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테니스역사
2.우리나라 역사
3.기술
4.규칙
5.심판
2.우리나라 역사
3.기술
4.규칙
5.심판
본문내용
떨어뜨리는 드롭발리와 발리로서 상대의 키를 넘겨보내는 발리 로브가 있다.
다) 스매시
스매시도 발리와 같이 볼이 지면에 닿기 전에 볼을 처리하는 타법이지만 이것은 볼이 높이 올 때 처리하는 기술로서 다음 두 가지가 있다.
a) 오버 핸드 스매시
자기 키를 넘어가는 볼을 점프하면서 머리 위에서 강하게 내리치는 기술이다.
b) 그라운드 스매시
볼이 너무 높으면서도 짧을 때, 또는 햇빛 때문에 직접 때릴 수 없을 때 일단 볼을 지면에 닿게 하여 튀어 오른 볼을 강하게 내리치는 기술이다.
라) 로브
로브란, 볼을 높이 올려치는 것을 말하며 다음 두 가지 형태의 로브가 있다.
a)공격적인 로브
상대편 선수들이 네트 앞으로 바짝 전진하여 그 뒤가 비어 있을 때 상대편 선수들의 키를 살짝 넘기는 타법을 말하며 의도적인 로브이다.
b) 방어적인 로브
상대방의 강한 공격에 밀려 어쩔 수 없이 볼을 함께 올려 위기를 모면하려고 하거나 시간을 벌기 위한 방법으로 가능한 한 높게 올리는 것이다.
마) 서브
서브란, 자신이 볼을 가지고 공격할 수 있는 단 한번의 기회로서 서브의 좋고 나쁨이 승패를 좌우한다.
서브에서 중요한 것은 정확함, 스피드, 그리고 코스이다. 서브의 종류는 그라운드 스트로크에서와 같이 플랫, 스핀, 슬라이스의 세 가지 방법이 있다.
a) 플랫 서브
볼에 회전을 주지 않고 라켓 면의 한 가운데에 직각으로 맞추는 것으로 가장 강한 서브이지만 정확한 것이 부족한 것이 결점이다.
b) 스핀 서브
볼을 아래에서 위쪽으로 감아 씌우듯이 하여 볼에 회전을 주는 서브로 아메리칸 트위스트 서브라고도 하며, 네트를 넘는 순간 볼의 높이가 가장 높아 안전하며 또한 지면에 떨어진 후 높게 튀지만, 허리가 유연하고도 고도의 기술이 필요하다.
c) 슬라이스 서브
이 서브는 볼을 옆으로 문지르듯 하여 옆으로의 회전을 주는 서브로 대개 제2회 째의 서브에 많이 사용한다.
타이 브레이크(Tie-Break)
게임을 하다보면 동호인들이 잘못 인식하고 있는 부분이 타이 브레이크이다. 타이 브레이크 시스템은 선수보호를 위해 만들어진 시스템으로, 게임 스코어가 6:6 동점을 이루었을 때 타이 브레이크가 적용된다. 13번째 게임의 결과가 세트를 결정하게 되는 것이다. 7점을 먼저 따면 한 세트를 이기게 된다. 타이 브레이크 또한 듀스가 있고, 2점을 연속적으로 얻어야만 세트의 승자가 결정된다. 타이 브레이크가 적용된 게임은 8:6 또는 9:7 등과 같은 2점차의 상황일 때만 끝난다. 타이 브레이크가 걸린 상황에서의 스코어는 15:0 이나 30:0 이 아닌 탁구에서와 마찬가지로 1:0, 2:0 으로 부른다
심판 보기
한 경기를 이기기 위해서는 3세트 경기이면 2게임을 먼저 따면 되고, 큰 대회의 남자경기 같은 경우는 종종 5세트를 하므로 3세트를 먼저 따야 이긴다.
한 세트를 이기려면 6게임을 이겨야 한다. 6:4, 6:3, 6:2, 6:1, 6:0이 바로 게임 스코어를 숫자로 나타낸 것이다. 게임 스코어 5:4에서 상대편이 1게임을 얻어 5:5가 되면, 연속 두 게임을 이겨 7:5가 되어야 한 세트를 이기게 되는 것이다. 만약 6:6의 타이 스코어가 되면 타이 브레이크가 적용된다.
