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모더니즘 비평] 이인성 소설집-당신에 대하여-포스트모더니즘적 특징을 해체이론과 메타픽션으로서의 특징을 중심으로 논의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포스트 모더니즘 비평] 이인성 소설집-당신에 대하여-포스트모더니즘적 특징을 해체이론과 메타픽션으로서의 특징을 중심으로 논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목 차 -
1. 서론
-포스트 모더니즘의 개념
-이인성 소설집 『한없이 낮은 숨결』과 소설「당신에 대해서」

2. 본론
1) 데리다의 해체주의
2) 해체이론비평
① 형식으로부터의 해체
② 언어로부터의 해체
③ 글쓰기의 의미
3) 메타소설이론비평
① 전통적 리얼리티와 허구의 이분법에 대한 거부
② 소설에 대한 소설
③ 독자의 참여유도
④ 새로운 언어관

3. 결론

본문내용

당신을 해방시키기 위해섭니다, 라고.” 그:“해방? 이게 어떤 식으로 인간 해방과 관련을 맺는지 말해보겠소?” 나:“… 여기선, 내 소설을 읽는 독자 자신이 스스로 느끼고 스스로 꿈꾸고 스스로 반성, 비판하는 정신적 실천의 영역에서지요.” 당신(계속 읽고 있을 뿐이므로 이 대화에 직접 끼여들 수는 없어도, 독립된 말 자리만은 갖추어두어야겠기에):“
”그:“구체적인 현실이 삭제된 소설을 통해 정신적 실천이 행해진다는 건 공허한 관념론으로 들리는데…” 나:“…밥 벌어먹기 위해 몸을 움직여 일하는 것만이 구체적인 현실이고, 소설을 읽고 몽상하고 성찰하는 건 그렇지 않다는 건가요? 그거야말로 독단적 관념론이 아닐까요? 지금 나는 독자의 책읽기라는 ?구체적인 현실?을 겨냥하고 있는 겁니다.” 그:“내가 지적하는 건 독자의 개체적 현실이 아니라, 그들이 모두 함께 어우러져 사는 사회적 현실이오. … 당신은, 개인의 구원이 해방의 완수인 양, 또 문학과 독서의 혁신이 곧 세계의 혁신인 양 착각하는, 뭐랄까, 일종의 정태적 개인주의, 자폐적 문학주의 같은 데 빠져 있는 거 아니겠소?” 나:“… 아주 상식적이지만 그래서 오히려 자주 무시되는 사실부터 이야길 시작하겠는데요, 그건 개인이 사회적 조건 속에 실존하는 만큼 사회는 개인 실존들에 근거하고 있고, 동시적이며 불가분리의 관계인 이 둘은 함께 얽혀 움직이고 있다는 겁니다. …올바른 인간 해방 운동은, 따라서 세계내 삶을 구성하는 모든 영역들이 더불어 전진해나갈 때 완수될 수 있는 게 아닐까요? 여기서 나는, 문학도 인간의 정신 활동과 관련하여, 그때 바뀌어야 할 중요한 과제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 당신:“
”그:“위와 같이 미분화된 논리를 들이대는 것부터가 이미 사태를 정체화시키는, 운동으로부터의 국외자적 태도를 반증하는 것이오.
마치 치열한 대담을 연상시키는 이 긴 대화는 이인성의 글쓰기에 있어서, 아니 글쓰기의 본원적인 의미에서 가장 핵심적인 문제이라고 할 수 있다. 이인성은 이 대화를 통해서 ‘소설은 무엇을 할 수 있는가’ ‘소설이 삶의 변혁에 어떻게 기여하는가’ 등의 문제에 대한 진지한 고민과 그의 입장을 비교적 구체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이인성은 개인과 사회, 이론과 실천, 글쓰기와 혁명 등의 대립항들을 분리된 영역이 아니라 상보적으로 인식되어야 할 영역으로 파악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뜻밖의 당신 즉 ‘그’와 격렬한 논쟁을 벌인 후에 ‘썩은 세계’에서 계속 글쓰기를 고집하고 있는 작가는 마침내 문화적 혜택의 계급적 의미에 대해 고심하게 된다. 