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목차
1. 화상통신의 개요
2. 화상통신 시스템의 구성
3. 텔레비전
4. HDTV(High Definition Television)
5. 팩시밀리(Facsimile)
6. 화상통신 회의
7. 화상응답 시스템(VRS : Video Response System)
8. CATV
9. CCTV(폐쇄회로 텔레비전)
10. 믹스 모드형 단말기(MMT : Mixed Mode Terminal)
2. 화상통신 시스템의 구성
3. 텔레비전
4. HDTV(High Definition Television)
5. 팩시밀리(Facsimile)
6. 화상통신 회의
7. 화상응답 시스템(VRS : Video Response System)
8. CATV
9. CCTV(폐쇄회로 텔레비전)
10. 믹스 모드형 단말기(MMT : Mixed Mode Terminal)
본문내용
응용은 먼저 접근하고자 하는 정보에 대한 락을 획득해야 하는데, 락 요청은 SACI를 통해 SAS로 전달된 수 인증 과정을 거친후 획득된다.
SAS의 또 다른 특징으로는 응용의 필요에 따라 SAS가 실행되거나 종료될 수 있다는 점과, 각 응용 종류마다 전용의 SAS가 연관된다는 점이다. 영상 회의 시스템에서는 AVConf를 위한 SAS와 GED를 위한 SAS가 별도로 존재하고, 두 개의 SAS와 GED를 위한 SAS가 별도로 존재하고, 두 개의 SAS는 각각 AVConf의 공유 정보와 GED의 그래픽 공유 정보를 관리하는 독립적인 모듈이다.
2.5 멀티미디어 입출력 제어기 MuX
-MuX 모듈은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입출력 장치의 관리 및 스트림(stream) 개념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처리 기능을 제공하는 서버(server) 형태의 모듈을 말한다.[3]
① 음성 및 동영상 데이터 입출력
② 원격 시스템과의 데이터 송수신
③ 멀티미디어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오버레이션 제공
④ 음성과 동영상의 동기화
2.6 공유 영역 인터페이스SACI
-공유 정보 처리 및 관리를 위해 응용이 SAS에 접근하기 위한 기본 기능을 제공하는 인터페이스이다. SACI는 공유 객체 연산(operation)을 응용과 SAS 사이에 전달하는 역할과 SAS와의 프로토콜에 의한 효율적인 동시성 제어 기능을 제공한다.
2.7 호 제어 인터페이스GCI
-GCI는 GUIDE의 회의 호출 기능을 이용하기 위한 응용 인터페이스이다. GCI는 타 시스템을 호출하기 위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와 타 시스템으로부터 호출되어 실행 초기화되는 응용에 포함되어 응답 처리하는 API를 가지고 있다.
2.8 영상 회의 실행 모델
-영상 회의 시스템은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과 공유 정보 데이터의 전송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네트워크 병목 현상이나 처리 부항를 줄이기 위한 실행 모델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중앙 집중형 실행 모델과 분산형 실행 모델이 사용되어 왔는데, 중앙 집중형 모델은 제어의 용이함을 제공하는 반면 처리 부하가 증가한다는 단점이 있고, 분산형 모델은 방대한 데이터 입출력 처리에 적합하지만 제어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본 영상 회의 시스템은 LAN과 WAN구간에 산재해 있는 20-30인의 참석자로 구성된회의를 목표로, 사회자 및 발언자의 동영상을 모든 참석자에게 전송함을 요구 사항으로 정하고 있다. 네트워크 부하 감소를 위해 사회자 발언자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은 분산 처리하고 발언자의 선택 등과 같은 회의 제어는 중앙 집중적으로 처리하는 구조로 본 영상 회의 시스템은 다음의 그림 2와 같은 트리 구조를 가진다.
트리 구조 내 각 노드(node) 사이의 멀티미디어 전송은 MuX 모듈을 통해 수행되는데 각 노드 간 멀티 미디어 전송 경로는 각각 사회자 화면과 발언자 화면의 두 고정 경로가 존재한다. 발언자가 지정되지 않는 회의 초기에는 사회자 화면만이 전송된다.
그림 2의 루트 노드(root node)는 회의를 진행 하는 사회자 노드가 되는데 사회자는 먼저 GUIDE를 통해 참석자에게 일일이 호출 신호를 보낸다. 호출에 응답하는 참석자 노드는 사회자 노드에 이미 실행 중일 SAS에 연결하여 자신의 정보를 등록한다. 사회자 노드는 각 참가자로부터의 정보를 SAS를 통해 알 수 있고 이 정보에 기초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을 위한 트리 구조를 구성하여 SAS에 등록한다. 모든 참석자 노드 들은 SAS에 등록된 트리 구조를 통해 자신의 부모 노드(parent node)와 자식 노드(child node)를 알 수 있고, 사회자 화면과 발언자 화면을 위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경로는 MuX모듈을 통해 설정된다.
