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음식] 북한 식생활의 발자취와 각 도별 음식과 특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북한음식] 북한 식생활의 발자취와 각 도별 음식과 특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북한 식생활의 발자취
1) 해방 이후 전쟁 시기까지의 식생활
2) 1950년대의 식생활
3) 1960년대의 식생활
4) 1970~90년대의 식생활

2. 북한 음식의 지역별 특징과 대표적인 음식
● 함경도
<대표적인 음식>
* 회냉면
* 가릿국
* 동태순대
* 닭비빔밥
* 명태식해
● 자강도와 양강도
● 평안도
<대표적인 음식>
* 평양냉면
* 어복쟁반
* 온반
* 노티
● 황해도
<대표적인 음식>
* 되비지탕
* 행적
* 남매죽
* 김치밥
* 김치말이
* 고수김치

본문내용

먹는다.
● 황해도
황해도는 북부 지방의 곡창 지대로 연백평야와 재령평야에서의 쌀 생산이 풍부하고 잡곡의 생산도 많다. 특히 남부 지방 사람들이 보리밥을 즐기듯이 조밥을 많이 해 먹는다. 곡식의 질이 좋아 가축들의 사료도 맛있어서 고기의 맛도 유별하다고 한다.
밀국수나 만두에는 닭고기가 많이 쓰인다. 해안 지방은 조석 간만의 차가 크고 수심이 낮으며 간석지가 발달해서 소금의 생산이 많다. 황해도는 인심이 좋고 생활이 윤택하여 음식도 양이 풍부하고 요리에 기교를 부리지 않아 구수하면서도 소박하다. 만두도 큼직하게 빚고 밀국수를 즐겨 먹는다. 간은 짜지도 싱겁지도 않아 마찬가지로 서해를 끼고 있는 충청도 음식과 비슷하다.
김치에는 독특한 맛을 내는 고수와 분디라는 향신 채소를 쓴다. 미나리과에 속하는 고수는 강한 향이 나는 풀로 중국에서는 향초라고 한다. 서울이나 다른 지방 사람에게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배추김치에는 고수가 좋고 호박김치에는 분디가 제일이다. 호박김치는 충청도처럼 늙은 호박으로 담가 그대로 먹는 것이 아니라 끓여서 익혀 먹는다. 김치는 맑고 시원한 국물을 넉넉히 하여 만드는데 특히 동치미 국물에 냉면국수나 찬밥을 말아 밤참으로 먹는다.
<대표적인 음식>
* 되비지탕
콩을 불려 맷돌에 간 다음 돼지고기나 돼지뼈를같이 넣고 볶아 끓이는 찌개이다. 새우젓으로 간을 맞추는데 흰깨를 함께 넣어 갈기도 하고 배추김치나 배추우거지를 넣고 끓인다.
* 행적
배추김치와 돼지고기, 고사리, 실파를 대꼬치에 꿰어 밀가루와 계란 푼 것을 입혀 만든 지짐 누름적이다.
* 남매죽
팥을 무르게 삶아서 어레미로 걸러 끓이다가 찹쌀가루를 물에 풀어 넣고 멍울이지지 않도록 묽게 끓인다. 밀가루를 말랑하게 반죽하여 얇게 밀어서 썰어 칼국수를 만들어 끓는 팥죽에 넣고 소금으로 간을
맞춘다.
* 김치밥
겨울철에 배추김치와 돼지고기를 잘게 썰어 양념하여 볶다가 물을 붓고 끓인다. 끓어오르면 씻은 쌀을 넣어 밥을 짓는다. 뜸을 잘 들인 뒤에 고루 섞어서 밥그릇에 담고 양념장을 내어 비벼 먹도록 한다.
* 김치말이
추운 겨울밤에 즐기는 야식으로 시원한 동치미 국물에 닭을 삶아 식힌 육수를 합하여 국물을 준비한다. 대접에 찬밥을 담아 위에 김치와 볶은 고기를 얹고 국물을 부어서 참기름과 깨소금을 넣어 먹는다.
* 고수김치
고수를 하룻밤 물에 담가서 독한 맛을 뺀 다음 바지락이나 조개젓, 황새기젓으로 버무려서 김치를 담근다.

추천자료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7.03.06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79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