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며
2. 본론
(1) 프로그램 분석
(2) 프로그램 기획의도
(3) 프로그램 기본 컨셉
(4) 프로그램 기본 내용 분석
(5) 프로그램 소구력
(6) 프로그램 혁신성
(7) 타겟 시청자
(8) 타겟 광고주
(9) 프로그램 시청률 분석
(10) 프로그램 보완점
3. 마무리
2. 본론
(1) 프로그램 분석
(2) 프로그램 기획의도
(3) 프로그램 기본 컨셉
(4) 프로그램 기본 내용 분석
(5) 프로그램 소구력
(6) 프로그램 혁신성
(7) 타겟 시청자
(8) 타겟 광고주
(9) 프로그램 시청률 분석
(10) 프로그램 보완점
3. 마무리
본문내용
아나운서(김경란) 한 명, 그리고 연예인 게스트들과 50명의 감정단으로 출연자 구성해 진행.
⇒ 지식 전달보다는 흥미와 오락성 위주의 진행으로 일관하는 경향
네모퀴즈 답 공개 후 해답 VCR을 보여 줄 때 진행자와 게스트들의 쓸데없는 멘트나 웃음을 유발하려는 과도한 끼어들기로 성우의 설명이 묻혀 지는 경우가 많음.
⇒ 제시된 명제로 인해 시청자가 의아해 했던 내용을 설명해주는 이 부분에 진행자와 게스트들의 잡음이나 사족이 들어가서 오히려 프로그램에 대한 몰입과 원활한 시청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
▶ 해답 VCR 제공 시에는 출연자들의 마이크를 줄이거나 꺼서 시청자가 제공되는 정보에 집중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이 필요.
◆ 마무리 : ‘즐거운 지식’을 담는 ‘신나는 그릇’
오락 프로그램이란 그릇으로 지식을 전달하는 것처럼 어려운 일이 또 있을까? 어쩌면 영원히 평행선으로 가야할 이 두 사안을 스펀지는 프로그램내의 여러 가지 ‘도구’를 통해서 하나로 붙이려 했고, 또 이를 통해 기존 분리되어 있던 시청자 계층을 토요일 저녁시간에라도 모이게 하고자 했다. 그 실효는 어느 정도 입증이 되었던 바. 이제 스펀지가 나아가야 할 방향은 하나라고 생각한다. 지식이란 따분하다. 라는 기존의 고정관념을 깼듯이, 무엇이든 ‘새로운 것’만을 요구하는 현대사회에서 기존의 아이템을 가지고도 얼마든지 ‘새롭게’ 보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렇다면, 급변하는 매체의 혼동기 속에서 ‘스펀지’가 하나의 새로운 대안을 보여주는 사례가 될 것이다.
무엇보다 스펀지는 보다 참신한 기획으로 네모 퀴즈라는 ‘신나는 그릇’에 기존의 인포테인먼트 프로그램들이 재료로 삼았던 ‘지식 버라이어티’라는 ‘즐거운 지식’을 담았기에 높은 시청률과 사회적인 이익에 공헌할 수 있는 공익의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지식 정보화 사회에 따른 지식의 추구라는 시대적인 트렌드를 ‘오락’이라는 포장지로 잘 감쌈으로써 웃음을 추구하는 시청자들에게 더욱 어필될 수 있었다.
이번 스펀지 프로그램 분석을 통해 더욱 확실해질 수 있었던 것은 ‘방송’이라는 이중적인 시장이 추구하는 상업성과 공익성의 양면을 추구하기란 무엇보다 힘든 일이지만, 그 물과 기름처럼 섞이지 않는 두 요소를 참신한 아이디어라는 신나는 그릇에 좋은 기획력이라는 배합제를 가지고 잘 혼합을 시킨다면 어떤 프로그램보다 ‘좋은’ 프로그램이 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 지식 전달보다는 흥미와 오락성 위주의 진행으로 일관하는 경향
네모퀴즈 답 공개 후 해답 VCR을 보여 줄 때 진행자와 게스트들의 쓸데없는 멘트나 웃음을 유발하려는 과도한 끼어들기로 성우의 설명이 묻혀 지는 경우가 많음.