한 게임은 4점을 먼저 얻는 플레이어가 이기게 된다. 4번째 점수를 따기 전에 상대방이 3점을 얻어 동점을 이루었을 때는 한 플레이어가 상대방보다 2점을 더 많이 획득해야 한 게임이 끝난다.
점수를 부르는 방식은 다른 구기 종목들과 비교해서 독특하다. 스코어 부르는 법은 1점을 획득했을 때는 \'15(fifteen)\' 2점일 경우 \'30(thirty)\', 3점일 경우 \'40(forty)\'이며, 4점재를 얻을 때는 \'게임\'의 순서로 한다. 게임 스코어가 40:40의 동점일 경우를 \'듀스(deuce)\'라 부른다. 한 플레이어가 연속하여 2점을 얻어 한 게임이 끝나기 전까지 두 선수간의 점수차가 1점 차이일 경우는 \'어드밴티지 서버(advantage server)\' 또는 \'어드벤티지 리시버(advantage receiver)\' 로 스코어를 부른다. 스코어를 부를 때는 먼저 서비스를 넣는 플레이어의 점수를 먼저 부르고 리시버의 점수를 나중에 부른다. 예를 들면 15:0 또는 30:0의 경우, 15와 30이 서비를 넣고 있는 플레이어의 점수이며, 0이 리시버의 점수이다. 듀스의 경우 서버가 먼저 1점을 획득했을 경우 \'어드밴티지 서버\' 이며, 리시버가 먼저 점수를 획득했을 경우 \'어드밴티지 리시버\'이다.
시합에 참여하기 시작했을 때부터 당신은 플레이어로서뿐 아니라 동시에 심판의 역할도 수행해야 한다. 당신의 코트에 떨어지는 모든 공에 대해 스스로가 심판할 의무와 권리를 갖는다. 종종 승부 때문에 마음이 흔들리기도 하지만, 정정당당하게 행동해야 할 것이다.
point score - 0 / 15 / 30 / 40
가장 작은 단위 스코어
40-40은 듀스(DEUCE)라고 하며, 한 쪽이 연 2 point를 얻어야 한다.
game score - 1 / 2 / 3 / 4 / 5 / 6
point score가 모여 한 게임을 이룬다.
먼저 6게임을 이긴 쪽이 한 세트를 따는 것이다.
set score - 1 / 2 / 3 / 4 / 5
game score 6 이 1세트가 된다.
테니스의 기술
1.포핸드 스트로
1) 플랫(FLAT) 포핸드
플랫포핸드는 허리 높이의 공을 치기에 매우 효과적이지만 실수의 가능성이 매우 높은 타법이다.
플랫 포핸드의 요령
1) 가장먼저 공의 움직임을 보면서 라켓을 뒤로 뺀다.
2) 어깨가 자연스럽게 돌아 가게된다.
3) 공의 움직임을 보면서 타점과 위치를 잡는다.
4) 팔꿈치를 약간 구부려서 임팩트시나 팔의 움직임을 자유롭게 한다.
5) 공과 라켓이 수직으로 맞을 수 있게 자연스러운 동작의 연속으로 스윙을 한다.
6) 라켓과 공의 임팩트가 이루어 지면 라켓은 몸을 가로 질러 연속 동작을 한다.
2) 탑스핀(TOP SPIN) 포핸드
탑스핀 포핸드는 낮은 공을 쳐서 상대 방에 넘길 때 좋은 타법이다. 그러므로 공의 하부에서 상부로 약간 들어오려 치는 형태로서 공의 스핀이 정(正)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공을 넘 길
다) 스매시
스매시도 발리와 같이 볼이 지면에 닿기 전에 볼을 처리하는 타법이지만 이것은 볼이 높이 올 때 처리하는 기술로서 다음 두 가지가 있다.
a) 오버 핸드 스매시
자기 키를 넘어가는 볼을 점프하면서 머리 위에서 강하게 내리치는 기술이다.
b) 그라운드 스매시
볼이 너무 높으면서도 짧을 때, 또는 햇빛 때문에 직접 때릴 수 없을 때 일단 볼을 지면에 닿게 하여 튀어 오른 볼을 강하게 내리치는 기술이다.
