기후에 잘 적응하던 수메르인이 토착하면서부터 이곳에는 진정한 의미의 문명이 싹텄으며(BC 3000년경) 수메르인들은 그후 메소포타미아 지역에 나타나게 될 여러 문명들의 기반이 되는 문화적 배경을 만들어 냈다. 메소포타미아 지역의 역사는 개방적인 환경조건 때문에 끊임없는 이주와 침입의 연속이었는데 새로 이주해 온 민족들은 수메르 문명의 핵심을 받아들이는 한편 자신들의 새로운 문명을 결합하여 보다 발전된 국가를 이루었다.
BC 1600년이후 메소포타미아 및 이집트 문명을 급격하게 변화시킨 일련의 침입이 있었으며 그 결과 BC 1200년 이후에 이르러서는 헤브라이, 페니키아, 아시리아 등의 주요 문명들이 새로 일어나게 되었다. 또 BC 6세기 이후에는 페르시아가 중동지역 전역을 정복하여 고대동방의 최대최후의 통일국가를 형성했으나 페르시아 전쟁의 패배로 멸망하기에 이르렀다. 이후 유럽의 역사적 중심은 고대동방에서 서쪽으로 옮겨지게 되었다.
▶수메르(Sumer) : BC 3000~2108년◀
기원전 3200년경 최초의 도시국가로 탄생하였다. 이 시대를 수메르시대라고 부르는데 기원전 2800년경부터 약 450년간은 병립 항쟁한 초기 왕조시대가 계속되었다. 수메르는 도시의 중심을 신전으로 하여 군주인 동시에 신관인 왕에 의해 통치하였고, 수메르인은 대부분 농업과 목축에 종사하였고, 상인들은 대상을 편성하여 서남 아시아와 교역하였다.
여기서 얻어진 석재, 금속, 목재를 원료로 직인들이 무기, 도구, 장신구 등을 만들어 경제적으로 부를 이루었다. 가축의 가죽과 털은 의복의 원료로 중요하게 이용하기도 하였다.
수메르는 말기에 이르러 패권 항쟁을 벌이다가 기원전 2350년경 셈계 아카드인에 의해 통일되어 아카드제국이 수립되었다. 아카드시대동안 수메르인과 아카드인 두 종족이 융합되어 문명은 점차 분화하여 바빌로니아 문명의 기초를 이루게 되었다.
▶바빌로니아(Babylonia) : BC 2000~1240년◀
기원전 2000년경 셈족이 수메르인과 아카드인을 정복하여 바빌론을 수도로 왕조를 창건하였다.
제1왕조의 6대왕인 함무라비왕 때 메소포타미아 전영토를 제패하여 전성기를 이루었고 법전제정과 달력, 도량형의 통일, 아카드어의 보급으로 아카드어는 오리엔트 공통어로 사용되었다.
바빌로니아인은 농업과 목축업에 종사하였고 도시를 중심으로 가구, 조각 등의 직인이 활발하게 활동하고 금속 추출 기술이 발달하였다.
기원전 1530년경 바빌론 왕조는 히타이트인의 침입으로 망하고 그후 약 1000년 동안 메소포타미아에는 이민족이 계속 침입하여 분립 항쟁의 시대가 되었다.
▶아시리아(Assyria) : BC 1200~540년◀
기원전 2000년경 야수르시를 중심으로 성립한 아시리아는 철제무기를 지닌 강력한 군사 국가로 성립되었다. BC 15~14세기에는 이집트 접경까지 정복하고 BC 12세기에는 소아시아에 이르는 넓은 영토를 가지게 되었다. BC 8세기 아슈르바니팔 왕때 최전성기를 맞이하게 되었다.
광대한 영토는 강력한 군대와 관료 집단, 정비된 역전 제도 등에 의해 통치되었고, 문화면에서는 부조와 도시계획에 뛰어났으며 미술은 사실적 경향을 뛰게 되었다.
BC 612년 아시리아는 메디아에 의해 멸망되었으나, 칼데아늬 나보폴라사르가 바빌론의 수도로 신바빌로니아를 건설하였다. BC 538년 신바빌로니아는 신흥세력인 페르시아에 의해 멸망하게 되었다.
▶페르시아(Persia) : BC 600~300년◀
페르시아는 BC 538년 신바빌로니아를 점령하여 아시리아 제국의 판도를 계승했던 종족에서 이름을 따른 것으로 지금의 이란에 해당되는 지역에 위치한다.
다리우스 1세(BC 521~484)는 전국토를 20개국의 행정구역으로 나눠 사트라프라는 장관을 두어 징세, 병역을 부과하였다. 조로아스터교를 진흥시켰으며 궁전건축, 왕도건설, 역전제 실시 등으로 강력한 중앙집권 정부를 만들었고 최고 전성기를 이루었다.
BC 330년 다리우스 3세때 알렉산더에 의해 멸망하였다.
