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석보상절 원문 현대어역
Ⅱ. 석보상절 문법요소 분석
1. 대명사
(1) 인칭 대명사
(2) 비인칭 대명사
2. 조사
(1) 격조사
(2) 보조사
(3) 접속조사 (와/과)
3. 어미
(1) 선어말어미
(2) 어말어미
4. 단어
(1) 곡용
(2) 활용
5. 조어법
(1) 합성어
(2) 파생어
Ⅱ. 석보상절 문법요소 분석
1. 대명사
(1) 인칭 대명사
(2) 비인칭 대명사
2. 조사
(1) 격조사
(2) 보조사
(3) 접속조사 (와/과)
3. 어미
(1) 선어말어미
(2) 어말어미
4. 단어
(1) 곡용
(2) 활용
5. 조어법
(1) 합성어
(2) 파생어
본문내용
석보상절 원문 현대어역
< 釋譜詳節 第六 >
世尊이 象頭山애 가샤 龍과 鬼神과 위야 說法더시다. ≪龍鬼 위야 說法샤미 부로 나히 셜흔 둘히러시니 穆王 여슷 찻 乙酉ㅣ라.≫
▶ 세존이 상두산에 가시어서 용과 귀신을 위하여 설법하시었다. 용과 귀신을 위하여 설법하심이(하신 것이) 부처님의 나이가(연세가) 서른둘이시더니(둘이시었는데), <중국의> 목왕 여섯째 해인 을유년이다.
부톄 目連이 려 니샤 네 迦毗羅國에 가아 아바긔와 아마긔와 ≪아마니 大愛道 니르시니 大愛道ㅣ 摩耶夫人ㅅ 兄니미시니 摩耶夫人만
< 釋譜詳節 第六 >
世尊이 象頭山애 가샤 龍과 鬼神과 위야 說法더시다. ≪龍鬼 위야 說法샤미 부로 나히 셜흔 둘히러시니 穆王 여슷 찻 乙酉ㅣ라.≫
▶ 세존이 상두산에 가시어서 용과 귀신을 위하여 설법하시었다. 용과 귀신을 위하여 설법하심이(하신 것이) 부처님의 나이가(연세가) 서른둘이시더니(둘이시었는데), <중국의> 목왕 여섯째 해인 을유년이다.
부톄 目連이 려 니샤 네 迦毗羅國에 가아 아바긔와 아마긔와 ≪아마니 大愛道 니르시니 大愛道ㅣ 摩耶夫人ㅅ 兄니미시니 摩耶夫人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