라) 로브
로브란, 볼을 높이 올려치는 것을 말하며 다음 두 가지 형태의 로브가 있다.
a)공격적인 로브
상대편 선수들이 네트 앞으로 바짝 전진하여 그 뒤가 비어 있을 때 상대편 선수들의 키를 살짝 넘기는 타법을 말하며 의도적인 로브이다.
b) 방어적인 로브
상대방의 강한 공격에 밀려 어쩔 수 없이 볼을 함께 올려 위기를 모면하려고 하거나 시간을 벌기 위한 방법으로 가능한 한 높게 올리는 것이다.
마) 서브
서브란, 자신이 볼을 가지고 공격할 수 있는 단 한번의 기회로서 서브의 좋고 나쁨이 승패를 좌우한다.
서브에서 중요한 것은 정확함, 스피드, 그리고 코스이다. 서브의 종류는 그라운드 스트로크에서와 같이 플랫, 스핀, 슬라이스의 세 가지 방법이 있다.
a) 플랫 서브
볼에 회전을 주지 않고 라켓 면의 한 가운데에 직각으로 맞추는 것으로 가장 강한 서브이지만 정확한 것이 부족한 것이 결점이다.
b) 스핀 서브
볼을 아래에서 위쪽으로 감아 씌우듯이 하여 볼에 회전을 주는 서브로 아메리칸 트위스트 서브라고도 하며, 네트를 넘는 순간 볼의 높이가 가장 높아 안전하며 또한 지면에 떨어진 후 높게 튀지만, 허리가 유연하고도 고도의 기술이 필요하다.
c) 슬라이스 서브
이 서브는 볼을 옆으로 문지르듯 하여 옆으로의 회전을 주는 서브로 대개 제2회 째의 서브에 많이 사용한다.
타이 브레이크(Tie-Break)
게임을 하다보면 동호인들이 잘못 인식하고 있는 부분이 타이 브레이크이다. 타이 브레이크 시스템은 선수보호를 위해 만들어진 시스템으로, 게임 스코어가 6:6 동점을 이루었을 때 타이 브레이크가 적용된다. 13번째 게임의 결과가 세트를 결정하게 되는 것이다. 7점을 먼저 따면 한 세트를 이기게 된다. 타이 브레이크 또한 듀스가 있고, 2점을 연속적으로 얻어야만 세트의 승자가 결정된다. 타이 브레이크가 적용된 게임은 8:6 또는 9:7 등과 같은 2점차의 상황일 때만 끝난다. 타이 브레이크가 걸린 상황에서의 스코어는 15:0 이나 30:0 이 아닌 탁구에서와 마찬가지로 1:0, 2:0 으로 부른다
심판 보기
한 경기를 이기기 위해서는 3세트 경기이면 2게임을 먼저 따면 되고, 큰 대회의 남자경기 같은 경우는 종종 5세트를 하므로 3세트를 먼저 따야 이긴다.
한 세트를 이기려면 6게임을 이겨야 한다. 6:4, 6:3, 6:2, 6:1, 6:0이 바로 게임 스코어를 숫자로 나타낸 것이다. 게임 스코어 5:4에서 상대편이 1게임을 얻어 5:5가 되면, 연속 두 게임을 이겨 7:5가 되어야 한 세트를 이기게 되는 것이다. 만약 6:6의 타이 스코어가 되면 타이 브레이크가 적용된다.
한 게임은 4점을 먼저 얻는 플레이어가 이기게 된다. 4번째 점수를 따기 전에 상대방이 3점을 얻어 동점을 이루었을 때는 한 플레이어가 상대방보다 2점을 더 많이 획득해야 한 게임이 끝난다.