2. 복식의 개요
수메의 복식은 랩 어라운드(wrap around)형태의 스커트와 숄(shawl)이 대표적인 것으로 남녀가 모두 착용했는데 이것은 모피나 모직물로 만들어졌다. 또 카우나케스(kaunakes)라 불리는 여러 층의 모피(fur)로 만들어진 스커트와 숄 또한 특징적인 복식형태이다.
바빌로니아와 아시리아의 기본복식은 술이 달린 튜닉과 숄이다. 술 장식은 장식과 신분의 상징으로 사용되었고 발달된 자수와 염색기술로 호화롭게 모양을 내기도 했다. 이 시기에는 활발한 교역으로 모직물과 더불어 실크와 리넨 등의 화려한 직물을 의상에 사용했다. 특히 아시리아에서는 기능적이고 다양한 형태의 군복이 발달했으며 이 두시기의 여성 복식은 잘 알려지지 않는다.
페르시아는 바빌로니아나 아시리아의 복식형태를 따르면서도, 메디아의 국민복이었던 캔디스(Kandys, Candys)를 입거나 그들 특유의 복식을 착용했는데 튜닉과 더불어 기본복식으로 등장한 바지와, 턱시도 칼라(tuxedo collar)에
기하학문에는 직선을 기본으로 하는 사선문, 기치문, 귀갑문, 십자문, 완자문, 곡선을 기본으로 하는 파도무늬, 소용돌이 무늬, 원무늬, 고기비늘 무늬, 점을 이은 점렬문 등이 있다.
동물문에 사용된 동물은 수소, 자칼, 뱀, 백로, 매, 하마 등으로 여러 신들의 상징동물로 사용되었으며 정확한 묘사와 균형잡힌 구성으로 표현되었다.
이집트의 식물문 중에서 가장 중요한 장식요소는 로터스와 파피루스를 들 수 있다. 꽃과 꽃봉오리의 옆과 평면을 벽면에 묘사하거나, 주초 장식에 사용하였다. 상형문자는 이집트 고유문자로 오늘날에는 이집트를 상징하는 문양의 역할을 하기도 하였다.
Ⅱ.메소포타미아의 복식
1. 생활환경
메소포타미아는 티그리스강과 유프라테스강 사이의 비옥한 삼각형 모양의 지대로 메소(Meso)는 사이 또는 중간을, 포탐(Potam)은 강 또는 하천을 의미하여 ‘강 사이의 땅’을 뜻한다. 두 강은 매년 범람하여 토양을 비옥하게 했으나 그 시기와 규모가 나일강의 범람과는 달리 일정하지 않아, 농사짓기에 적절한 수로와 저수지 시설을 개발하여 기후에 잘 적응하던 수메르인이 토착하면서부터 이곳에는 진정한 의미의 문명이 싹텄으며(BC 3000년경) 수메르인들은 그후 메소포타미아 지역에 나타나게 될 여러 문명들의 기반이 되는 문화적 배경을 만들어 냈다. 메소포타미아 지역의 역사는 개방적인 환경조건 때문에 끊임없는 이주와 침입의 연속이었는데 새로 이주해 온 민족들은 수메르 문명의 핵심을 받아들이는 한편 자신들의 새로운 문명을 결합하여 보다 발전된 국가를 이루었다.
BC 1600년이후 메소포타미아 및 이집트 문명을 급격하게 변화시킨 일련의 침입이 있었으며 그 결과 BC 1200년 이후에 이르러서는 헤브라이, 페니키아, 아시리아 등의 주요 문명들이 새로 일어나게 되었다. 또 BC 6세기 이후에는 페르시아가 중동지역 전역을 정복하여 고대동방의 최대최후의 통일국가를 형성했으나 페르시아 전쟁의 패배로 멸망하기에 이르렀다. 이후 유럽의 역사적 중심은 고대동방에서 서쪽으로 옮겨지게 되었다.
▶수메르(Sumer) : BC 3000~2108년◀
기원전 3200년경 최초의 도시국가로 탄생하였다. 이 시대를 수메르시대라고 부르는데 기원전 2800년경부터 약 450년간은 병립 항쟁한 초기 왕조시대가 계속되었다. 수메르는 도시의 중심을 신전으로 하여 군주인 동시에 신관인 왕에 의해 통치하였고, 수메르인은 대부분 농업과 목축에 종사하였고, 상인들은 대상을 편성하여 서남 아시아와 교역하였다.
여기서 얻어진 석재, 금속, 목재를 원료로 직인들이 무기, 도구, 장신구 등을 만들어 경제적으로 부를 이루었다. 가축의 가죽과 털은 의복의 원료로 중요하게 이용하기도 하였다.
수메르는 말기에 이르러 패권 항쟁을 벌이다가 기원전 2350년경 셈계 아카드인에 의해 통일되어 아카드제국이 수립되었다. 아카드시대동안 수메르인과 아카드인 두 종족이 융합되어 문명은 점차 분화하여 바빌로니아 문명의 기초를 이루게 되었다.
▶바빌로니아(Babylonia) : BC 2000~1240년◀
기원전 2000년경 셈족이 수메르인과 아카드인을 정복하여 바빌론을 수도로 왕조를 창건하였다.
