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는 말 - 법조윤리의 필요성
Ⅱ. 바람직한 법률가에 대하여...
Ⅲ. 직분으로서의 법조인
Ⅳ. 글을 마치며- 私見
Ⅱ. 바람직한 법률가에 대하여...
Ⅲ. 직분으로서의 법조인
Ⅳ. 글을 마치며- 私見
본문내용
이므로), 인간이 사회를 이루고 살아가는 데 있어서 그만큼 법률가의 사명이 중요함을 역설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라드브루흐(G. Radbruch)도 “자신의 직업에 대하여 의심할 여지없이 만족해하는 법률가는 俗物”이라고 말하였다. 법학도로서 법조윤리를 망각하여서는 안 되고, 지나치게 법학에 대한 자만심을 가질 필요도 없다. 자기 직업에 대한 겸손하면서도 솔직한 직업관이 법조윤리의 출발점인 것이다. 열심히 배운 법을 무기나 상품으로 삼아 끝없이 돈만 추구하는 법률상인(law merchant)에게서는 법조윤리를 결코 찾아 볼 수 없다. 적어도 “사회정의”라는 명분을 입에 담으려면 법률가는 기본적으로 윤리적 발상에서 출발하지 않으면 안 된다. 또한 법대생 시절부터 기본적인 법조윤리와 함께 법과 윤리의 경계 영역에서 일어나는 문제들을 직시하고 나름대로 그 해결점을 탐구해보아야 할 것이다.
“법은 최소한의 윤리”라는 말이 있다. 모든 윤리 중의 불가피한 최소한을 법으로 규정하였다는 것이다. 한편, 법이 우리의 윤리관념 또는 의식을 법 내용의 일부로 편입 시키고 있는 경우도 있다. 예컨대, 우리 민법의 지도이념이라 할 신의성실의 원칙, 형법상 위법성 판단의 기본개념인 사회상규, 또는 선량한 풍속 기타 사회질서 등은 우리 사회의 일반적인 도덕관념, 윤리의식을 다르게 표현한 것이다.
요즘 「공직자윤리법」의 개정을 두고 공개범위와 처벌범위 등 여러 논의가 많은데, 이는 윤리적 문제를 법에 의존하려는 것이라 볼 수 있다. 법대생으로서 올바른 가치관을 정립하고 기본적 법조윤리를 갖추어 전공공부에 깊이 있게 매진해야겠다.
“법은 최소한의 윤리”라는 말이 있다. 모든 윤리 중의 불가피한 최소한을 법으로 규정하였다는 것이다. 한편, 법이 우리의 윤리관념 또는 의식을 법 내용의 일부로 편입 시키고 있는 경우도 있다. 예컨대, 우리 민법의 지도이념이라 할 신의성실의 원칙, 형법상 위법성 판단의 기본개념인 사회상규, 또는 선량한 풍속 기타 사회질서 등은 우리 사회의 일반적인 도덕관념, 윤리의식을 다르게 표현한 것이다.
요즘 「공직자윤리법」의 개정을 두고 공개범위와 처벌범위 등 여러 논의가 많은데, 이는 윤리적 문제를 법에 의존하려는 것이라 볼 수 있다. 법대생으로서 올바른 가치관을 정립하고 기본적 법조윤리를 갖추어 전공공부에 깊이 있게 매진해야겠다.
추천자료
How do Law and Justice Operate in Korea? 한국에서의 법과 정의
뇌사문제의 분석과 뇌사자 장기이식 활성화방안
사회복지와 사회사업실천에 관한 고찰
교육만이 희망이다(우리 공교육의 문제점에 대해)
막스 베버의 '직업으로서의 학문'
[배아줄기세포]배아줄기세포의 개념, 배아줄기세포의 목적, 배아줄기세포의 기능, 배아줄기세...
[보호관찰제도][보호관찰][비행청소년][청소년비행]비행청소년에 대한 법적 처리와 비행청소...
[변리사][변리사 자격요건][변리사 업무][변리사 자격][변리사 면허][변리사 직업적 전망]변...
뇌사와 장기이식 보고서 입니다.
[사회과학] 헌법상 인간의 존엄과 안락사
공무원노동조합(공무원노조)의 중요성, 공무원노동조합(공무원노조)의 실태, 공무원노동조합(...
지적 재산권이란 무엇인가
[방송통신융합][방송통신융합 사례][방송통신융합 정책방향]방송통신융합의 정의, 방송통신융...
학창시절에 기억에 남아 있는 선생님의 예를 들고 그 이유를 정리하시오.
소개글