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성주의적 접근의 멀티미디어 교육용 소프트웨어 활용수업 및 전략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서론:멀티미디어 교육
1. 멀티미디어교육의 개념
2. 멀티미디어의 교육적 활용
1) 상호작용 비디오 시스템
2) 하이퍼미디어 시스템
3)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
4) 쌍방향 케이블 텔레비전 시스템
5) 화상강의 시스템
3. 멀티미디어의 특성(이점과 제한점)

II. 구성주의 개념과 이해

III. 구성주의 학습 원리
1. 학습설계의 원리
2. 학습자 역할
3. 구성주의에서의 교사의 역할
4. 학습환경
5. 학습목표와 평가

IV. 멀티미디어 교육용 소프트웨어 활용수업 진행을 위한 단계와 전략

V. 결론

본문내용

하는 방법으로 가능하면 교사가 본 차시를 통해 달성한 목표와 의의에 대해 언급하므로써 학습자가 본 차시 수업을 자신의 삶에 연결시키고, 수업에서 배운 내용에 대한 의미를 발견할 수 있도록 마무리 짓는다. 또한 학생들의 반응을 평가하는 의견 수렴의 기회를 갖으며, 이번 차시의 수업 내용을 심화할 수 있는 과외 학습 활동이나 다음 차시의 수업을 위해 예습해야 할 과제를 미리 내어 주는 것이 다음 수업 진행을 위한 동기유발에 좋을 것이다.
V. 결론
우리는 3000년 동안의 농경 사회와 300여년 동안의 산업 사회를 지나 정보화 사회로 접어들었다. 정보화 사회는 농경 사회나 산업 사회와는 달리 30년이면 그 궤도에 충분히 오를 것으로 미래 학자들은 예측하고 있다. 이렇게 빠른 속도로 변화가 예측되는 정보화 사회에 대응하기위 우리 교육은 어떠한 준비를 하고 있는가? 아직 우리 학교는 새로운 사회로 나아가기 위한 준비보다는 죽어가는 제도를 향해 뒷걸음질 치고 있는 것 같다. 학교의 방대한 에너지는 '산업화 인간(Industrial Man)' 즉, 그들이 살아있는 동안에 아무런 쓸모 없을 제도 속에서 생존하도록 훈련된 사람들을 생산해 내는 데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눈 먼 두더지가 아무 생각없이 땅을 파며 전진하다가 땅이 무너진 후에야 자신의 잘못을 아는 것 같이, 우리가 현재 가지고 있는 교육 체제는 산업사회의 대량생산 개념에서 벗어나지 못한 채 생각없이 앞으로 앞으로 전진하는 눈 먼 두더지와도 같다.
세계 여러나라는 우리가 현재 감지하고 있는 교육의 위기를 수년전부터 인식하고, 21세기를 대비한 새로운 교육 체제를 수립하는 데 온갖 노력을 하고 있다. 미국은 'America 2000'로 교육 개혁을 진행하고 있으며, 유럽은 'Erasmus 프로그램'과 산학협동교육인 'COMETT'등 다양한 교육제도로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이렇게 세계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교육 개혁의 핵심은 종전의 교육 체제와 방법으로는 변화하는 21세기에 활동할 인력을 양성 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에 우리나라도 정보화 사회에 걸맞는 교육체제의 수립을 위해 대통령 자문 기관인 교육개혁위원회가 1995년 5월 '세계화·정보화 시대를 주도하는 신교육체제 수립을 위한 교육개혁방안'이라는 연구 보고서를 발표하였다. 그 보고서는 현재 우리가 당면하고 있는 교육 개혁의 필요성을 다음과 같이 서술하고 있다. "지금 우리 앞에 다가오는 변화는 20세기로부터 21세기로 넘어가는 단순한 세기적 변화가 아니다. 이 변화는 문명사적 변화이다. 우리가 지금까지 겪어 온 문명은 산업문명이었다. 농경문명에 뒤이어 나타난 이 산업문명의 도전에 우리가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하여 역사의 실패자가 되었던 쓰라린 경험을 우리는 가지고 있다. 이제 서서히 그 모습을 드러내고 있는 새로운 문명은 '정보화 사회', '지식·사회'란 말로 표현되고 있다. 우리가 지금부터 허리띠를 동여매고 대처하여야 하는 것은 바로 이 새로운 형태의 문명이다(p.1,교육개혁위원회, 1995)."라고 보고하면서 정보와 지식이 사회를 움직이는 원동력이 되는 정보화 사회에서는 최첨단 정보기술을 교육에 도입하여 교육의 정보화에 성공하여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최첨단 정보기술 혁명은 교사의 역할, 공부하는 장소로서 교실의 개념, 교육방법, 교육과정 등 지금까지의 학교 교육체제에 엄청난 변화를 일으키리라고 예측하고 있다. 첨단 정보통신 기술은 교육에 있어 시간과 공간에 대한 전통적인 개념을 완전히 바꾸어 놓을 것이므로, 학생은 원하는 시간에 학교에서 또는 집에서 명강의를 보고 들으며 혼자 학습할 수 있는 열린교육의 사회안에서 살게 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미래에 관한 예측들은 우리의 교육이 변하지 않으면 않된다는 긴박감을 주고 있으며, 지금은 바로 개혁이 구체적, 단계적으로 추진되어야 할 때라는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정보화 사회에 대응하는 교육 개혁의 한 가지 방안으로 제시된 최첨단 정보기술을 교육에 접목시킬 때에 활용 가능한 이론과 구체적인 방법론으로 구성주의 이론을 적용한 멀티미디어 활용 교실 수업의 절차적 단계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것은 하나의 가능성을 제시한 것이며, 향후 교사의 다양한 현장 연구와 창의적인 방법의 개발과 적용에따라 더욱 효과적인 방법과 사례가 많이 개발될 것을 기대한다.
참고문헌
교육부,멀티미디어교육지원센터, 「교육용 소프트웨어 편람」, 1998
김명호,이윤준, 「멀티미디어(개념 및 응용)」, 홍릉과학출판사, 1997
멀티미디어교육지원센터,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교육 방법과 적용」, 워크숍자료 집, 1997
멀티미디어교육지원센터, 「멀티미디어 교육」98여름호 통권3호, 1998
변영계,김영환,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학지사, 1998
서울특별시 교육청, 「정보화교육 교사연수 교재」, 1998
서울특별시중부교육청, 「멀티미디어활용은 이렇게」, 2001
김난수·김인회 외(1982). 평생교육론. 서울:양서원
김충기(1995). 자기 교육력이란 무엇인가?. 서울교육 95가을호 24-27.
Brookfield, S.(1986). Understanding and facilitating adult learning. San Francisco: Jossy-Bass Publishers.
Johnson, Johnson, Houlubec과 Roy(1984). Circles of learning:cooperation in the classroom. in Washington. D. C.,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Kasworm(1983). Self-directed learninig and lifespan develop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lifelong education, 2(1), 29-46.
Spear와 Mocker(1984). The organizing circumstance: Environmental determinants in self-directed learning. Adult education quarterly, 35, 1-10.

추천자료

  • 가격2,8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7.03.22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02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