싸이버스페이스의 혁신상품으로서의 Afreeca 분석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싸이버스페이스의 혁신상품으로서의 Afreeca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Afreeca 소개
▶Afreeca?
▶Afreeca의 수익구조
▶Afreeca의 인터페이스

Ⅱ.(주)나우콤 소개

Ⅲ.Afreeca의 등장배경과 선정이유

Ⅳ.Afreeca에 대한 다양한 측면에서의 고찰
▶UCC의 측면에서 바라본 Afreeca
▶채팅의 측면에서 바라본 Afreeca
▶IPTV의 측면에서 바라본 Afreeca
▶P2P의 측면에서 바라본 Afreeca

Ⅴ.종합 - Afreeca의 경쟁력

Ⅵ.Afreeca의 한계점
▶저작권 문제
▶다양한 컨텐츠의 부족

Ⅶ.Afreeca의 발전방향에 대한 제언
▶UCC의 수정, 진화된 모델의 제시
▶수익성의 극대화
▶예비 방송인의 요람으로서의 가능성

본문내용

a의 등장배경과 선정이유
Ⅳ.
Afreeca에 대한 다양한 측면에서의 고찰

UCC의 측면에서 바라본 Afreeca

채팅의 측면에서 바라본 Afreeca

IPTV의 측면에서 바라본 Afreeca

P2P의 측면에서 바라본 Afreeca
Ⅴ.
종합 - Afreeca의 경쟁력
Ⅵ.
Afreeca의 한계점

저작권 문제

다양한 컨텐츠의 부족
Ⅶ.
Afreeca의 발전방향에 대한 제언

UCC의 수정, 진화된 모델의 제시

수익성의 극대화

예비 방송인의 요람으로서의 가능성
§ Afreeca 소개
▶ Afreeca?
신개념 인터넷 방송 서비스를 지향하는 ‘아프리카(Afreeca)\'는 주식회사 나우콤이 야심차게 준비한 서비스이다. 유저들이 자신의 고유한 방송국을 가지고 다양한 컨텐츠를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방식의 Afreeca는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채널로서 자리매김하고 있다.
2005년 8월부터 시범서비스를 제공하여 2006년 3월에 브랜드 런칭 및 정식 서비스를 시작한 Afreeca는 최근 UCC 문화의 등장으로 각광을 받고 있는 엠엔캐스트, 판도라 TV, 등과 같은 UCC 기반의 서비스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Afreeca는 단순히 UCC 의존적인 서비스에 그치지 않고, 개인 방송 서비스를 지향한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두고 있다. 즉,Afreeca는 누구나 방송의 주인공이 되어 시청자들과 함께 자신만의 방송 스타일과 문화를 만들어 갈 수 있는 신개념의 개인 방송 미디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PC상에서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모니터에 보여지는 그대로 방송화면에 올리는 등 영상캡처장치나 관련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다양하고 차별화된 개인 창작 방송 컨텐츠를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2006년 10월 기준, Afreeca에 최고 동시 접속자는 8만명에 이르며, 방송 채널 수는 동시간 최고 1000여개, 동시간 평균 800개, 누적 650만개에 달한다. Afreeca의 월 방문자 수는 350만명이며, 일 평균 방문자수는 30만명으로 보고 되었다. 1인당 평균 방송 채널 시청 회수는 24회로 알려져 있고, 주된 유저의 비율은 남성이 70%로 여성보다 높은 편이며, 연령 분포는 10대부터 30대 초반까지 폭넓게 분포하고 있다.
Afreeca 서비스의 서버 및 기술적 측면을 간략히 살펴보면 주식회사 나우콤은 대용량 컨텐츠의 효율적 전송, 네트워크 트래픽 컨트롤 기술 등 동영상 관련 핵심 원천기술을 자체 개발하여 서비스 안정화 및 네트워크 비용 절감 효과로 그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특히 초창기 인터넷 서비스 시대부터 이어 온 경험과 서버 축적으로 국내 최고 수준의 서비스 운영 역량을 결합하여 경쟁우위를 확보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실제로 Afreeca 서비스의 개인방송은 영상의 품질과 전송 속도 등에서 뛰어난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
