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시대적 배경
2. 세네카의 사상
(1) 철학의 목적
(2) 신적 이성을 통한 감각적 세계의 속박으로부터의 해방
(3) 현자와 재산
(4) 이중국가
(5) 이상국가
3. 세네카와 키케로
4. 맺음말
1. 시대적 배경
2. 세네카의 사상
(1) 철학의 목적
(2) 신적 이성을 통한 감각적 세계의 속박으로부터의 해방
(3) 현자와 재산
(4) 이중국가
(5) 이상국가
3. 세네카와 키케로
4. 맺음말
본문내용
에 의해서만 획득될 수 있는 것이므로 신뢰와 고결, 그리고 마음의 평정을 불가능하게 하고 오만과 불손을 야기할 뿐이라고 했다. 그는 외면적인 물질 재산과 부가 정신을 구속하고 인간의 사색을 둔화시킨다고 생각했다. 특히 귀족층들 사이에 만연했던 사치와 낭비를 개탄했으며 명예를 얻기 위해 돈을 벌려고 한다면 진정한 명예는 잃게 될 것이라고 했다. 다만, “어떤 이가 부를 누리면서도 타락하지 않는다면 그 사람을 정말로 위대한 사람이여 부 가운데에서도 가난한 자” 라고 했다.
세네카가 그의 친구에게 보낸 서한에서 “너는 상거래나 혹은 부유한 노인의 유언에서 이익을 기대하려고 하는가? 너는 당장에 부자가 될 수 있는가 ? 그렇지 않을 것이다. 현자의 덕만이 부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현자의 지혜와 덕이 모든 사람에게 부를 제공한다.”고 말하고 있다. 세네카는 스토아 사상이 지배적이었던 동시대인들에게 부의 허구성을 강하게 시사했다. 후기 스토아 사상가들의 재산과 부는 곧 인간의 신성한 영혼이며 외면적인 부는 대출품에 불과한 것으로 정외되었다. 따라서 스토아 현자는 재산을 다른 사람에게 주는 선물, 또는 운명적인 것으로 자신의 소유물로 생각하지 않았기 때문에 전 세계가 곧 자신들의 것이었다. 다시 말해, 현자의 재산은 그들이 살아있는 동안만 소유할 수 있는 모든 사람의 공유물이다.
세네카에 의하면 이른바 스토아 현자들은 부와 가난에 대해 무관심하며 냉담했던 자이다. 현자의 강건은 육신보다 정신에 있으며 금욕과 자제의 미덕으로 정신의 고결한 부의 추구를 촉구하면서 스토아 현자만이 미덕에서 나오는 영원한 기쁨을 추구해 갈 수 있다고 했다. 이러한 기초 위에서 세네카는 부의 허구성을 인정하고 또 현자들에게 부로부터의 탈피를 강조하는 한편, 재산과 부는 현자만이 가질 수 있는 힘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현자와 일반대중 사이에 나타난 재부관의 차이를 다음과 같이 밝히고 있다. “ 그러므로 가난 때문에 현자의 지혜를 버리지 않는 철학자에게 돈의 소유를 허용해야 한다. 스토아 철학자는 풍부한 재산을 소유해도 좋다. 그들은 재산에 대한 탐욕 때문에 다른 사람의 재산을 강탈하지 않을 것이며, 다른 사람의 피를 흘리게 하지 않을 것이다. 재산획득에 있어서도 그 누구에게도 손해를 끼치지 않을 것이다.” 그는 부와 재산은 도덕적 이상에 기여하는 스토아현자들에게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이며 또 그들에게 안락을 주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따라서 가난으로
세네카가 그의 친구에게 보낸 서한에서 “너는 상거래나 혹은 부유한 노인의 유언에서 이익을 기대하려고 하는가? 너는 당장에 부자가 될 수 있는가 ? 그렇지 않을 것이다. 현자의 덕만이 부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현자의 지혜와 덕이 모든 사람에게 부를 제공한다.”고 말하고 있다. 세네카는 스토아 사상이 지배적이었던 동시대인들에게 부의 허구성을 강하게 시사했다. 후기 스토아 사상가들의 재산과 부는 곧 인간의 신성한 영혼이며 외면적인 부는 대출품에 불과한 것으로 정외되었다. 따라서 스토아 현자는 재산을 다른 사람에게 주는 선물, 또는 운명적인 것으로 자신의 소유물로 생각하지 않았기 때문에 전 세계가 곧 자신들의 것이었다. 다시 말해, 현자의 재산은 그들이 살아있는 동안만 소유할 수 있는 모든 사람의 공유물이다.
세네카에 의하면 이른바 스토아 현자들은 부와 가난에 대해 무관심하며 냉담했던 자이다. 현자의 강건은 육신보다 정신에 있으며 금욕과 자제의 미덕으로 정신의 고결한 부의 추구를 촉구하면서 스토아 현자만이 미덕에서 나오는 영원한 기쁨을 추구해 갈 수 있다고 했다. 이러한 기초 위에서 세네카는 부의 허구성을 인정하고 또 현자들에게 부로부터의 탈피를 강조하는 한편, 재산과 부는 현자만이 가질 수 있는 힘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현자와 일반대중 사이에 나타난 재부관의 차이를 다음과 같이 밝히고 있다. “ 그러므로 가난 때문에 현자의 지혜를 버리지 않는 철학자에게 돈의 소유를 허용해야 한다. 스토아 철학자는 풍부한 재산을 소유해도 좋다. 그들은 재산에 대한 탐욕 때문에 다른 사람의 재산을 강탈하지 않을 것이며, 다른 사람의 피를 흘리게 하지 않을 것이다. 재산획득에 있어서도 그 누구에게도 손해를 끼치지 않을 것이다.” 그는 부와 재산은 도덕적 이상에 기여하는 스토아현자들에게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이며 또 그들에게 안락을 주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따라서 가난으로
추천자료
자유주의와 질서자유주의에 대한 국가-시장론의 사상사적 접근
헌법적 관점에서 본 국가보안법폐지 논쟁
사례분석을 통해 고찰해 본 국가보안법 폐지운동의 당위성과 한계
[교육고전의이해]플라톤의 국가론을 읽고 내용분석 및 독후감
[인권기구]인권법과 국가인권기구 설치에 관한 쟁점들
[철학] 플라톤의 '국가론'에 대한 비평
[교육고전의이해]플라톤의 국가론 독후감
사회 계약론에서의 개인, 사회, 국가의 의미
사회복지국가의 사회복지의 역사와발전과정을 논술하고 자본주의 국가의 사회문제와 해결방안...
보육의 필요성 및 중요성에 대해 국가적 차원에서 바라보는 관점과 가정적 차원에서 바라보는...
[사회복지정책론] 스칸디나비아 복지국가에 대해 설명하시오 (스칸디나비아)
[비교발전행정론] 나이지리아 분석보고서 [국가 개요 경제 지표 정치 사회 동향 경제 전망]
[비교발전행정론] 대만의 국가발전 및 위기와 발전전략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