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생과 이남희의 허생의 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허생과 이남희의 허생의 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고 볼 수 있다. 여기에 반해서 다른 학생들은 허생이 돈을 벌어서 돈을 벌지 못했던 서러움, 앙갚음을 하고 돈벌이 변부자에게 모두 주었다고 비약시키고 이런 돈이야기를 이완대장을 혼내기 위해서 돈을 주었다 라는 해석도 한다. 즉 이런 글 읽기를 통해서 새로운 글 읽기를 시도하고 또 다른 사람의 독해법을통해서 자신의독해법을 비교하면서 새로움을 찾아가고 모순을 찾아가는 열림의 공간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② 주체적 행동의 신념화
왜냐 선생은 둘째 시간까지 허생전을통한 다양한 독해법 수업을 진행하지만 전교조였기 때문에 셋째 시간부터는 교장선생님을 비롯한 다른 사람들에 의해서 학교에 들어오지 못해서 허생전 수업은 이루어 지지 못한다. 이런 다양한 글읽기는 부수적으로 왜냐 선생의 전교조 활동을 통해서 제자들의 관점과 판단이 다르게 표출되고 있다. 바로 동철은 왜냐선생이 전교조 활동에 참여하는 것은 교사는 노동자가 아니기 때문에 노동조합에 가입할 수 없는 부정적인 시각에서 부정적인 글읽기를 하고 있다. 반면에 경석은 아버지로부터 들은 노동조합에 드는 것은 빨갱이고, 일반적인 의견을 전달하는 자신의 주장은 없는 맹목적인 이야기를 한다. 또 다른 학생은 선생님이 권리를 찾기 위한 하나의 방법일 뿐이라고 하며 왜냐 선생을 이해하기도 한다. 윤수와 나는 선생님의 의로운 제도적인 것에 대한 계혁을 추구하려는 의로운 교사로서 무관심한 교사나 다른데 화제를 돌리는 친구들을 보면서 슬픈 마음을 느끼기도 한다. 즉 나라는 화자는 중간자 입장에서 왜냐 선생의 행동에 대해 반성하면서 자신의 무력한 모습에 부끄러움을 느끼고 있다. 용기 없는 윤수가 나에게 선생님의 정정당당한 태도를 말하지 못한다고 한다는 데에서 자책을 느끼기도 한다. 이런 자책감의 자의식은 말잘하고 공부잘하는 자신의 모습이 때에 따라서는 덧없는 모습임을 상징하고 있다. 마치 이완대장처럼 기득권을 누리려는 보수적인 의식구조를 가지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허생과 왜냐선생의 일치 : 주체적인 행동의 신념화를 나와 윤수를 통해서 보여주는 왜냐선생의 모습은 허생의 모습과 같다고 할 수 있다.
- 전교조 활동 : 허생의 시대적 상황이 오늘날의 허생전을 배우는 상황과 일치함을 알 수 있다. 허생이 개혁에 성공하지 못했다. 만일 왜냐 선생의 신념적인 투쟁이 실패한다면 그 시대와 같을 수 없다는 것이다. 선생의 투쟁정신은 작품 서두에서부터 암시되고 험한 산길을 걸어가는 모습, 예수의고난이라는 말을 통해서 암시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허생은 상공업을 장려하지만 직접 상인이 되지 않고 조정에 들어가 실천하지 않는 모습이 부족하다. 그런면에서 허생은 비판하고 사회를 바라보는 안목이 있지만 직접 실천으로 옮기지 못하는 한계가 있는 현실 도피자로 느껴질 수 밖에 없다. 결과적으로 최시한의 허생전을 배우는 시간에서도 교장선생님과 낯선 사람들의 감시로 허생전의 세번째 수업시간은 돌아오지 않고 왜냐 선생은 학교를 떠나는 모습으로 마무리 된다. 무언의 암시로 윤수가 운동장에 가서 혼자 앉아서 있는 모습을 볼수 있다. 이런점에서 소심했던 윤수는 마지막 왜냐선생의 진리가 현실에 짓밟히는 무언의 항의표시로서 앉아있는 모습을 통해서 나의 부끄러움을 깨닫게 되는 그런 가치를 제시해 준다고 볼 수 있다. 나는 바로 윤수의 진리를 알아주기 때문에 그를 엎으러 달려 가는 것을 볼수 있다. 결국, 나와 윤수와 왜냐선생은 서로의 마음을 알기 때문에 그런행동이 전개된 것임을 알수 있다,.이런점에서 아는것과 알아주는 것은 다르다는 것이다고 볼수 있다. 나는 왜냐선생의 가르침을 실천하러 윤수에게 달려가고 잇는 것이다. 결국 문학은 실천으로서 보여주고 왜냐선생은 현실과 맞서싸우다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7.02.16
  • 저작시기2007.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50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