발언권 신청 및 부여는 SAS를 통해서 이루어 지는데, 어떤 참석자 노드가 발언권 신청을 요청하면 사회자 노드는 발언권 부여를 하고 이 때 모든 참석자 노드는 현재 발언자를 구별할 수 있다. 발언권 변경에 따른 발언자 화면의 전송 경로는 그림 2에서와 같이 사회자 노드로 일단 전송된 후 트리 구조의 나머지 노드 들로 분배된다.
(2) 다양한 화상회의 구성도
1. 전용선 화상회의 구성도
→ CODEC : 영상 및 음성, 데이터 등을 압축전송 및 복원(양방향성)
→ MCS : 1:N 또는 N:N 다자간 회의 지원 서버
→ CSU : 전용선용 망 종단장치 Channel Service Unit
2. ISDN 화상회의 구성도
→ CODEC : 영상 및 음성, 데이터 등을 압축전송 및 복원(양방향성)
→ MCS : 1:N 또는 N:N 다자간 회의 지원 서버
→ NT : ISDN 망 종단장치
3. TCP / IP 화상회의 구성도
→ CODEC : 영상 및 음성, 데이터 등을 압축전송 및 복원(양방향성)
→ MCS : 1:N 또는 N:N 다자간 회의 지원 서버
3.텔레비젼
-사물의 광학적인 상(像)을 전파에 실어 보내어 수신장치에 재현시키는 전기통신 방식
3.1 텔레비전의 개요
-텔레비전의 목적은 보거나 듣는 인간의 능력을 공간적·거리적으로 확대하려고 하는 것이다. 인간의 시각계에서는 망막에 맺힌 화상 정보가 다수의 시신경에 의해서 뇌까지 2차원 그대로 동시에 병렬 전송되지만, 전기 통신계에서는 송신측과 수신측을 연결하는 하나의 전송로로만 사용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텔레비전에서는 2차원의 넓이를 가진 화상을 1차원의 신호로 분해하여 전송하고, 수신측에서 다시 2차원의 화상으로 조립하는 방법을 취한다. 즉 전송되는 정경은 촬상관 위에 명암상으로 맺히는데, 이 명암상은 광전 변환에 의해 전기적인 강약의 상으로 변환된 후, 주사(走査)에 의해서 어떤 규칙을 가진 순서에 따라 연속적인 펄스 모양의 전기 신호로 분해되어 순차적으로 무선 채널을 통해서 송신된다. 주사에 의한 화상의 분해와 조립은 시각의 잔상(殘像) 효과 때문에 가능하다.
텔레비젼
3.2 텔레비전의 역사
1884년 독일의 P. 닙코브 , <닙코브 원판에 의한 주사법> 발견
1902년 독일의 O. von 브롱크가 삼원색 신호 전달방법 발견
1935년 영국의 IMI 사의 I.
SAS의 또 다른 특징으로는 응용의 필요에 따라 SAS가 실행되거나 종료될 수 있다는 점과, 각 응용 종류마다 전용의 SAS가 연관된다는 점이다. 영상 회의 시스템에서는 AVConf를 위한 SAS와 GED를 위한 SAS가 별도로 존재하고, 두 개의 SAS와 GED를 위한 SAS가 별도로 존재하고, 두 개의 SAS는 각각 AVConf의 공유 정보와 GED의 그래픽 공유 정보를 관리하는 독립적인 모듈이다.
2.5 멀티미디어 입출력 제어기 MuX
-MuX 모듈은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입출력 장치의 관리 및 스트림(stream) 개념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처리 기능을 제공하는 서버(server) 형태의 모듈을 말한다.[3]
① 음성 및 동영상 데이터 입출력
② 원격 시스템과의 데이터 송수신
③ 멀티미디어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오버레이션 제공
④ 음성과 동영상의 동기화
2.6 공유 영역 인터페이스SACI
-공유 정보 처리 및 관리를 위해 응용이 SAS에 접근하기 위한 기본 기능을 제공하는 인터페이스이다. SACI는 공유 객체 연산(operation)을 응용과 SAS 사이에 전달하는 역할과 SAS와의 프로토콜에 의한 효율적인 동시성 제어 기능을 제공한다.
2.7 호 제어 인터페이스GCI
-GCI는 GUIDE의 회의 호출 기능을 이용하기 위한 응용 인터페이스이다. GCI는 타 시스템을 호출하기 위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와 타 시스템으로부터 호출되어 실행 초기화되는 응용에 포함되어 응답 처리하는 API를 가지고 있다.