⇒ 제시된 명제로 인해 시청자가 의아해 했던 내용을 설명해주는 이 부분에 진행자와 게스트들의 잡음이나 사족이 들어가서 오히려 프로그램에 대한 몰입과 원활한 시청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
▶ 해답 VCR 제공 시에는 출연자들의 마이크를 줄이거나 꺼서 시청자가 제공되는 정보에 집중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이 필요.
◆ 마무리 : ‘즐거운 지식’을 담는 ‘신나는 그릇’
오락 프로그램이란 그릇으로 지식을 전달하는 것처럼 어려운 일이 또 있을까? 어쩌면 영원히 평행선으로 가야할 이 두 사안을 스펀지는 프로그램내의 여러 가지 ‘도구’를 통해서 하나로 붙이려 했고, 또 이를 통해 기존 분리되어 있던 시청자 계층을 토요일 저녁시간에라도 모이게 하고자 했다. 그 실효는 어느 정도 입증이 되었던 바. 이제 스펀지가 나아가야 할 방향은 하나라고 생각한다. 지식이란 따분하다. 라는 기존의 고정관념을 깼듯이, 무엇이든 ‘새로운 것’만을 요구하는 현대사회에서 기존의 아이템을 가지고도 얼마든지 ‘새롭게’ 보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렇다면, 급변하는 매체의 혼동기 속에서 ‘스펀지’가 하나의 새로운 대안을 보여주는 사례가 될 것이다.
무엇보다 스펀지는 보다 참신한 기획으로 네모 퀴즈라는 ‘신나는 그릇’에 기존의 인포테인먼트 프로그램들이 재료로 삼았던 ‘지식 버라이어티’라는 ‘즐거운 지식’을 담았기에 높은 시청률과 사회적인 이익에 공헌할 수 있는 공익의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지식 정보화 사회에 따른 지식의 추구라는 시대적인 트렌드를 ‘오락’이라는 포장지로 잘 감쌈으로써 웃음을 추구하는 시청자들에게 더욱 어필될 수 있었다.
이번 스펀지 프로그램 분석을 통해 더욱 확실해질 수 있었던 것은 ‘방송’이라는 이중적인 시장이 추구하는 상업성과 공익성의 양면을 추구하기란 무엇보다 힘든 일이지만, 그 물과 기름처럼 섞이지 않는 두 요소를 참신한 아이디어라는 신나는 그릇에 좋은 기획력이라는 배합제를 가지고 잘 혼합을 시킨다면 어떤 프로그램보다 ‘좋은’ 프로그램이 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추천자료
토론 -안티조선일보 운동! 언론자유의 침해인가, 소비자운동인가’
한국 옴브즈만 제도에 대한 연구
판소리가 새롭게 태어날 수 있는 방안에 살펴보고, 기획안을 제작하여 판소리의 대중화에 대...
[옴부즈맨제도][외국 옴부즈맨제도 사례][시청자참여][옴부즈맨프로그램][방송]옴부즈맨제도...
[시청자][시청자운동][시청자운동 유형][시청자운동 현황][시청자운동 한계][시청자운동 과제...
tv 올바로 보기
[옴부즈맨프로그램][시청자평가][시청자주권]옴부즈맨프로그램의 개념과 옴부즈맨프로그램의 ...
라디오 시장의 개척자 ‘손석희의 시선집중’의 경영 전략
[미디어저널리즘][미디어정치][TV저널리즘]미디어저널리즘의 기능, 미디어저널리즘의 이론적 ...
[TV저널리즘][티비저널리즘]TV저널리즘(티비저널리즘)의 역사, 미디어정치시대의 TV저널리즘(...
[대중문화와 매스컴 보고서] SBS '짝'
[여성복지론] 외모지상주의사회에서 여자청소년의 임파워먼트 (클라이언트의 상황·특성과 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