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무한도전의 캐릭터분석
1) 최고 이고픈 힘없는 아버지 박명수
2) 훈남이고픈 동네 바보 형 정준하
3) 버스정류장서 마주한 어색한 사람 정형돈
4) 나의 변신을 유혹하는 개성만점 날라리 정형돈
5) 자신감 최고 긍정적 인생 하하
6) 이 시대의 인간적 리더 유재석
7) 제7의 멤버 우리 마음의 대변자 자막
3. 형식이 비슷한 타 프로그램과의 비교
1) 1박 2일과의 비교
4. 결론
2. 무한도전의 캐릭터분석
1) 최고 이고픈 힘없는 아버지 박명수
2) 훈남이고픈 동네 바보 형 정준하
3) 버스정류장서 마주한 어색한 사람 정형돈
4) 나의 변신을 유혹하는 개성만점 날라리 정형돈
5) 자신감 최고 긍정적 인생 하하
6) 이 시대의 인간적 리더 유재석
7) 제7의 멤버 우리 마음의 대변자 자막
3. 형식이 비슷한 타 프로그램과의 비교
1) 1박 2일과의 비교
4. 결론
본문내용
는 모습이 자주 등장한다. 강호동은 다른 출연자들의 행동을 받아주기 보다는 자신의 강압적인 모습을 과시하는 모습으로 일관한다. 자신의 허점을 보여주는 일 또한 없다. 다른 출연자들도 억울함에 반항 해보려 하지만 이내 그 힘에 굴복하고 마는 모습을 보여준다. 무한도전은 이들 캐릭터간의 상호 작용을 통해 각각의 모든 캐릭터가 부각되며 조화되어 한 가족이라는 이미지를 주는 반면 1박 2일이라는 프로그램은 강호동이라는 대장 한사람이 그들 모두를 이끌어가는 모습인 것이다.
현대 사회는 한 사람이 모두를 이끌어 가는 것이 아니라 그 사회를 구성하고 있는 다양한 사람들이 조화를 이루며 만들어가고 있다. 무한도전에는 사회를 조화롭게 이끌어 나가는 지도자와 평범한 소시민이 함께 어울린다. 개성이 넘쳐나는 젊은이들의 모습도 찾아 볼 수 있고 우리 사회의 아버지들도 찾아 볼 수 있다. 또한 항상 인정받기 원하는 자신의 모습도 찾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기애를 갖게 하는 사람도 있다. 1박2일이라는 프로그램에서 다양한 구성원들의 조화되는 모습은 우리가 원하는 공동체의 모습과는 대조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우리 사회에서 강압적 지도자에 의한 통치는 반감을 조성하고 불쾌감 내지는 거부감을 느끼게 한다.
4. 결론
지금까지 무한전의 인기요인을 캐릭터 분석을 통한 미시적 측면으로 살펴보았다. 무한도전은 반듯하고 겸손한 유반장, 악마의 탈을 쓴 힘없는 아버지 박거성, 훈남이고픈 삐침쟁이 뚱뚱보, 웃기는 거 빼고는 다 잘하는 어색한 뚱보, 똑똑한 석사 이고픈 단신 하하, 말 많고 개성 있는 돌아이, 제7의 멤버 자막이라는 캐릭터들이 함께 만들어내는 리얼 버라이어티 쇼이다. 김태호 PD는 무한도전이 재미있는 이유로 연출이 정해놓은 설정과 애드리브 사이를 구분할 수 없는 애매함에서 찾을 수 있다고 했다. 다양한 캐릭터 들이 모여 만들어내는 이러한 무모함 들이 우리에게 큰 재미로 다가오고 있는 것이다.
무한 도전은 또한 우리 사회의 축소판이라고도 할 수 있다. 우리와 함께하는 지도자와, 아버지, 소시민, 또래 친구 등 이 사회를 구성하는 다양한 구성원들이 서로 티격태격 부딪혀 가면서 하나의 사회를 만들어나가는 것과 같다고 할 수 있다.
우리 사회의 주인공은 단 한명이 아니라 그 사회를 구성하는 모든 사람들이 주인공이다. 무한도전 또한 한 멤버를 중심으로 모든 것이 돌아가는 것이 아니라 그 상황, 그 특집에 따라 중심인물이 바뀐다. 모든 사람이 그 사회의 주인공으로 참여함으로써 그들 중 어느 하나 소외되는 경우 없이 조화되는 모습을 보인다.
우리는 무한도전이라는 또 사회를 보면서 공감을 느끼게 된다. 이런저런 사건들과 힘든 경제상황 속에서 또 하나의 우리 사회를 본다는 것은 자칫하면 힘들어 질 수 있다. 하지만 그 속에서 웃음으로 공감할 수 있는 작은 이야기 하나는 큰 흡입력을 갖고 사람을 불러 모으는 것이다.
참 고 문 헌.
전규찬, 『텔레비전 오락의 문화정치학』2003, 한울
김헌식 『대중문화 심리로 본 한국사회』2007, 북코리아
강준만외 5명 『대중매체와 사회』1998, 세계사
원호택, 박현순 『인간관계와 적응-삶을 위한 심리학』1999,서울대학출판부
김영란 『공감과 체험』 2006, 한국학술정보(주)
임영제 외 4명 『21세기 디지털시대 인간관계의 이해』2003, 법문사
문지연『TV영상물에 나타난 방송자막 디자인 활용에 관한 연구』2005, 이화여대 디자인 대학원.