2.8 영상 회의 실행 모델
-영상 회의 시스템은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과 공유 정보 데이터의 전송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네트워크 병목 현상이나 처리 부항를 줄이기 위한 실행 모델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중앙 집중형 실행 모델과 분산형 실행 모델이 사용되어 왔는데, 중앙 집중형 모델은 제어의 용이함을 제공하는 반면 처리 부하가 증가한다는 단점이 있고, 분산형 모델은 방대한 데이터 입출력 처리에 적합하지만 제어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본 영상 회의 시스템은 LAN과 WAN구간에 산재해 있는 20-30인의 참석자로 구성된회의를 목표로, 사회자 및 발언자의 동영상을 모든 참석자에게 전송함을 요구 사항으로 정하고 있다. 네트워크 부하 감소를 위해 사회자 발언자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은 분산 처리하고 발언자의 선택 등과 같은 회의 제어는 중앙 집중적으로 처리하는 구조로 본 영상 회의 시스템은 다음의 그림 2와 같은 트리 구조를 가진다.
트리 구조 내 각 노드(node) 사이의 멀티미디어 전송은 MuX 모듈을 통해 수행되는데 각 노드 간 멀티 미디어 전송 경로는 각각 사회자 화면과 발언자 화면의 두 고정 경로가 존재한다. 발언자가 지정되지 않는 회의 초기에는 사회자 화면만이 전송된다.
그림 2의 루트 노드(root node)는 회의를 진행 하는 사회자 노드가 되는데 사회자는 먼저 GUIDE를 통해 참석자에게 일일이 호출 신호를 보낸다. 호출에 응답하는 참석자 노드는 사회자 노드에 이미 실행 중일 SAS에 연결하여 자신의 정보를 등록한다. 사회자 노드는 각 참가자로부터의 정보를 SAS를 통해 알 수 있고 이 정보에 기초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을 위한 트리 구조를 구성하여 SAS에 등록한다. 모든 참석자 노드 들은 SAS에 등록된 트리 구조를 통해 자신의 부모 노드(parent node)와 자식 노드(child node)를 알 수 있고, 사회자 화면과 발언자 화면을 위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경로는 MuX모듈을 통해 설정된다.
발언권 신청 및 부여는 SAS를 통해서 이루어 지는데, 어떤 참석자 노드가 발언권 신청을 요청하면 사회자 노드는 발언권 부여를 하고 이 때 모든 참석자 노드는 현재 발언자를 구별할 수 있다. 발언권 변경에 따른 발언자 화면의 전송 경로는 그림 2에서와 같이 사회자 노드로 일단 전송된 후 트리 구조의 나머지 노드 들로 분배된다.
(2) 다양한 화상회의 구성도
1. 전용선 화상회의 구성도
→ CODEC : 영상 및 음성, 데이터 등을 압축전송 및 복원(양방향성)
→ MCS : 1:N 또는 N:N 다자간 회의 지원 서버
→ CSU : 전용선용 망 종단장치 Channel Service Unit
2. ISDN 화상회의 구성도
→ CODEC : 영상 및 음성, 데이터 등을 압축전송 및 복원(양방향성)
→ MCS : 1:N 또는 N:N 다자간 회의 지원 서버
→ NT : ISDN 망 종단장치
3. TCP / IP 화상회의 구성도
→ CODEC : 영상 및 음성, 데이터 등을 압축전송 및 복원(양방향성)
→ MCS : 1:N 또는 N:N 다자간 회의 지원 서버
3.텔레비젼
-사물의 광학적인 상(像)을 전파에 실어 보내어 수신장치에 재현시키는 전기통신 방식
3.1 텔레비전의 개요
-텔레비전의 목적은 보거나 듣는 인간의 능력을 공간적·거리적으로 확대하려고 하는 것이다. 인간의 시각계에서는 망막에 맺힌 화상 정보가 다수의 시신경에 의해서 뇌까지 2차원 그대로 동시에 병렬 전송되지만, 전기 통신계에서는 송신측과 수신측을 연결하는 하나의 전송로로만 사용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텔레비전에서는 2차원의 넓이를 가진 화상을 1차원의 신호로 분해하여 전송하고, 수신측에서 다시 2차원의 화상으로 조립하는 방법을 취한다. 즉 전송되는 정경은 촬상관 위에 명암상으로 맺히는데, 이 명암상은 광전 변환에 의해 전기적인 강약의 상으로 변환된 후, 주사(走査)에 의해서 어떤 규칙을 가진 순서에 따라 연속적인 펄스 모양의 전기 신호로 분해되어 순차적으로 무선 채널을 통해서 송신된다. 주사에 의한 화상의 분해와 조립은 시각의 잔상(殘像) 효과 때문에 가능하다.
텔레비젼
3.2 텔레비전의 역사
1884년 독일의 P. 닙코브 , <닙코브 원판에 의한 주사법> 발견
1902년 독일의 O. von 브롱크가 삼원색 신호 전달방법 발견
1935년 영국의 IMI 사의 I.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