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러시아 혁명]
1.러시아의 구체제
2.혁명사상의 전개와 혁명운동의 성장
3.1905년 혁명과 스톨리핀의 체제개혁 시도.
4. 제국주의전쟁에서 사회주의 혁명으로
1)2월 혁명
2)10월 혁명
5.러시아 혁명을 어떻게 볼것인가.
[소련의 사회주의 실험]
1.혁명의 과제와 구조적 제약
2.소비에트 체제의 확립과 공업화의 모색(1917~1918)
1)혁명직후의 개혁과 독일과의 강화
2) 내전과 전시(戰時) 공산주의
3) 신경제정책
3.사회주의 토대의 건설과 시련- 공업화, 대조국전쟁, 냉전(1928~1953)
1)급속한 공업화와 농업 집단화
2)대조국전쟁 (제2차세계대전에 대한 소련쪽의 공식명칭)
3)냉전
4)사회주의의 희망과 좌절(1953~1991)
5.맺는말
1.러시아의 구체제
2.혁명사상의 전개와 혁명운동의 성장
3.1905년 혁명과 스톨리핀의 체제개혁 시도.
4. 제국주의전쟁에서 사회주의 혁명으로
1)2월 혁명
2)10월 혁명
5.러시아 혁명을 어떻게 볼것인가.
[소련의 사회주의 실험]
1.혁명의 과제와 구조적 제약
2.소비에트 체제의 확립과 공업화의 모색(1917~1918)
1)혁명직후의 개혁과 독일과의 강화
2) 내전과 전시(戰時) 공산주의
3) 신경제정책
3.사회주의 토대의 건설과 시련- 공업화, 대조국전쟁, 냉전(1928~1953)
1)급속한 공업화와 농업 집단화
2)대조국전쟁 (제2차세계대전에 대한 소련쪽의 공식명칭)
3)냉전
4)사회주의의 희망과 좌절(1953~1991)
5.맺는말
본문내용
노동수용소는 거의 사라지고 1970년대 중반까지 급속한 경제발전을 바탕으로 인민의 생활수준이 꾸준히 개선되었다. 농업에 대한 엄청난 투자로 인해 1950년 이후 농업생산은 급증했다. 허나 1970년대부터는 여러 이유로(특히 농업적 측면) 소련경제가 침체를 겪게 되고 이로 인해 국가기구와 인민의 대립관계가 생겨날 조짐을 보인다. 1977년, 브레즈네프가 공식적으로 국가원수가 되면서 1936년 이래의 스탈린 헌법을 새헌법으로 대체한다. 브레즈네프 헌법이라고 불린 이 헌법은 소련의 네 번째 헌법으로 당시 소련 사회를 ‘발달한사회주의 사회’ ‘전인민국가’로 표현했다. 브레즈네프 시대 후반기가 되면 경제성장이 둔화되고 이런 상황에서 미국과의 군비경쟁은 계속 되었다. 경제가 어려워질수록 내부계층간의 갈등은 심화되어 각 민족은 연방체제에 대한 손익평가로 저마다 피해의식을 갖게 된다. 이 상황은 1980년대로 넘어가면서 더욱 심화되어 사회는 전반적으로 무력감에 빠진다. 체제에 대한 인민의 불만은 계속 쌓였고 이 양자 간의 괴리 과제를 고르바초프가 떠맡게 된다. 이때, 여러 주장의 각기 다른 세력들로 인해 공산당 세력은 사분오열되고 이런 혼란이 계속 되는 가운데 공산당 내 일부 보수파의 쿠데타를 감행하지만 '3일천하'로 끝나고 말았다. 결과, 공산당은 권위실추와 함께 불법화 되었고 자본주의 신봉자 옐친 러시아 대통령을 중심으로 급속히 세력개편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새로운 연방체제의 모색 노력도 별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결국 소련은 1991년 말에 해체라는 비운을 맞게 된다.
5.맺는말
소련의 창건 이래 끊임없이 계속된 위기적 상황으로 체제의 개혁 시도는 근본적인 제약을 받지 않을 수 없었다. 10월혁명 직후의 내전, 1920년대의 국제적 긴장. 1931년대의 파시즘 대두, 제 2차세계대전, 대전 수의 냉전 등 직 간접적인 체제에 대한 위협 속에서 국방,과학,중공업 분야를 강조하는 한편 인민의 생활개선이나 정치적 개혁은 일단 뒤로 미뤄두는 경향을 보였다. 1970년대 후반부터 뚜렷해진 체제의 위기 속에서 인민의 불만은 고조되었고 공산당은 불만의 표적이 된다. 고르바초프의 개혁시도는 소련체제가 안고 있는 모순의 해결이 아니라 소련 자체의 해체를 가져온 폭발의 뇌관 구실을 하게 되었던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교재를 중심으로 하여 책 본문의 소단원 제목별로 요약하였습니다.
*학습참여도 관련 글은 뒷장에 같이 첨부하겠습니다.^^
5.맺는말
소련의 창건 이래 끊임없이 계속된 위기적 상황으로 체제의 개혁 시도는 근본적인 제약을 받지 않을 수 없었다. 10월혁명 직후의 내전, 1920년대의 국제적 긴장. 1931년대의 파시즘 대두, 제 2차세계대전, 대전 수의 냉전 등 직 간접적인 체제에 대한 위협 속에서 국방,과학,중공업 분야를 강조하는 한편 인민의 생활개선이나 정치적 개혁은 일단 뒤로 미뤄두는 경향을 보였다. 1970년대 후반부터 뚜렷해진 체제의 위기 속에서 인민의 불만은 고조되었고 공산당은 불만의 표적이 된다. 고르바초프의 개혁시도는 소련체제가 안고 있는 모순의 해결이 아니라 소련 자체의 해체를 가져온 폭발의 뇌관 구실을 하게 되었던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교재를 중심으로 하여 책 본문의 소단원 제목별로 요약하였습니다.
*학습참여도 관련 글은 뒷장에 같이 첨부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