황경모 『컬러 TV CF 제작 기법에 대한 연구 : 자막 표현 기법을 중심으로』1981, 서울 홍익대 산업 미술 대학원.
한소진 『방송 대본 이렇게 써라 : 텔레디전, 라디오 구성대본 쓰기 버라이어티 쇼에서 다큐멘터리까지』
현대 사회는 한 사람이 모두를 이끌어 가는 것이 아니라 그 사회를 구성하고 있는 다양한 사람들이 조화를 이루며 만들어가고 있다. 무한도전에는 사회를 조화롭게 이끌어 나가는 지도자와 평범한 소시민이 함께 어울린다. 개성이 넘쳐나는 젊은이들의 모습도 찾아 볼 수 있고 우리 사회의 아버지들도 찾아 볼 수 있다. 또한 항상 인정받기 원하는 자신의 모습도 찾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기애를 갖게 하는 사람도 있다. 1박2일이라는 프로그램에서 다양한 구성원들의 조화되는 모습은 우리가 원하는 공동체의 모습과는 대조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우리 사회에서 강압적 지도자에 의한 통치는 반감을 조성하고 불쾌감 내지는 거부감을 느끼게 한다.
4. 결론
지금까지 무한전의 인기요인을 캐릭터 분석을 통한 미시적 측면으로 살펴보았다. 무한도전은 반듯하고 겸손한 유반장, 악마의 탈을 쓴 힘없는 아버지 박거성, 훈남이고픈 삐침쟁이 뚱뚱보, 웃기는 거 빼고는 다 잘하는 어색한 뚱보, 똑똑한 석사 이고픈 단신 하하, 말 많고 개성 있는 돌아이, 제7의 멤버 자막이라는 캐릭터들이 함께 만들어내는 리얼 버라이어티 쇼이다. 김태호 PD는 무한도전이 재미있는 이유로 연출이 정해놓은 설정과 애드리브 사이를 구분할 수 없는 애매함에서 찾을 수 있다고 했다. 다양한 캐릭터 들이 모여 만들어내는 이러한 무모함 들이 우리에게 큰 재미로 다가오고 있는 것이다.
무한 도전은 또한 우리 사회의 축소판이라고도 할 수 있다. 우리와 함께하는 지도자와, 아버지, 소시민, 또래 친구 등 이 사회를 구성하는 다양한 구성원들이 서로 티격태격 부딪혀 가면서 하나의 사회를 만들어나가는 것과 같다고 할 수 있다.
우리 사회의 주인공은 단 한명이 아니라 그 사회를 구성하는 모든 사람들이 주인공이다. 무한도전 또한 한 멤버를 중심으로 모든 것이 돌아가는 것이 아니라 그 상황, 그 특집에 따라 중심인물이 바뀐다. 모든 사람이 그 사회의 주인공으로 참여함으로써 그들 중 어느 하나 소외되는 경우 없이 조화되는 모습을 보인다.
우리는 무한도전이라는 또 사회를 보면서 공감을 느끼게 된다. 이런저런 사건들과 힘든 경제상황 속에서 또 하나의 우리 사회를 본다는 것은 자칫하면 힘들어 질 수 있다. 하지만 그 속에서 웃음으로 공감할 수 있는 작은 이야기 하나는 큰 흡입력을 갖고 사람을 불러 모으는 것이다.
참 고 문 헌.
전규찬, 『텔레비전 오락의 문화정치학』2003, 한울
김헌식 『대중문화 심리로 본 한국사회』2007, 북코리아
강준만외 5명 『대중매체와 사회』1998, 세계사
원호택, 박현순 『인간관계와 적응-삶을 위한 심리학』1999,서울대학출판부
김영란 『공감과 체험』 2006, 한국학술정보(주)
임영제 외 4명 『21세기 디지털시대 인간관계의 이해』2003, 법문사
문지연『TV영상물에 나타난 방송자막 디자인 활용에 관한 연구』2005, 이화여대 디자인 대학원.
황경모 『컬러 TV CF 제작 기법에 대한 연구 : 자막 표현 기법을 중심으로』1981, 서울 홍익대 산업 미술 대학원.
한소진 『방송 대본 이렇게 써라 : 텔레디전, 라디오 구성대본 쓰기 버라이어티 쇼에서 다큐멘터리까지』
추천자료
- [마케팅 사례분석] 드라마 파리의 연인의 마케팅 전략
- 기업마케팅 전략분석 (제일모직)
- 힐튼호텔의 아웃소싱 현황분석과 문제점 및 개선방안
- 넥슨의 조직구조 분석 보고서
- [경제통상]미국온라인게임산업분석
- 사례로 알아보는 직무분석 관리
- MMORPG의 평균체류시간 요인분석_석사논문
- [사례분석]월트디즈니 해외진출 사례
- 뽀로로의 성공전략 분석
- 무료 일간지의 광고효과 분석,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
- 행동발달에 대한 정신분석이론의 입장과 요점을 설명.
- 하나투어 기업 분석
- [영화 분석, 강박장애] 이보다 더 좋을 순 없다 (As Good As It Gets)
- 국내 식품산업 분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