제1왕조의 6대왕인 함무라비왕 때 메소포타미아 전영토를 제패하여 전성기를 이루었고 법전제정과 달력, 도량형의 통일, 아카드어의 보급으로 아카드어는 오리엔트 공통어로 사용되었다.
바빌로니아인은 농업과 목축업에 종사하였고 도시를 중심으로 가구, 조각 등의 직인이 활발하게 활동하고 금속 추출 기술이 발달하였다.
기원전 1530년경 바빌론 왕조는 히타이트인의 침입으로 망하고 그후 약 1000년 동안 메소포타미아에는 이민족이 계속 침입하여 분립 항쟁의 시대가 되었다.
▶아시리아(Assyria) : BC 1200~540년◀
기원전 2000년경 야수르시를 중심으로 성립한 아시리아는 철제무기를 지닌 강력한 군사 국가로 성립되었다. BC 15~14세기에는 이집트 접경까지 정복하고 BC 12세기에는 소아시아에 이르는 넓은 영토를 가지게 되었다. BC 8세기 아슈르바니팔 왕때 최전성기를 맞이하게 되었다.
광대한 영토는 강력한 군대와 관료 집단, 정비된 역전 제도 등에 의해 통치되었고, 문화면에서는 부조와 도시계획에 뛰어났으며 미술은 사실적 경향을 뛰게 되었다.
BC 612년 아시리아는 메디아에 의해 멸망되었으나, 칼데아늬 나보폴라사르가 바빌론의 수도로 신바빌로니아를 건설하였다. BC 538년 신바빌로니아는 신흥세력인 페르시아에 의해 멸망하게 되었다.
▶페르시아(Persia) : BC 600~300년◀
페르시아는 BC 538년 신바빌로니아를 점령하여 아시리아 제국의 판도를 계승했던 종족에서 이름을 따른 것으로 지금의 이란에 해당되는 지역에 위치한다.
다리우스 1세(BC 521~484)는 전국토를 20개국의 행정구역으로 나눠 사트라프라는 장관을 두어 징세, 병역을 부과하였다. 조로아스터교를 진흥시켰으며 궁전건축, 왕도건설, 역전제 실시 등으로 강력한 중앙집권 정부를 만들었고 최고 전성기를 이루었다.
BC 330년 다리우스 3세때 알렉산더에 의해 멸망하였다.
2. 복식의 개요
수메의 복식은 랩 어라운드(wrap around)형태의 스커트와 숄(shawl)이 대표적인 것으로 남녀가 모두 착용했는데 이것은 모피나 모직물로 만들어졌다. 또 카우나케스(kaunakes)라 불리는 여러 층의 모피(fur)로 만들어진 스커트와 숄 또한 특징적인 복식형태이다.
바빌로니아와 아시리아의 기본복식은 술이 달린 튜닉과 숄이다. 술 장식은 장식과 신분의 상징으로 사용되었고 발달된 자수와 염색기술로 호화롭게 모양을 내기도 했다. 이 시기에는 활발한 교역으로 모직물과 더불어 실크와 리넨 등의 화려한 직물을 의상에 사용했다. 특히 아시리아에서는 기능적이고 다양한 형태의 군복이 발달했으며 이 두시기의 여성 복식은 잘 알려지지 않는다.
페르시아는 바빌로니아나 아시리아의 복식형태를 따르면서도, 메디아의 국민복이었던 캔디스(Kandys, Candys)를 입거나 그들 특유의 복식을 착용했는데 튜닉과 더불어 기본복식으로 등장한 바지와, 턱시도 칼라(tuxedo collar)에
추천자료
관광개발의 환경적 영향평가
[언어장애][언어장애 원인][언어장애 종류][언어장애 특성][장애][장애인][장애분류]장애의 ...
[가정]가정에서의 위탁양육, 가정에서의 물리치료, 가정에서의 여가생활, 가족생활주기(Famil...
[복식변천사] 의복의 기원과 구조 및 변천사
[환경오염][생물농축][환경오염 발생배경][생물농축][생물농축 유발 물질][생물농축 피해 사...
[노년기 주거생활] 노년기 주거환경과 주거형태, 노인을 위한 주거환경계획
환경호르몬의 종류, 생활 속 대처방안, 환경호르몬에 대한 대책
[가족형태][가족형태 분류][가족형태 종류][가족형태와 성별][가족형태와 가부장제][성별][가...
[한국의 폐기물][폐기물][1회용품]한국의 폐기물 개념, 한국의 폐기물 종류, 한국의 폐기물 ...
[방통대 A+] 1학년 2학기 유아교육학과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중간과제 D형 : 행동발달에 대한...
2017년 간호학특론C형] 앤더슨의 의료이용예측모형을 적용한 의료이용행위 분석 1) 대상자2인...
[생활과건강] 건강한 생활양식은 개인의 건강과 행복을 위해 매우 중요 1) 자신이 수행하고 ...
[생활과건강] 건강한 생활양식은 개인의 건강과 행복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1) 자신이 수행...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