점수를 부르는 방식은 다른 구기 종목들과 비교해서 독특하다. 스코어 부르는 법은 1점을 획득했을 때는 \'15(fifteen)\' 2점일 경우 \'30(thirty)\', 3점일 경우 \'40(forty)\'이며, 4점재를 얻을 때는 \'게임\'의 순서로 한다. 게임 스코어가 40:40의 동점일 경우를 \'듀스(deuce)\'라 부른다. 한 플레이어가 연속하여 2점을 얻어 한 게임이 끝나기 전까지 두 선수간의 점수차가 1점 차이일 경우는 \'어드밴티지 서버(advantage server)\' 또는 \'어드벤티지 리시버(advantage receiver)\' 로 스코어를 부른다. 스코어를 부를 때는 먼저 서비스를 넣는 플레이어의 점수를 먼저 부르고 리시버의 점수를 나중에 부른다. 예를 들면 15:0 또는 30:0의 경우, 15와 30이 서비를 넣고 있는 플레이어의 점수이며, 0이 리시버의 점수이다. 듀스의 경우 서버가 먼저 1점을 획득했을 경우 \'어드밴티지 서버\' 이며, 리시버가 먼저 점수를 획득했을 경우 \'어드밴티지 리시버\'이다.
시합에 참여하기 시작했을 때부터 당신은 플레이어로서뿐 아니라 동시에 심판의 역할도 수행해야 한다. 당신의 코트에 떨어지는 모든 공에 대해 스스로가 심판할 의무와 권리를 갖는다. 종종 승부 때문에 마음이 흔들리기도 하지만, 정정당당하게 행동해야 할 것이다.
point score - 0 / 15 / 30 / 40
가장 작은 단위 스코어
40-40은 듀스(DEUCE)라고 하며, 한 쪽이 연 2 point를 얻어야 한다.
game score - 1 / 2 / 3 / 4 / 5 / 6
point score가 모여 한 게임을 이룬다.
먼저 6게임을 이긴 쪽이 한 세트를 따는 것이다.
set score - 1 / 2 / 3 / 4 / 5
game score 6 이 1세트가 된다.
테니스의 기술
1.포핸드 스트로
1) 플랫(FLAT) 포핸드
플랫포핸드는 허리 높이의 공을 치기에 매우 효과적이지만 실수의 가능성이 매우 높은 타법이다.
플랫 포핸드의 요령
1) 가장먼저 공의 움직임을 보면서 라켓을 뒤로 뺀다.
2) 어깨가 자연스럽게 돌아 가게된다.
3) 공의 움직임을 보면서 타점과 위치를 잡는다.
4) 팔꿈치를 약간 구부려서 임팩트시나 팔의 움직임을 자유롭게 한다.
5) 공과 라켓이 수직으로 맞을 수 있게 자연스러운 동작의 연속으로 스윙을 한다.
6) 라켓과 공의 임팩트가 이루어 지면 라켓은 몸을 가로 질러 연속 동작을 한다.
2) 탑스핀(TOP SPIN) 포핸드
탑스핀 포핸드는 낮은 공을 쳐서 상대 방에 넘길 때 좋은 타법이다. 그러므로 공의 하부에서 상부로 약간 들어오려 치는 형태로서 공의 스핀이 정(正)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공을 넘 길
추천자료
빵의 역사와 우리나라의 빵문화에 대하여
우리나라의 역사적 가족제도
우리나라사회복지법의 역사
역사적 측면에서 본 자본축적의 영국, 일본, 우리나라 비교
[시장과자본주의]노동력이 상품이 되기 위해서는 역사적으로 어떤 조건이 필요하였으며, 우리...
우리나라의 역사기록과 사고
국민건강보험제도,건강보험의 개념,건강보험제도의 역사,주요국의 건강보험제도,우리나라 국...
우리나라(한국)의 전시산업의 역사와 현황
우리나라 관광의 발전과정(한국 관광역사)
우리나라의 지역사회복지역사를 시계열적으로(시기구분)정리하시오
일본 애니메이션의 역사와 우리나라와의 비교 분석
우리나라 역사상의 금서목록을 시대별로 정리
설탕의 역사(The History of Sugar) - 설탕이란(설탕의 역사, 설탕의 종류, 설탕의 제조법, ...
[지역사회복지] 지역사회복지 역사(영국, 미국, 우리나라)의 특성을 비교분석 하여 현대 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