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저널리즘(public journalism) 역사와 이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공공저널리즘(public journalism) 역사와 이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소개의 글

2. 저널리즘의 공공성과 미디어

3. 공공저널리즘의 역할

4. 공공저널리즘의 역사

5. 공공저널리즘의 학문적 이해

6. 공공저널리즘의 부정적 요인

7. 공공저널리즘의 프로젝트

8. 결론

본문내용

시도를 하는 것이었다. 1992년에는 “민중 프로젝트(People Project)\"를 통해 선거 보도와는 직접적으로 연관이 없는 범죄, 교육, 가정의 스트레스 등과 같은 공공생활과 시민생활의 영역으로까지 시민중심의 선거 취재보도의 접근방법을 더욱 더 심도 있게 확대시켜나갔다. 아이오리오(Sharon Iorio)교수가 주축이 된 위치타 주립대학의 한 연구팀에서는 약 200명의 위치타 주민들을 대상으로 자신들의 삶에 있어 어떤 문제가 가장 중요하며 그 이유는 무엇인지를 조사한 적이 있다. 이 조사에서 한 시민은 “난 이게 정부의 책임인지는 잘 모르겠다. 아마도 그건 물론 나의 책임일거다. 아마도 우리는 정치인들이 그 문제를 갖고 오랜 동안 허송세월하도록 내버려둬 왔는지도 모르겠다. 난 우리들이 이 문제에 관여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아마도 우리는 정치인들을 더 이상 비난만 할 수는 없다고 생각한다. 라고 응답하였다.
“우리 힘으로 해결하자(Solving It Ourselves)”라는 부제를 지녔던 민중 프로젝트는 문제의 해결과 시민의 책임간의 관계를 강조하였다. 《위치타 이글》은 4주 동안 매주 일요일판의 특집란에 시민들의 목소리를 담은 토론과 시민들의 핵심적 가치에 대한 토론내용을 포함하였으며, 문제해결을 위해 노력하는 여러 조직이나 기관들의 전체목록도 보도하였다. 1999년 6월 18일에 있은 아논(Ed Arnone)과의 전화인터뷰 내용임.
민중 프로젝트의 효과는 위치타 지역사회에 커다란 파장을 일으켰으나, 신문사내에서 이러한 개혁성을 유지하기란 상당히 어려운 것이었다. 메리트는 변화유지의 어려움에 대해 회고하기를, 만일 자신이 새로운 운동을 일으키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는 것을 알았더라면, 아마도 다른 방식으로 일을 추진했을 거라고 하고 있다. 또한 메리트는 “변화에 대한 반감뿐만 아니라 신문사내의 관습이나 일상적인 일은 내가 생각했던 것보다도 훨씬 더 (미국 언론체계에) 뿌리 깊게 자리 잡고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1997년 7월 7일에 위치타 에서 있은 데이비스 메리트와의 개별 인터뷰 내용임.
공공저널리스트들은 지역 개혁과 집단적 토론이나 평가에 바탕을 둔 실용적 실험주의의 정신에 입각하여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하였다. 이러한 실험을 수행한다는 것은 언론인들에게 자신들의 신문사 내부뿐만 아니라 보다 더 확대된 연결망 내에서의 학습과정에 관여하기를 요구하게 되었다. 1992년에 데이비드 매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7.04.01
  • 저작시기2007.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193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