그리하여 작가는 “막노동판의 인부가 도시락을 까먹고 철근더미에 기대어 이 소설을 읽으리라 도저히 상상할 수” 없으며 “캄캄한 갱도 속에서 곤죽이 되어 나온 광부”와 “재봉틀 앞에서 열다섯 시간을 기계로서 움직이며 파김치가 되는 처녀의 짧은 휴식”과 그를 맺어본다는 것은 터무니없다고 생각하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계속 쓸 수밖에 없다. 왜냐하면 “나는 왜 혁명가가 못 되는가”라는 자학적 질문 대신 “나는 왜 소설가로서 무엇을 할 것인가”라는 생산적 질문에 작품으로 답해나가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작가 나름대로의 결론에 도달했을 때, 작가가 해야 할 일 중의 하나는 진정한 독자와의 만남, 아니 작가가 독자를 진정한 독자로 거듭나게 만드는 작업이 될 것이다. 그러할 때 “작가가 일방적으로 제시해주는 바를 그대로 주입받는 독서”는 독서의 이상형이 되지 못하며, “해방된 사회의 해방된 독자”는 최소한 “주체적인 사고인이자 몽상가”여야 하는 것이다.
“이제 다 끝난 소설을 읽고 난 후의 당신은 어떤 당신일 것인가?”라는 문장으로 끝나는 「당신에 대해서」의 끝부분은 이인성이 이 작품을 통해서 독자에게 궁극적으로 기대한 효과가 무엇이었는가를 잘 보여주고 있다. 독자를 주체적으로 사고하게 만드는 소설, 독자를 의식의 진정성으로 유도하는 소설, 이인성은 「당신에 대해서」를 통하여 이러한 소설을 의도했던 것이다.
작가는 「당신에 대해서」에서 “소설가로서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라는 문제와 “주체적 독자의 진정성” 문제를 제기한 것이다. 기존의 소설가와 기존의 독자에 대한 구조적 관점을 해체하고 새로운 인식을 던져주고 있다.
3)『당신에 대해서』의 메타소설적 특징
① 전통적 리얼리티와 허구의 이분법에 대한 거부
포스트 모더니즘 문학 이전의 18, 19세기 서구 리얼리즘과 모더니즘 문학에서는 실제의 세계를 모방하여 객관적인 진실, 진리를 담아내는 것을 문학의 목표로 삼았다. 이때에 텍스트 밖의 세계는 사실, 실제로서 리얼리티를 보여주고 문학 작품은 하나의 허구적인 창작물이 되는 것이다. 그러나 포스트 모더니즘 문학에서는 이러한 픽션과 리얼리티 간의 이분법적관계에 의문을 제기 한다. 모방의 대상인 현실은 과연 객관적 실체인가에 대해 회의를 느낀 것이다. 그래서 포스트 모더니즘 계열의 소설은 더 이상 현실을 모방하지 않는다. 즉 과거의 질서정연한 리얼리티에 부합하는 소설적 형식을 거부하는 것이다. 따라서 전통적 서사문학의 근본적 구조를 검토하고 문학 텍스트 외부 세계의 허구성을 탐구한다.
소설 『당신에 대해서』의 화자이며 내포작가인 ‘나’와 ‘당신’으로 칭해지는 피화자이며 내포독자인 동시에 실제 독자의 관계와 서술 양상은 전통적 소설의 소통구조를 교란시킨다. 즉, S.Chatman의 소통 모델 『이야기와 담론』
을 토대로 소설의 소통 구조를 살펴보면 전통적 소설은
실제 작가 -> < 내포작가 -> (화자) -> (피화자) -> 내포독자 > -> 실제독자
와 같은 소통 구조를 보인다. 그러나 이 소설에서의 화자인 ‘나’는 이렇게 말한다.
-독자여, 안녕하셨는가? 나는 이 소설의 작가 이인성이다. 다름아닌 당신에 대한 소설을 쓰며, 나는 지금˙˙˙.
인사를 적다가 문득, 나는 지금, 당신이 이 인사법에 주목해주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에 쏠린다. 나는 물론 이 소설의 이야기꾼이지만, 이 소설에선 이야기꾼으로서의 다른 이름을 가지고 있지 않다. 나는 본문안에서도 여전히 이 책 표지에 인쇄되어 있는 이름의 존재와 동일한 이인성이고자 하는 것이다. 이상하게 들릴지 모르겠는데, 이 점은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7.03.28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133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