브랜드 네임인 “Afreeca”는 ‘a free casting’에서 나온 것으로 ‘자유롭게 무료로 즐기는 방송’이라는 의미를 표현하고 있으며, 이미지나 텍스트 외에 자신을 표현하는 새로운 무언가를 찾고 있던 네티즌에게 Afreeca가 신대륙 발견 그 자체라는 감성적 이미지를 함께 전하기 위해 탄생한 이름이다.
▶ Afreeca의 수익구조
Afreeca 서비스의 수익 구조를 분석해보면 유료 결제와 광고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기본적으로 Afreeca에서는 무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데, 무료 서비스는 이용에 제한이 있어 유저들로 하여금 유료 결제를 권장토록 하고 있다. 유료 결제를 하게 되면 무엇보다도 영상 버퍼링이 현저히 감소하고, 방 인원 제한에 상관없이 원하는 방송국에 손쉽게 로그인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보다 더 자유로운 방송 선택이 가능하다. 그리고 방송국 로그인 및 로그아웃을 할 때마다 보게 되는 광고를 피할 수 있어 유저들의 이용을 보다 편리하게 한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Afreeca는 무료서비스를 표방하고 있고, 유료 결제시스템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모든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기에 주 수익원은 광고라고 볼 수 있다. Afreeca의 광고체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Afreeca에서 볼 수 있는 동영상 광고는 30초 분량의 동영상으로 사이즈 480*360으로 초고화질 파일로 제공된다. 예상 CTR은 3.0~5.0(%)이며 광고 단가는 7000원/CPM이지만, 금액에 따라 변경 적용이 가능하며 광고 방식은 유저가 플레이어 접속 후 최초 방송 입장을 위한 클릭을 할 때, 30초 동안 스폰서 CF 영역을 이용한다. 최초 접속 30분 이후에 타 방송 입장 시에도 유저에게 노출되도록 되어있다. 이와 같은 스폰서 광고는 총 예산 1000만원에 170만 노출을 보장하고 있고, 전체 시청자 중 10-20대 시청자가 62.8%로 높은 광고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컨텐츠는 ‘일반’과 ‘성인’으로 구분되어 타겟에 적절한 컨텐츠를 선택하여 광고를 집행한다.
Afreeca CPM 광고 상품을 보다 세분화하여 살펴보면 로딩시간 광고, 플레이어 종료 시 팝업광고, 플레이어 하단 배너광고, 플레이어 채팅창 하단 이모티콘 광고, 플레이어 하단 텍스트 광고로 구분할 수 있다.
로딩시간 광고는 사이즈 415*190으로 스틸 이미지 파일로 이루어진다. 단가는 2000원/CPM이며 초기 유저 채널 입장 시 동영상 광고 노출 후 두 번째 입장 시 기본적으로 보이게 되는 로딩시간에 배너가 노출되는 방식이다. 유저들이 채널에 입장하기 전 기다리는 시간을 활용하기 때문에 주목도가 높은 광고라고 할 수 있다.
플레이어 종료시 팝업 광고는 사이즈 260*130으로 2컷 이하의 이미지 파일로 이루어진다. 단가는 2000원/CPM이고 어플리케이션 형태의 Afreeca 서비스의 특성을 살리기 위해 종료 선택 얼러트 창에 삽입되는 배너형태의 광고이다. 이용자들이 반드시 선택해야하는 창으로 인해서 주목도가 타 배너에 비해 상당히 높으며, 이로 인해 프로모션 등 직접적인 결과를 소구하는 형태의 광고를 제공한다.
플레이어 하단 배너 광고는 100만원/1일고정 의 단가에 최소 집행일 3일 이상으로 예상 노출이 일 200만 임프레션이 보장되고, 사이즈는 184*40으로 스틸이미지로 제작된다.
  • 가격2,5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7.02.18
  • 저작시기2007.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53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