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광수와 무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이광수와 무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이광수의 생애와 배경, 작품

● 당시의 사회적 흐름과 시대상황

● 작품의 현대적 해석
- 무정에서 보여지는 사랑관
- 무정과 연관한 사랑의 의미

본문내용

기회를 무시한다면 운명적인 사랑은 당신을 스쳐갈것입니다. 사랑은 기회를 잡는 사람에게 다가옵니다.
4. 정보
선형이가 냉정한 인물인지 또는 열렬한 정적인물인지, 그의 성격이 어떠하며 기호(旗號)가 어떠한지 그의 장처(長處)가 무엇이며, 단처가 무엇인지..중략... 그저 맹목적으로 사랑한 것이다.
- 사랑도 정보전이다. 상대를 알아야만 그(그녀)를 이해할 수 있다. 그녀가 좋아하는 것, 지금 이순간 남자,여자가 바라는 것을 알아차리고 원하는 행동을 할 수 있는 사람이라면 언제든지 사랑에서 승리할 수 있다.
5. 키스
우선은 악수를 청하여 보고 다음에 키스를 청하여 보리라. 그래서 저편에 응하면 사랑이 있는표요, 응하지 않으면 사랑이 없는 것으로 알리라 한다.
- 형식의 단순한 면을 볼 수 있는 한부분이지만 키스는 사랑을 확인하는 최초의 스킨십.사랑하지 않으면 절대 할수 없는 친밀하고 아름다운 사랑의 언어, 눈을 감는 이유는 서로를 바라보는 것이 눈부시기 때문입니다.
6. 장애물
- 이작품에서 특별히 사랑을 막는 장애물은 없습니다. 단지 삼각관계에서의 심리적 갈등이 있을뿐입니다. 그러나 선형의 아버지인 김장로가 선형과 형식의 사랑을 반대하는 이였다면 선형의 무미건조한 사랑이 변했을지도 모릅니다.
7. 작품에서 영채와 선형과 형식은 모두 한번이상 울게 됩니다. 영채는 지난날의 설움과 고빔을 말하면서 또 기차에서 형식이 떠난 것을 생각하며 선형은 사랑과 질투를 하면서 그리고 형식은 영채의 고통을 생각하면서..
- 남자를 꼼짝 못하게 만드는 만드는 무기. 너무 횟수가 잦다면 효과가 반감 되겠지만 그 조절만 잘 한다면 결정적인 순간에 99%효과를 낼 수 있는 비장의 무기^^;
8. 불안
그러나 선형의 가슴은 그렇게 평안하지 아니하였다. 형식이가 영채를 찾아가고 없는 동안에 더욱 마음이 산란하게 되었다.
- 사랑한다면 무조건 상대를 편하게 만들어 주는 것이 미덕일까? 너무 편안하면 한눈을 팔게 되는 것이 사람의 심리. 가끔은 그의 불안을 자극하는 것이 사랑을 지키는 포인트일수 있습니다.
9. 용기, 대화, 표현...
“한 마디로 대답해주십시오...저를 사랑하십니까?”형식이 영채에게 한 이대사에 이 3가지가 모두 포함된다고 생각하기에 하나로 묶었다. 원래이부분은 선형의 심리적갈등과 구시대적인 연애관을 나타내는 부분입니다.
- 사랑은 두 사람과의 싸움이 아니라 자신과의 싸움이다. 그리고 그 싸움의 무기는 누군가를 좋아한다는 것을 인정하는 용기. 그사람의 거절을 무릅쓰고 사랑을 고백하는 용기. 그의 무심함에 사랑할 수 있는 용기가 필요합니다. 갑돌이와 갑순이가 이루어지지 않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사랑하면서 겉으로는 ‘안그런척’했기 때문입니다. 대화와 표현이 사랑으로 가는 지름길이라고 생각합니다.
완벽한 사랑을 고집하는 것은 다른 사람과 가까워지는데서 생기는 불안을 회피하는 방법에 불과하고 이세상의 어떠한 연인도 어떤 사랑도 완벽할 수는 없다. 사랑은 자신의 꿈을 실현시켜주기 위해서 하는 것이 아니라 상대방이 무엇을 원하는지를 알고 싶어하며 무엇보다도 상대방을 있는 그대로 보여주며 자기가 원하는 식으로 바꾸기를 요구하지 않고 개성을 존중하는 태도를 가지라는 것을 이광수는 작풍을 통해 보여주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참고문헌
이광수 ‘무정’(문학사상사 1992)
이광수 ‘나’(실버문고)
이광수 소설의 애정 삼각관계(신현재 한국국어교육연구회/ 국어교육 1985)
1910년대 이광수의 문학론과 작품의 관련양상에 대한 고찰
- 손정수 1996 일지사(한국일보)
- 한국학보 vol 22 . NO4
근대를 향한 시선
이광수‘무정’에 나타난 ‘연애’의 성립과정을 중심으로

키워드

이광수,   생애,   무정,   사랑,   연애관,   신조어
  • 가격1,2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7.02.22
  • 저작시기2007.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60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